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하루]고사성어 152

오늘 하루 고사성어 : 미봉책

1. 고사성어 미봉책 뜻과 풀이 彌 기울 미 縫 꿰맬 봉 策 채찍 책(꾀 책) 미봉책(彌縫策) 실로 꿰매는 방책이라는 뜻으로서, 빈 곳이나 잘못된 곳을 임시변통으로 보완하는 것을 의미 2. 고사성어 미봉책 유래 고사성어 미봉책은 중국 주나라와 정나라 사이에서 벌어진 일화로 유래된 말입니다. 주나라에는 환왕이 있었습니다. 당시 주나라의 왕실이 점점 약해짐을 환왕은 느꼈고 제후들 또한 서로 싸움을 일삼다 보니 왕실의 권위를 되찾고자 고심을 하고 있었습니다. 마침 주나라의 제후국인 정나라의 정장공이 환왕의 허락도 받지 않은 채 주변국을 공격하였고 환왕은 정장공의 직위를 빼앗았습니다. 이에 화가 난 정장공은 주나라의 조공을 더이상 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주나라의 환왕은 이 상황이 절호이 기회였습니다. 정장공의 ..

오늘 하루 고사성어 : 구우일모

1. 고사성어 구우일모 뜻과 풀이 九 아홉 구 牛 소 우 一 하나 일 毛 털 모 구우일모(九牛一毛) 아홉 마리 소 가운데서 뽑은 터럭(털) 하나라는 뜻으로, 대단히 하찮고 보잘것이 없음을 의미 2. 고사성어 구우일모 유래 고사성어 구우일모는 중국 한나라에서 유래된 말입니다. 한나라의 큰 화두는 북방의 흉노족이었습니다. 흉노족은 진나라부터 한나라가 건립되기까지 흉노족이라는 이름의 골칫거리는 사그라들 기미가 전혀 보이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한나라에는 용맹하고 싸움을 잘하기로 유명한 이릉이라는 이름의 장수가 있었습니다. 고작 5천여 명밖에 되지 않는 군사들을 이끌고 수만 명의 흉노족의 군사들을 물리칠 정도로 이릉의 능력은 매우 뛰어났습니다. 하지만 이릉의 군사로부터 이릉의 군대가 화살과 식량이 다 떨어져가고 ..

오늘 하루 고사성어 : 사족

1. 고사성어 사족 뜻과 풀이 蛇 : 뱀 사 足 : 발 족 사족(蛇足) 뱀의 발이라는 뜻으로서, 쓸데없는 군더더기라는 의미 본래는 화사첨족(畵蛇添足)이었으나, 사족인 2음절로 줄여 말하는 것이 일반적 2. 고사성어 사족 유래 고사성어 사족은 전국책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전국책은 중국 전국시대의 언설(言說), 국책(國策), 헌책(獻策), 그 외의 일화를 각 나라별로 분류하여 정리한 책입니다. 본디 전국시대라는 말도 이 책에서 비롯되었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전국책은 중국 전국시대의 역사를 다룬 중요한 서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초나라에서는 제사를 마친 뒤에 남은 술을 하인에게 나누어 주는 관례 같은 것이 있었습니다. 술을 좋아했던 하인들은 달달한 술을 마시기 위해 제사가 끝나기만을 오매불망 기다리곤 하였습니..

오늘 하루 고사성어 : 촌철살인

1. 고사성어 촌철살인 뜻과 풀이 寸 마디 촌 鐵 쇠 철 殺 죽일 살 人 사람 인 촌철살인(寸鐵殺人) 한 치의 칼로도 사람을 죽일 수 있다는 뜻으로서, 간단한 말 한마디로도 사람을 감동시키거나 허를 찌를 수 있다는 의미 2. 고사성어 촌철살인 유래 고사성어 촌철살인은 중국 남송에서 유래한 말입니다. 남송은 중국의 통일왕조 송나라의 후기를 이르는 말로서, 1127부터 1279년까지의 시기를 말합니다. 남송의 반대말은 북송으로서 송나라의 전반을 뜻합니다. 남송 때에는 나대경이라는 사람이 살고 있었습니다. 나대경이라는 사람이 지은 수필집으로는 학림옥로라는 것이 있지요. 학림옥로는 문인과 학자의 시문에 대한 논평집으로서 천(天) ·지(地) ·인(人)의 3부로 분류되었습니다. 고사성어 촌철살인이라는 말은 바로 이..

오늘 하루 고사성어 : 타산지석

1. 고사성어 타산지석 뜻과 풀이 他 : 다를 타 山 : 뫼 산 之 : 어조사 지 石 : 돌 석 타산지석(他山之石) 다른 산의 돌이라는 뜻, 하찮은 남의 언행으로 나의 교훈으로 삼아 깨달음을 얻게 됨 2. 고사성어 타산지석 유래 학이 높은 언덕에서 울거늘, 그 소리 하늘까지 들리는도다. (鶴鳴于九皐, 聲聞于天) 물고기는 물가에 나와 있다가, 때로는 잠기어 연못 속에 있도다. (魚在于渚, 或潛在淵) 저 동산에는 즐겁게도, 심어놓은 박달나무 있지만, 그 아래에는 형편없는 닥나무 수북하구나. (樂彼之園, 爰有樹檀, 其下維穀) 다른 산의 조악한 돌이라도, 옥을 가는 숫돌로 쓸 수 있으리. (他山之石, 可以攻玉) 고사성어 타산지석은 《시경(詩經)》 〈소아 편(小雅篇)·학명(鶴鳴)〉에 나오는 말입니다. 마지막 구절..

오늘 하루 고사성어 : 토사구팽

1. 고사성어 토사구팽 뜻과 풀이 兎 토끼 토 死 죽을 사 狗 개 구 烹 삶을 팽 토사구팽(兎死狗烹) 토끼사냥이 끝나면 사냥개는 포수에게 잡아먹힌다는 뜻으로서, 필요가 없어지면 야박하게 버린다는 의미 2. 고사성어 토사구팽 유래 토사구팽은 중국 월나라에서 유래된 말입니다. 월나라에는 구천이라는 이름의 왕이 있었고 그의 밑에는 아주 뛰어난 신하 범려와 문종이 있었습니다. 이 두사람에게 구천은 높은 직책을 하사하였지만 범려는 구천을 신임하지 않아 이웃나라인 제나라로 자신의 몸을 숨겼습니다. 하지만 월나라에 문종을 두고간게 마음에 걸려 문종에게 월나라의 전쟁이 승리했으니 더이상의 뛰어난 신하는 더는 필요 없으므로 피신하는게 좋겠다며 편지를 썼죠. 문종은 범려의 걱정을 알아차렸으나 고민을 하다가 결국 구천에게 ..

오늘 하루 고사성어 : 맥수지탄

1. 고사성어 맥수지탄 뜻과 풀이 麥 : 보리 맥 秀 : 빼어날 수 之 : 어조사 지 嘆 : 탄식할 탄 맥수지탄(麥秀之嘆) 보리가 무성하게 자라는 것을 탄식한다는 뜻으로서, 나라가 무너져 예전과는 다른 모습을 슬퍼한다는 의미이거나 나라의 멸망을 애통해한다는 의미 2. 고사성어 맥수지탄 유래 고사성어 맥수지탄은 고대 중국 은나라에서 유래된 말입니다. 은나라의 마지막 왕은 주왕이었습니다. 그는 정치는 저 멀리 내팽개쳐두고 주지육림에 파묻혀 술과 음락만을 추구하며 지내고 있었습니다. 주왕의 신하중에는 미자, 기자, 비간이라는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폭군으로 전락해버린 그를 위해 이 세 사람은 주왕이 그렇게 살아서는 안된다고 간청하였으나 이를 받아들이지 않게 되자, 그중 한 명인 미자는 상황을 비관하여 목숨을 끊..

오늘 하루 고사성어 : 백문불여일견

1. 고사성어 백문불여일견 뜻과 풀이 百 : 일백 백 聞 : 들을 문 不 : 아닐 불 如 : 같을 여 一 : 하나 일 見 : 볼 견 백문불여일견(百聞不如一見) 백번 들어봐야 한번 보는 것은 못하나는 뜻으로서, 실제로 경험을 해봐야 확실히 알 수 있다는 의미 2. 고사성어 백문불여일견 유래 고사성어인 백문불여일견은 한서(漢書)의 조충국전에서 유래된 말입니다. 한서는 중국 후한 시대 때 기록된 역사서로서 반고가 저술하였습니다. 사기(史記)와 더불어 중국 사학사상(史學史上)의 대표적인 저작이며 총 100권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중국 전한이라는 나라에는 선제라는 이름의 황제가 있었습니다. 선제는 10대 황제로서 자는 차경입니다. 본래 휘는 병이었으나, 피휘의 번거로움을 덜기 위하여 즉위할 때 순으로 바꾸었다고..

오늘 하루 고사성어 : 모순

1. 고사성어 모순 뜻과 풀이 矛 창 모 盾 방패 순 모순(矛盾) 창과 방패라는 뜻으로서, 말의 앞뒤가 맞지 아니하다는 의미 2. 고사성어 모순 유래 고사성어 모순은 한비자가 지은 한비자 책에서 유래된 말입니다. 한비자는 법가사상을 집대성한 인물로서 전국시대 말기의 정치사상가였습니다. 원래 그의 이름은 한비이며 한자로 불렸던 책은 혼동을 막기 위해 지금의 한비자가 되었다고 합니다. 초나라에서는 창과 방패를 파는 장사꾼이 한명있었습니다. 그는 그의 많은 물건을 판매하기 위해 지나가는 사람들에게 큰 소리로 외쳤습니다. 한 번은 방패를 위로 몰려들며 그 어떤 방패도 이보다 단단할 수 없다며 모든 창을 다 막아낼 수 있는 방패라고 주장하였습니다. 지나가던 사람들은 귀가 솔깃해져 방패를 보기 위해 몰려들었습니다...

오늘 하루 고사성어 : 기인지우

1. 고사성어 기인지우 뜻과 풀이 杞 기나라 기 人 사람 인 之 갈 지 憂 근심 우 기인지우(杞人之憂) 기(杞)나라 사람의 군걱정이라는 뜻으로 쓸데없고 무익한 근심을 의미 2. 고사성어 기인지우 유래 고사성어 기인지우는 열자(列子)라는 책에서 유래된 말입니다. 중국 도가 경전 중 하나로서 전국시대의 도가 열자와 그 제자가 썼다고 알려져 있으나 현전하고 있는 8편은 진나라의 장담이 쓴 것이라고 합니다. 중국 주나라의 제후국에는 기나라가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현재는 하남성의 기현이 되어있는 이 지역은 주나라 우왕의 후손들이 다스리는 나라였죠. 어느 한 기나라 사람은 쓸데없는 근심걱정을 하기로 유명한 사람이 있었습니다. 하루는 집밖에도 나가지를 못하고 집안에서 끙끙 앓고 있었는데 근심걱정을 하고 있는 그에게 ..

오늘 하루 고사성어 : 동병상련

1. 고사성어 동병상련 뜻과 풀이 同 같을 동 病 병 병 相 서로 상 憐 불쌍히 여길 련 동병상련(同病相憐) 같은 병을 앓고 있는 서로를 가엾이 여긴다는 뜻으로 어려운 처지에 놓인 사람들끼리 위로하고 서로 돕는다는 의미 2. 고사성어 동병상련 유래 고사성어 동병상련은 춘추시대 오나라에서 유래된 말입니다. 오나라 왕 합려에게는 두 신하가 있었습니다. 오자서와 백비라는 신하였죠. 오자서와 백비는 둘 다 초나라 사람이었지만 오나라 합려를 섬긴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오자서의 집안은 집안 대대로 초나라의 신하로서 충성을 다하였습니다. 하지만 그의 아버지와 형은 누명을 쓰게 되며 집안은 풍비박산이 나게 되었고 오나라로 쫓겨나듯 도망쳤습니다. 합려는 그의 능력을 한눈에 알아봤고 자신의 곁에 두었습니다. 백..

오늘 하루 고사성어 : 파죽지세

1. 고사성어 파죽지세 뜻과 풀이 破 : 깨뜨릴 파 竹 : 대 죽 之 : 의 지 勢 : 기세 세 파죽지세( 破竹之勢) 대나무를 쪼갤 때의 맹렬한 기세를 뜻함으로써 세력이 강대하여 감히 대적할 상대가 없음을 의미 2. 고사성어 파죽지세 유래 고사성어 파죽지세는 진서(晉書) 두예전에서 유래된 말입니다. 진서는 당나라 태종 지시 아래 진 왕조의 정사를 방현령이 만든 책입니다. 사마염은 조조가 세운 위나라를 없애고 제위에 올라 국호를 진나라로 고쳤습니다. 유비가 세웠던 촉나라도 망해버리고 삼국 중에 남은 나라라소는 오나라뿐이었죠. 남은 오나라 마저 점령하기 위해서 사마염은 두예를 필두로 한 군대를 파견 보냈습니다. 두예는 오나라를 점령하기 위해 참모장수들을 불러 모아 작전을 짜려하였습니다. 작전 회의 중 한 명..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