반응형

[오늘하루]고사성어 152

[오늘 하루 고사성어] 유언비어(流言蜚語)

1. 고사성어 유언비어(流言蜚語) 뜻과 풀이 流 : 흐를 유 言 : 말씀 언 蜚 : 바퀴벌레 비 語 : 말씀 어 흘러가는 바퀴벌레 같은 말이라는 뜻으로서, 근거 없는 뜬소문을 의미 2. 고사성어 유언비어(流言蜚語) 유래 고사성어 유언비어는 한나라의 두영장군을 두고 유래된 말입니다. 경제 때 두영장군은 태후의 조카이자 주변국으로부터의 반란을 진압한 공으로 경제에게 큰 신뢰를 받고 위기후라는 관직까지 얻어 기세등등했고 주변대신들도 그에게 굽신거렸으나, 경제가 죽고 무제가 즉위한 이후로 전분이라는 인물이 두영을 능가하기 시작하였고 사람들은 전분에게 줄을 서느라 분주했습니다. 하지만 장군 관부는 두영의 곁에 남아 의리를 지키려 노력했습니다. 두영과 전분이 대적하게 된 대망의 날은 안타깝게도 관부가 연나라의 공주..

[오늘 하루 고사성어] 난형난제(難兄難弟)

1. 고사성어 난형난제(難兄難弟) 뜻과 풀이 難 : 어려울 난 兄 : 형 형 難 : 어려울 난 弟 : 아우 제 형과 아우 중 누구를 선택해야 할지에 대해 난감하다는 뜻으로서 우열을 가리기가 어렵다는 의미 2. 고사성어 난형난제(難兄難弟) 유래 후한 말 많은 이들로부터 덕망과 인심이 너그러운 한 아버지 진식과 그의 두 아들 원방과 계방 세명의 사람은 세군자라고 불리었습니다. 진식은 태구현의 현감으로 있으면서 고을 주민들에게 많은 도움을 주려 노력하였으며 옳고 그름을 확실하게 하는 성품에 있어 마을에 분쟁 같은 것들이 존재하지 않았다 합니다. 세군자 집에 도둑이 든 일화는 유명 일화 중 하나입니다. 천장 들보위에 숨어들었던 도둑은 세 부자들의 대화내용을 듣고는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고 용서를 빌자 비단 두 필..

[오늘 하루 고사성어] 낙화유수(落花流水)

1. 고사성어 낙화유수(落花流水) 뜻과 풀이 落 : 떨어질 낙 花 : 꽃 화 流 : 흐를 유 水 : 물 수 지는 꽃과 흐르는 물이라는 뜻으로 모든 것들은 쇠약해지고 보잘것 없어진다는 의미와 남녀가 서로를 그리워한다는 의미 2. 고사성어 낙화유수(落花流水) 유래 고사성어 낙화유수(落花流水)는 당나라 말기의 시인인 고변이 쓴 방은자불우(訪隱者不遇)라는 시에서 유래가 되었습니다. 고변은 금군장령으로 지냈으나 황소의 난을 진압하다가 지방관직으로 좌천되었고 마지막엔 부하의 배반으로 살해를 당해버리는 불운을 겪은 인물입니다. 봄날에 은자를 만나고자 찾아갔으나 끝내 만나지 못하고 탄식을 하며 지은 시가 바로 방은자 불우입니다. 落花流水認天臺(낙화유수인천대) 꽃이 떨어지고 물이 흐르니 세상의 넓음을 알겠노라 半醉閑吟獨..

[오늘 하루 고사성어] 고희(古稀)

1. 고사성어 고희(古稀) 뜻과 풀이 古 옛 고 稀 드물 희 70세라는 의미 2. 고사성어 고희(古稀) 유래 고사성어 고희(古稀)는 두보의 시 [곡강이수]로 부터 유래되었습니다. 두보는 중국 당나라의 문인이자 이백과 함께 중국 역사상 최고의 시인으로 손꼽히고 있는 인물입니다. 두보의 인생은 굴곡이 무척 심했습니다. 재능도 뛰어나고 두뇌도 명석했지만 번번이 과거에 낙방을 하고 급제를 하더라도 강직하고 굳건한 성격 탓에 높은 벼슬자리를 얻기도 쉽지 않았습니다. 朝回日日典春衣 每日江頭盡醉歸 酒債尋常行處有 人生七十古來稀 穿花蛺蝶深深見 點水蜻蜓款款飛 傳語風光共流轉 暫時相賞莫相違. (조회일일전춘의 매일강두진취귀 주채심상행처유 인생칠십고래희 천화협접심심현 점수청정관관비 전어풍광공유전 잠시상상막상위) 조정에서 돌아올 ..

[오늘 하루 고사성어] 미인박명(美人薄命)

1. 고사성어 미인박명(美人薄命) 뜻과 풀이 美 아름다울 미 人 사람 인 薄 엷을 박 命 목숨 명 여자의 얼굴이 어여쁘면 단명을 하거나 팔자가 불행해진다는 의미 2. 고사성어 미인박명(美人薄命) 유래 고사성어 미인박명(美人薄命)은 중국 송나라때의 소식이 지은 시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소식은 시, 사, 문, 음악, 서법등에도 조예가 무척 깊었으며, 정치에도 높은 견해를 가지고 있는 훌륭한 인물이었으나 중국 북송 왕조 시대 때 왕안석의 신법을 반대하면서 중앙관직에는 해임이 되고 여러 지방을 8여 년 동안 떠돌면 지방관직으로서 일하게 되었습니다. 소식은 중국 당나라와 송나라 때 활동했던 8명의 문학인인 당송팔대가의 인물 중 한명이었으며, 생애 소식 시집을 통하여 무려 2712수가 실렸다고 합니다. 정치계에서는 ..

[오늘 하루 고사성어] 군계일학(群鷄一鶴)

1. 고사성어 군계일학(群鷄一鶴) 뜻과 풀이 群 무리 군 鷄 닭 계 一 하나 일 鶴 학 학 닭의 무리 속 학 한 마리라는 뜻으로서, 여러 군중들 속에 뛰어난 한 사람이라는 의미 2. 고사성어 군계일학(群鷄一鶴) 유래 고사성어 군계일학(群鷄一鶴)은 죽림칠현이라는 무리 중 혜강의 아들인 혜소의 이야기로부터 유래가 되었습니다. 죽림칠현은 중국의 위나라에서 진나라로 나라가 바뀌고 정권교체가 이루어짐으로 인하여 혼란을 겪었던 시기에 부패한 정치권력에 염증을 느껴버린 7명의 선비들이 등을 돌리고는 죽림에 모여 술로 시름을 달래면서 세월을 보냈다는 역사인데 이를 죽림칠현 또는 강좌칠현이라고 불렀다고 합니다. 죽림칠현에 속하는 7명의 선비들 중 한명은 혜강이라는 인물이었습니다. 위나라가 멸망하고 진나라를 세우는 데에 ..

[오늘 하루 고사성어] 구밀복검(口蜜腹劍)

1. 고사성어 구밀복검(口蜜腹劍) 뜻과 풀이 口 : 입 구 蜜 : 꿀 밀 腹 : 배 복 劍 : 칼 검 입으로 내뱉은 말은 마치 꿀과 같이 달콤하나 뱃속에는 칼을 품었다는 뜻으로서 말로는 친근하게 하나 뒤로는 헤하려는 마음이 있다는 의미 2. 고사성어 구밀복검(口蜜腹劍) 유래 고사성어 구밀복검(口蜜腹劍)은 십팔사략에 나온 말입니다. 중국 당나라의 현종은 치세초기 측전무후 이후 어지러운 정세를 바로잡아 당나라의 안정을 도모하는데 큰 활약을 했습니다. 하지만 정치에 염증을 느꼈고 부인은 세상을 떠나 우울증까지 겪게 되었죠. 시간이 흐르고 당현종은 이임보의 소개로 양귀비를 만나 정사를 등한시 하기 시작했고 당현종의 마음을 얻은 이임보는 그의 재상이 되어 나라를 쥐락펴락 하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충신들은 감히 ..

[오늘 하루 고사성어] 홍일점(紅一點)

1. 고사성어 홍일점(紅一點) 뜻과 풀이 紅 : 붉을 홍 一 : 한 일 點 : 찍을 점 한개의 붉은 점이라는 뜻으로서, 여럿 속에서 뛰어난 하나를 가리키는 의미로 사용되며, 일반적으로는 남자무리 중 유일한 여자를 가리킬때 자주 사용됨. 2. 고사성어 홍일점(紅一點) 유래 고사성어 홍일점(紅一點)은 송나라 왕인석에 의해 유래되었습니다. 송나라의 왕인석은 작은 지방의 하급관아였으나, 어려서 부터 학문에 뛰어났고 행정실무능력이 탁월하였으며 관개사업과 재정관리 업무능력을 인정받아 전국으로 널리 유명할 정도였습니다. 특히, 송나라의 왕안석이 신법을 인종에게 제안하여 개혁을 일으켰었는데, 국가재정을 탄탄하게 만들기 위함이었고 부국강병을 꾀하는 좋은 취지의 개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반대파의 견제와 불안한 정치의 상황으..

[오늘 하루 고사성어] 강태공(姜太公)

1. 고사성어 강태공(姜太公) 뜻과 풀이 姜 성씨 강 太 클 태 公 공평할 공 중국 주나라 초기의 정치가의 이름으로, 낚싯대로 세월을 낚는다는 의미로 사용. 2. 고사성어 강태공(姜太公)의 유래 강태공은 중국 주나라의 역사적인 인물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인물입니다. 70세까지는 강태공 자신이 가진 능력을 발휘하지 않고 '적절한 시기'를 기다렸다는 설과 태생적으로 관직에 나가는 것보다는 공부하는 것을 더 좋아했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강태공이 70세가 될 때까지 공부만을 하다 보니 부인은 뒷바라지에 지쳐서 가출을 하게 되었고 그는 집 근처에 있는 위수강변에서 낚시질을 하곤 했습니다. 강태공과 같은 시기에 있던 주나라의 문왕은 사냥터에 나가기 직전에 점치는 것을 좋아했습니다. 그날도 사냥하러 나가기전에 자..

[오늘 하루 고사성어] 고육지책(苦肉之策)

1. 고사성어 고육지책(苦肉之策) 뜻과 풀이 苦 : 괴로울 고 肉 : 고기 육 之 : 의 지 策 : 꾀 책 제 몸이 상하더라도 그것을 마다하지 않고 꾸며내는 계책이라는 뜻으로서, 상황이 어려운 상태를 모면하고자 어쩔 수 없이 해야만 하는 계책을 의미 2. 고사성어 고육지책(苦肉之策)의 유래 고사성어 고육지책(苦肉之策)은 삼국지의 적벽대전과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삼국지는 3대 전투인 관도대전, 적벽대전, 이릉대전이 가장 유명합니다. 그중 적벽대전은 중국 후한 말기에 조조가 손권, 유비연합에 대항한 전투로서 208년에 후베이성 자위현의 북동, 양쯔강 남안에 있는 적벽에서 한 전투입니다. 위나라의 조조가 100만 대군을 이끌고 손권을 치러 온다는 소식을 접하게 되었고 항복을 해야할지 또는 끝까지 대항해야 ..

오늘 하루 고사성어 : 삼인성호

1. 고사성어 삼인성호 뜻과 풀이 三 : 석 삼 人 : 사람 인 成 : 이룰 성 虎 : 범 호 사람 세 명이 모이면 없는 호랑이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뜻으로서 거짓말도 여러 사람이 합심하면 곧이들린다는 비유이다. 2. 고사성어 삼인성호 유래 고사성어 삼인성호는 고대 한비자의 내저설편에서 나온 이야기로 유래된 것입니다. 기원전 403~221, 중국 전국시대 위나라에서 일어난 일이지요. 위나라의 혜왕은 조나라와 강화를 맺었고 그에 증표로서 자신의 아들인 태자를 보냈어야 했습니다. 태자는 자주국의 임금의 아들이며 황제의 자리를 이을 귀한 신분이었기 때문에 섣불리 타국에 보낼 수는 없었지요. 그래서 혜왕은 태자를 따를 후견인으로서 누구를 함께 보내야 할지를 고민하고 있었습니다. 혜왕은 깊은 고민 끝에 방총이라..

오늘 하루 고사성어 : 과하지욕

1. 고사성어 과하지욕 뜻과 풀이 袴 사타구니 과 下 아래 하 之 어조사 지 辱 욕될 욕 바지가랑이 사이를 지나가는 치욕이라는 뜻으로서, 어쭙잖은 일로 옥신각신 다투지 않는다는 의미 2. 고사성어 과하지욕 유래 고사성어 과하지욕은 한신의 이야기에서 비롯됩니다. 젊은 시절의 한신은 아주 보잘것이 없는 사람이었습니다. 집안도 찢어지게 가난하여 밥을 빌어먹고 살았으며 하나뿐인 어머니의 장례조차 제대로 치르지 못할 정도였죠. 그래서 그는 남창정이라는 정장 집에 얹혀서 살게 되었고, 수개월을 함께 지내다 보니 정장의 가족들에게는 한신은 눈엣가시였습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끼니를 챙겨주지 않는 상황들이 빈번해지자 한신은 일찍 눈치를 채고는 정장의 집을 떠났습니다. 한신은 늘 허리춤에 칼을 차고 다녔습니다. 가난하고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