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하루]고사성어 149

[오늘 하루 고사성어] 국사무쌍(國士無雙)

1. 고사성어 국사무쌍(國士無雙) 뜻과 풀이 國 : 나라 국 士 : 선비 사 無 : 없을 무 雙 : 쌍 쌍 나라에 둘도 없는 선비라는 뜻으로서, 매우 뛰어난 인물을 의미 2. 고사성어 국사무쌍(國士無雙) 유래 고사성어 국사무쌍(國士無雙)은 사기(史記) 회음후열전(淮陰侯列傳)에서 유래되었으며 특히 서한의 개국공신이자 유방(劉邦)의 막료(幕僚)로 있었던 소하(蕭何)의 언어로부터 나온 말입니다. 서한삼걸(西漢三杰)은 오늘날까지 전해져 내려온 말입니다. 전한(西漢)을 건국하고 안정화가 되기까지 이 일은 오로지 고조 유방(劉邦)의 능력만이 존재한 것은 결코 아니었습니다. 고조 유방 또한 그 사실을 잘 인지하고 있었고 자신을 도운 3인방에 대해 지칭하는 말로써 서한삼걸(西漢三杰)이라고 부르게 되었지요. 서한삼걸(西..

[오늘 하루 고사성어] 득롱망촉(得隴望蜀)

1. 고사성어 득롱망촉(得隴望蜀) 뜻과 풀이 得 : 얻을 득 隴 : 땅이름 롱 望 : 바랄 망 蜀 : 나라이름 촉 농서지방을 얻고 나니 촉의 땅을 바란다는 뜻으로서 끝도 없는 인간의 욕심을 의미 2. 고사성어 득롱망촉(得隴望蜀) 유래 고사성어 득롱망촉(得隴望蜀)은 후한서(後漢書) 광무기(光武紀)에서 유래되었습니다. 고조(高祖) 유방(劉邦)이 세웠던 전한(前漢)의 시대가 끝나고 왕망이 신나라를 세웠지만 내란으로 그마저도 사라졌습니다. 혼란스러운 분위기를 틈타 천하를 제패한 것은 광무제(光武帝) 유수였지요. 어지러운 천하를 하나로 통일하고 안정적인 분위기를 만드는 과정은 광무제(光武帝) 유수 비단 쉽지는 않았습니다. 황제가 없었기에 변방은 저마다 황제를 참칭하고 있었기에 하나씩 토벌하거나 설득해서 후한으로 ..

[오늘 하루 고사성어] 간뇌도지(肝腦塗地)

1. 고사성어 간뇌도지(肝腦塗地) 뜻과 풀이 肝 : 간 간 腦 : 뇌 뇌 塗 : 진흙 도 地 : 땅 지 간과 뇌수가 땅에 쏟아진다는 뜻으로서 참혹한 죽음이나 나라를 위한 희생을 의미 2. 고사성어 간뇌도지(肝腦塗地) 유래 고사성어 간뇌도지(肝腦塗地)는 사마천의 사기(史記) 유경숙손통열전(劉敬叔孫通列傳)으로부터 유래되었습니다. 한(漢) 고조(高祖) 유방(劉邦)은 항우(項羽)와의 오랜 싸움 끝에 중원을 차지하고는 자신이 왕으로써 서있는 한(漢) 나라의 도읍을 정하기 위해 신하들을 불러모았습니다.신하들이 추천했던 도읍지는 총 두곳이었는데 한 곳은 낙양(洛陽) 또 다른 한 곳은 함양(咸陽)이었죠. 하지만 신하들은 유독 낙양(洛陽)을 더 언급했는데 그 이유는 함양(咸陽)은 진(秦)나라의 도읍이었는데 진나라는 2대..

[오늘 하루 고사성어] 기사회생(起死回生)

1. 고사성어 기사회생(起死回生) 뜻과 풀이 起 : 기동할 기 死 : 죽을 사 回 : 돌아올 회 生 : 살 생 죽은 사람이 일어나서 다시 살아 돌아왔다는 뜻으로서 죽을 고비를 넘겼다는 의미 2. 고사성어 기사회생(起死回生) 유래 고사성어 기사회생은 사기(史記) 편작창공열전(扁鵲倉公列傳)에서 나온 중국 춘추시대 전설 속의 명의인 진월인(秦越人)의 이야기로부터 비롯되었습니다. 편작(扁鵲)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발해군 막읍 사람으로서 원래는 평범한 숙소 직원이었을 뿐이었습니다. 진월인(秦越人)이 명의가 된 것은 숙소 직원으로 일하던 중 우연히 만난 빈객 장상이라는 사람 덕분이었습니다. 진월인(秦越人)은 장상군(長桑君)을 보자마자 그가 범상치 않음을 알아차리고는 귀빈으로 10여 년가량을 극진하기 모셨습니다..

[오늘 하루 고사성어] 일패도지(一敗塗地)

1. 고사성어 일패도지(一敗塗地) 뜻과 풀이 一 : 한 일 敗 : 패할 패 塗 : 더럽힐 도 地 : 땅 지 한번 패하고 땅에 떨어진다는 뜻으로서 패하여 다시는 일어나지 못한다는 의미 2. 고사성어 일패도지(一敗塗地) 유래 고사성어 일패도지(一敗塗地)는 사기(史記) 고조본기(高祖本記)에서 유래되었습니다. 한나라 건국에 한 획을 그은 유방은 패현(沛縣) 사수(泗水)의 형장(亨長)직을 맡았는데 당시 진나라는 시황제가 죽고 2세 황제 호해(胡亥)가 제위를 이어받았던 상황이었으며 대규모의 공사를 무리하게 진행하여 전국각지의 백성들을 불러다가 강제노역을 일삼는 만행을 저지르던 시기였습니다. 무리한 공사는 많은 이들의 희생을 일삼았고 도망치다 잡혀 죽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그 누구도 이 일이 끝나면 고향으로 돌아갈 ..

[오늘 하루 고사성어] 일자천금(一字千金)

1. 고사성어 일자천금(一字千金) 뜻과 풀이 一 : 한 일 字 : 글자 자 千 : 일천 천 金 : 쇠 금 한 글자가 곧 천금이라는 뜻으로서 매우 훌륭한 시문을 의미 2. 고사성어 일자천금(一字千金) 유래 고사성어 일자천금(一字千金)은 중국 진나라 여불위(呂不韋)의 이야기로부터 유래되었습니다. 여불위(呂不韋)는 당시 중국 최대 상인이자 조나라에 볼모로 잡혀있던 자초(子楚)를 왕위에 앉혔으며 그 이후로 강력한 권력을 손아귀에 쥐고 있었던 인물입니다. 태후와 부적절한 관계를 맺어 비참한 최후를 맞이하긴 했으나 중국 고대 진나라에 가장 영향력이 있던 인물로서 역사적으로도 기록되어 있기도 하죠. 전국시대 말기 천하를 통일을 목표로 두고 있었던 진(秦)나라는 주변국들 보다 막강한 힘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정치와 군..

[오늘 하루 고사성어] 교학상장(敎學相長)

1. 고사성어 교학상장(敎學相長) 뜻과 풀이 敎 : 가르칠 교 學 : 배울 학 相 : 서로 상 長 : 길 장 가르치고 배우면서 성장한다는 의미 2. 고사성어 교학상장(敎學相長) 유래 고사성어 교학상장(敎學相長)은 공자(孔子)가 편찬및 저술에 참여했던 중국 유교의 다섯가지 경서 라고 불리는 오경(五經)중 예기(禮記)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예기(禮記)는 고대 중국의 예를 논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으며 공자가 제자들에게 했던 말과 보여준 행동들을 그대로 본받아 제자들이 기록했으며 131편의 책을 모아 정리한 뒤에 선제때 유향(劉向)이 214편으로 엮었습니다. 學然後知不足 敎然後知困 (학연후지부족 교연후지곤) 사람은 배우고나서야 부족함을 알게되고 가르쳐 봐야 비로소 그 어려움을 깨닫게 된다 知不足然後能自反也 知困然..

[오늘 하루 고사성어]난공불락(難攻不落)

1. 고사성어 난공불락(難攻不落) 뜻과 풀이 難 : 어려울 난 攻 : 공격할 공 不 : 아니 불 落 : 떨어질 락 공격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함락되기도 쉽지 않은 상태 2. 고사성어 난공불락(難攻不落) 유래 고사성어 난공불락(難攻不落)은 후한서 황보숭전에서 유래되었습니다. 황보숭은 후한의 72대 태위로서 정치가이자 장군으로서 부정부패를 일삼던 후한에 보기 드문 충신이었던 것으로 역사는 기록하고 있습니다. 후한서에 의하면 황보숭의 대인군자적인 모습들이 잘 기술되어 있습니다. 간의 조세를 백성들에게 나누어주는 아량을 베풀어 백성들의 그의 은덕을 칭송하는 노래를 불렀다는 일화, 부하들의 식사라 끝난 뒤에야 뒤늦게 식사를 시작했다는 이야기, 그리고 뇌물을 받고 있는 부하들을 파악해서 되려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오늘 하루 고사성어] 기화가거(奇貨可居)

1. 고사성어 기화가거(奇貨可居) 뜻과 풀이 奇 : 기이할 기 貨 : 재화 화 可 : 옳을 가 居 : 살 거 기이한 재물을 쌓아두는 것은 당연하다는 뜻으로서 훗날의 기회를 위해(높은 가격으로 판매하기 위해) 당분간 보관해 놓는다는 의미 또는 좋은 기회를 놓치지 않고 잡으려 한다는 의미 2. 고사성어 기화가거(奇貨可居) 유래 고사성어 기화가거(奇貨可居)는 사기(史記) 여불위전(呂不韋傳)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중국 전국시대 말기에 여불위(呂不韋)라는 인물이 있었습니다. 본디 직업은 국경을 넘나들며 장사를 했던 대상인(大商人)이었으며 수완이 뛰어나고 이재에 밝아 이로 인해 대부호로 거듭나게 되었습니다. 훗날 진나라의 정치가로서 최고의 상국으로 활동했으나 진시황의 모후인 태후와 밀통관계를 유지하다 끝내는 진시황제..

[오늘 하루 고사성어] 방약무인(傍若無人)

1. 고사성어 방약무인(傍若無人) 뜻과 풀이 傍 : 곁 방 若 : 같을 약 無 : 없을 무 人 : 사람 인 곁에 아무도 없다는 뜻으로서 주위 사람들을 전혀 의식하지 않고 제멋대로 행동하는 것을 의미 2. 고사성어 방약무인(傍若無人) 유래 고사성어 방약무인(傍若無人)은 사기(史記) 자객열전(刺客列傳)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위(衛)나라 사람인 형가(荊軻)라는 사람은 중국 역사상 손꼽힐 정도의 실력을 가진 자객으로서 문학과 무예를 모두 잘할 정도로 재능이 출중하고 침착하고 신중한 성격을 지닌 인물이었습니다.형가는 정치분야에도 워낙 관심도가 높았기에 하루는 위나라의 원군(元君)에게 자신의 뜻을 피력하고자 했으나 받아들여지지 못했고 큰 상심을 겪게된 그는 연(燕)나라를 포함한 여러나라를 떠돌며 현인들이나 호걸들을 ..

[오늘 하루 고사성어] 일명경인(一鳴驚人)

1. 고사성어 일명경인(一鳴驚人) 뜻과 풀이 一 : 한 일 鳴 : 새가 울 명 驚 : 놀랠 경 人 : 사람 인 새가 한번 울면 사람이 놀란다는 뜻으로서 평소 과묵한 성격을 가진 사람이 예상치 못하게 놀랄만한 일을 한다는 의미 2. 고사서어 일명경인(一鳴驚人) 유래 고사성어 일명경인은 사기(史記) 골계열전(滑稽列傳)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전국시대 제나라에는 손우곤(淳于髡)이라는 인물이 있었습니다. 제나라의 관료이자 학자였던 그는 생각이 깊고 말재주에 능했던지라 제나라에 위기가 찾아오면 무조건 손우곤을 사신으로서 주변국을 보내곤 했습니다. 반면에 제나라의 임금이었던 위왕(威王)은 정사를 돌보기는 커녕 밤낮으로 주연을 열기에 바빴습니다. 한 나라의 임금으로서 백성들을 굽어살펴야 함에도 불구하고 수수께끼와 주색을..

[오늘 하루 고사성어] 위연구어(爲淵驅魚)

1. 고사성어 위연구어(爲淵驅魚) 뜻과 풀이 爲 : 할 위 淵 : 못 연 驅 : 몰 구 魚 : 고기 어 자신을 위해 한일이 오히려 자신에게 손해가 되는 결말을 맞이했다는 의미 2. 고사성어 위연구어(爲淵驅魚) 유래 孟子曰桀紂之失天下也 失其民也 맹자왈걸주지실천하야 실기민야 맹자가 말하기를 하나라의 걸왕과 은나라의 주왕이 천하를 잃은 이유는 失其民者 失其心也 실기민자 실기심야 그들의 백성을 잃었기 때문이며 백성을 잃었다는 것은 그들의 마음을 잃은 것이다 得天下有道 得其民 斯得天下矣 득천하유도 득기민 사득천하의 천하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은 백성들을 얻으면 천하를 얻을 수 있다 得其民有道 得其心 斯得民矣 득기민유도 득기심 사득민의 백성들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은 그들의 마음을 얻으면 된다 得其心 有道 所欲 與之聚..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