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하루]고사성어 152

[오늘 하루 고사성어] 일사천리(一瀉千里)

1. 고사성어 일사천리(一瀉千里) 뜻과 풀이 一 : 한 일 瀉 : 쏟을 사 千 : 일천 천 里 : 마을 리 강물이 빠르게 흘러서 천리까지 간다는 뜻으로서 어떠한 일이 순조로이 진행된다는 의미 2. 고사성어 일사천리(一瀉千里) 유래 고사성어 일사천리(一瀉千里)에 대해 처음 사용한 역사적인 기록은 정확지 않으나 중국 고대 유명 위인들도 자주 언급했을 정도로 흔하게 쓰이는 고사성어였습니다. 특히 장강(양쯔강)이나 황하를 바라본 중국 고대 시인들이 그 강의 위대함을 표현하고자 일사천리를 사용했죠. 그 첫번째 유래는 송나라의 진량이라는 사람으로서 사상가이자 문학가였습니다. 주변사람들은 그를 용천선생(龍川先生)이라고 불렀으며 많은 재능을 가지고 있었다고 합니다. 하루는 그가 여신유안전찬(與辛幼安殿撰)에서 장강(양쯔..

[오늘 하루 고사성어] 인면수심(人面獸心)

1. 고사성어 인면수심(人面獸心) 뜻과 풀이 人 : 사람 인 面 : 낯 면 獸 : 짐승 수 心 : 마음 심 짐승 같은 마음을 품은 사람의 가면을 쓴 사람이라는 뜻으로서 마음과 행동이 매우 흉악함을 의미 2. 고사성어 인면수심(人面獸心) 유래 고사성어 인면수심(人面獸心)은 중국 후한(後漢)의 역사가 반고(班固)가 지은 《한서(漢書)》〈열전(列傳)〉제64 '흉노전(匈奴傳)'에서 유래되었습니다. 흉노족은 몽골 및 중국 북부지역에서 기원전 4세기 말부터 기원후 1세기말까지 활동했던 유목 민족으로서 전국시대 때부터 진나라와 한나라를 침략함에 있어 주저함이 없었습니다. 진나라때에는 이들을 막기 위해 만리장성을 쌓았고 흉노족의 비해 진나라와 한나라는 사회적, 경제적으로 안정이 되어있었고 문화적인 요소에서도 뛰어남을 ..

[오늘 하루 고사성어] 연리지(連理枝)

1. 고사성어 연리지(連理枝) 뜻과 풀이 連 : 이을 연 理 : 이치 리, 결 리 枝 : 나뭇가지 지 뿌리가 다른 나무끼리 엉켜있다는 뜻으로서 부부의 연 또는 지극한 효성을 의미 2. 고사성어 연리지(連理枝) 유래 연리지(連理枝)는 뿌리가 다른 두 나무의 가지들이 서로 엉키어 붙어있는 형국을 말합니다. 연리지(連理枝)라는 말도 있고 연리목(連理木)이라는 말도 있는데 나뭇가지에 붙어있음 연리지(連理枝)이고 나무의 줄기가 엉키어 있으면 연리목(連理木)이라고 합니다. 두 나무가 어느 부분에 엉키어 있느냐에 따라 나무의 이름도 달라지는 것이지요. 실제로 연리목(連理木)보다 연리지(連理枝)를 보는 것이 더 어렵다고 합니다. 왜냐하면 나뭇가지끼리 만나는 확률이 적으며 바람의 영향을 잘 받기 때문에 좀처럼 엉키는 것..

[오늘 하루 고사성어] 역지사지(易地思之)

1. 고사성어 역지사지(易地思之) 뜻과 풀이 易 : 바꿀 역 地 : 땅 지 思 : 생각할 사 之 : 갈지 상대방의 처지나 입장에 대해 생각해 본다는 의미 2. 고사성어 역지사지(易地思之) 유래 고사성어 역지사지(易地思之)는 《맹자(孟子)》의 〈이루편(離婁編)〉 하(下) 29장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역지사지(易地思之)는 맹자가 역지즉개연(易地則皆然)을 언급하며 그 이야기가 시초가 되었는데 이를 대표하는 인물이 우(禹), 후직(后稷), 그리고 안회(顔回)입니다. 우와 후직은 중국 고대역사의 전설적인 인물로서 우는 하(夏) 왕조 시조이고 후직은 중국 주왕조(周王朝)의 전설적 시조이자 농경신(農耕神)으로 오곡의 신이기도 하지요. 그리고 안회는 노나라의 현인입니다. 우와 후직은 백성들을 위해 일하는 벼슬아치였는데 ..

[오늘 하루 고사성어] 비익조(比翼鳥)

1. 고사성어 비익조(比翼鳥) 뜻과 풀이 比 견줄 비 翼 날개 익 鳥 새 조 암수의 눈과 날개가 각각 한 개씩 가지고 있다는 중국 전설상의 새 둘 중 하나만 없어도 안될 존재라는 의미 2. 고사성어 비익조(比翼鳥) 유래 비익조(比翼鳥)는 황하 서쪽 숭오산(崇吾山)에 사는 중국 전설의 새로서 물오리와 비슷한 생김새를 가지고 있으며 머리는 암컷과 수컷으로 총두 개이나 둘은 각각 한 개의 눈과 단 한 개의 날개를 가지고 있는 새라고 합니다. 비익조가 언제 처음 언급되었는지에 대한 정확한 역사는 알 수 없으나 여러 고대 중국 문헌에 비익조가 언급됩니다. 중국 명나라의 백과사전이라 불리우는 『삼재도회(三才圖會)』에서는 비익조에 대하여 결흉국(結匈國)이라는 남쪽 나라에 살고 있으며 겸겸(鶼 鶼)이라 불리운다는 언급..

[오늘 하루 고사성어] 순망치한(脣亡齒寒)

1. 고사성어 순망치한(脣亡齒寒) 뜻과 풀이 脣 : 입술 순 亡 : 잃을 망 齒 : 이 치 寒 : 찰 한 입술이 잃으면 이가 시리다는 뜻으로서 서로 떨어지면 살 수 없는 밀접한 관계 또는 서로 도와야지만 성립되는 관계라는 의미 2. 고사성어 순망치한(脣亡齒寒) 유래 고사성어 순망치한(脣亡齒寒)은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희공 5년조에서 유래된 말입니다. 춘추전국시대 진나라의 24대 군주인 헌공은 괵(虢) 나라와 우(虞) 나라를 침략하여 진나라와 통일하고 싶은 야심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하루는 신하들을 불러 모아 괵(虢) 나라와 우(虞) 나라를 집어삼키려면 어떤 방법을 써야 할지에 대해 의논을 하는 시간을 마련했죠. 이때 대부 순식(荀息)이 말하기를 괵나라와 우나라는 서로 공생해야 살 수 있는 나라..

[오늘 하루 고사성어] 비익연리(比翼連理)

1. 고사성어 비익연리(比翼連理) 뜻과 풀이 比 : 견줄 비 翼 : 날개 익 連 : 이을 연 理 : 결리 리 중국 전설에 나오는 비익조와 연리지, 부부의 사이가 매우 화목함을 의미 2. 고사성어 비익연리(比翼連理) 유래 고사성어 비익조(比翼鳥)/연리지(連理枝)는 중국 당나라의 시인 백거이가 지은 《장한가(長恨歌)》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백거이는 어려서부터 총명하여 5살 때에는 시를 짓기 시작했고 15살에 지은 시의 구절들은 많은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릴 정도로 유명세를 떨치기 시작했습니다. 그의 생존시가 어찌나 기가막힌지 민중속에서 오르내리고 해외에까지 영향을 미칠 정도였습니다. 현존하는 작품수는 3800여 종이며 그중 《비파행》 《장한가》 《유오진사시(遊悟眞寺詩)》는 불멸의 걸작이라고 오늘날까지 불리울 정..

[오늘 하루 고사성어] 백아절현(伯牙絶絃)

1. 고사성어 백아절현(伯牙絶絃) 뜻과 풀이 伯 : 맏 백 牙 : 어금니 아 絶 : 끊을 절 絃 : 악기줄 현 백아(伯牙)가 거문고를 끊었다는 뜻으로서, 자신에 대해 잘 아는 벗이 죽어 무척 슬프다는 의미 2. 고사성어 백아절현(伯牙絶絃) 유래 고사성어 백아절현(伯牙絶絃)은 『열자(列子)』의 「탕문(湯問)」편 그리고 『여씨춘추(呂氏春秋)』 「본미(本味)」편 이렇게 두 고서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열자(列子)』의 「탕문(湯問)」편에선 춘추시대 진나라에서 고관을 지낸 거문고의 명수로 이름난 백아와 그의 친구 종자기(鍾子期)가 있었습니다. 종자기는 백아의 거문고 연주를 좋아했고 그의 음악을 정확하게 이해해 주는 둘도 없는 친구였지요. 백아와 거문고 그리고 종자기는 언제나 함께 였습니다. 산을 오를 때도 강물이 ..

[오늘 하루 고사성어] 마부작침(磨斧作針)

1. 고사성어 마부작침(磨斧作針) 뜻과 풀이 磨 : 갈 마 斧 : 도끼 부 作 : 지을 작 針 : 바늘 침 도끼를 갈아 바늘로 만든다는 뜻으로서, 어려운 일을 만나더라도 꾸준히 하면 못 할 일은 없다는 의미 2. 고사성어 마부작침(磨斧作針) 유래 고사성어 마부작침(磨斧作針)은 남송(南宋) 때 축목(祝穆)이 지은 지리서 《방여승람(方與勝覽)》과 《당서(唐書)》 문예전(文藝傳)에서 유래한 말입니다. 중국 당나라 낭만주의 시인인 이백(李白)은 5살때 아버지를 따라 촉나라에서 생활을 했었습니다. 어려서부터 뛰어나서 10살 때에는 시를 지어낼 정도로 장래가 촉망된 아이였으나 그의 노력은 재능을 따라주지 않았습니다. 이백(李白)의 아버지는 그가 학문에 정진했으면 하는 바람으로 정의산을 보냈으나 공부에 싫증이 나버린..

[오늘 하루 고사성어] 견강부회(牽強附會)

1. 고사성어 견강부회(牽強附會) 뜻과 풀이 牽 : 끌 견 强 : 굳셀 강 附 : 붙을 부 會 : 모을 회 가당치도 않는 말을 끌어다가 자신의 말에 힘을 싣기 위해 억지로 합리화시키려 한다는 의미 2. 고사성어 견강부회(牽強附會) 유래 고사성어 견강부회는 중국 송나라의 역사가이자 통지의 편찬자였던 정초(鄭樵, 1104~1162)가 통지(通志)' 총서(總序)에서 견합부회(牽合附會)를 언급함으로서 그 유래가 시작이 되었습니다. 자는 어중(漁仲), 호는 협제선생(夾漈先生)이다. 복건의 포전현(莆田縣) 출신으로서 어려서부터 여러 장소를 방문하면서 지식을 습득하기를 좋아했던 인물이라 합니다. 董仲舒以陰陽之學 倡爲此說 本于春秋 牽合附會(동중서이음양지학 창위차설 본우춘추 견합부회) 동중서가 음양학으로 이설을 창도하여..

[오늘 하루 고사성어] 각자도생(各自圖生)

1. 고사성어 각자도생(各自圖生) 뜻과 풀이 각자 각(各) 스스로 자(自) 꾀할 도(圖) 살 생(生) 각자 스스로 제 살길을 도모한다는 의미 2. 고사성어 각자도생(各自圖生) 유래 대부분의 고사성어들이 중국에서 유래했음에도 불구하고 모든 고사성어들이 그에 해당되는 것은 아닙니다. 그 대표적인 예가 함흥차사(咸興差使)와 각자도생(各自圖生)이 대표적입니다. 고사성어 각자도생(各自圖生)은 정확한 유래에 대해서는 알길이 없으나 조선왕조실록에 처음 기록된 것을 기반하여 추측하고 있습니다. 亦將更罹殺戮之禍(역장갱이상륙지화) 장차 미래에 살육을 위협할만한 어려움과 위협이 도래할 것이니 預爲告諭死之各自圖生事(예위고유사지각자도생사) 미리알려주어 각자 살길을 도모할 것 각자도생(各自圖生)이 조선왕조실록에 처음 등장한 시기..

[오늘 하루 고사성어] 불치하문(不恥下問)

1. 고사성어 불치하문(不恥下問) 뜻과 풀이 不 : 아닐 불 恥 : 부끄러울 치 下 : 아래 하 問 : 물을 문 아랫사람에게 묻는것을 부끄러워 하지 않는다는 뜻 2. 고사성어 불치하문(不恥下問) 유래 고사성어 불치하문(不恥下問)에 대한 유래는 두개가 있습니다. 하나는 논어의 주인공인 공자에게서 있었던 일입니다. 공자가 춘추시대의 위대한 사상가, 정치가, 교육가이자 성인군자임에도 불구하고 공자는 물어보는 것을 게을리 하지 않았습니다. 하루는 노나라 군주의 조상제례에 초대를 받아 공자는 참가했습니다. 노나라의 조상제례에 대하여 공자는 역시 주변사람들에게 이것저것 물어보았습니다. 이 모습을 지켜보았던 한 사람이 공자에게 저 사람은 누구인데 저렇게 예의범절 따위도 모르고 이것저것 묻냐며 조롱했다고 합니다. 조롱..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