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하루]어휘력 68

[오늘 하루 어휘력] 부처님오신날 / 석가탄신일(釋迦誕辰日)

1. 석가모니(釋迦牟尼)는 누구인가 부처님오신날에 대해 잘 이해하고자 한다면 먼저 석가모니(釋迦牟尼)라는 인물에 대해 먼저 알아야 합니다. 석가모니(釋迦牟尼)는 고대 인도(지금의 네팔) 사람으로서 최초로 불교라는 종교를 세운 인물이자 사상가입니다. 본래의 이름은 고타마 싯다르타(Gautama Siddhārtha)로 히말라야 산기슭에있는 가필라성을 중심 쪽에 위치한 샤키야족의 작은 나라 출생으로 왕 슈도다나와 그의 아내인 마야부인 사이에서 태어났습니다. 한마디로 석가모니(釋迦牟尼)는 왕족이었습니다. 석가모니(釋迦牟尼)가 처음 태어났을때 히말라야에 사는 아시타라는 선인이 찾아와 왕자(석가모니)의 상호를 보고는 집을 떠나지 않고 왕위를 계승한다면 세계를 통일 및 지배하고 유토피아를 만드는 전륜성왕(轉輪聖王)이..

[오늘하루]어휘력 2023.05.26 (2)

[오늘 하루 어휘력] 헤게모니(Hegemony)

1. 헤게모니(Hegemony)의 정의 헤게모니(Hegemony)란 한 집단이 또 다른 집단 · 문화 ·국가를 지배하여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을 의미하며 지배권, 맹주권, 패권(覇權)을 말합니다. 그리스어인 ἡγεμονία라는 어원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hegemonia 우리말로는 '지배'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며 이탈리아의 마르스크주의 사상가인 안토니오 그람시(Antonio Gramsci)가 언급함과 동시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또한 우리말 전문가들은 헤게모니(hegemony)라는 말 대신 '주도권'이라는 단어 사용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2. 헤게모니(Hegemony)의 역사적 배경 헤게모니(Hegemony)의 역사적인 배경은 사실 기원전 382년 마케도니아 아르게아 왕조 25대 국왕이자 알렉산더..

[오늘하루]어휘력 2023.05.23 (4)

[오늘 하루 어휘력] 밀물 / 썰물(쉽게 기억하는 방법)

1. 밀물과 썰물의 원인인 [만유인력의 법칙] 밀물과 썰물에 대해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만유인력의 법칙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 '모든 물질은 서로 끌어 당기려는 힘을 가지고 있다.'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는 만유인력의 법칙은 1665년 영국 물리학자인 아이작 뉴턴(Issac Newton)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영어로는 Law of universal gravitation라고 합니다. 뉴턴의 만유인력의 법칙은 나무에서 떨어진 사과의 이야기로 유명합니다. 사과나무 아래에서 사색을 즐기고 있던 아이작 뉴턴(Issac Newton)은 갑자기 툭하고 떨어진 사과를 보고는 왜 사과가 아래로 떨어지려 하는지에 대한 의구심을 품었습니다. 사과가 땅으로 떨어졌다는 것은 사실 어떠한 힘에 의해서 사과를 움직이도록 만들었다는 ..

[오늘하루]어휘력 2023.05.19 (6)

[오늘 하루 어휘력] 반면교사(反面敎師)

1. 반면교사(反面敎師)란 무엇인가 반면교사(反面敎師)란 사물이나 사람으로부터 나온 부정적인 결과물을 보았거나 들음으로 깨닫거나 가르침을 받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면 어느 한 아이가 위험한 행동을 한 뒤에 부상을 크게 입었는데 다른 아이가 해당아이가 다친 것을 보고는 그 행동이 얼마나 위험한 것인지에 대해 누군가 가르쳐주지 않아도 자연스레 학습으로서 터득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죠. 한마디로 "나는 절대 그러지 말아야지.."하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반면교사(反面敎師)는 중국의 초대 주석이자 독재자인 마오쩌둥(毛澤東)이 1957년 중국 공산당 간부들 앞에서 제국주의자와 반동파 그리고 수정주의자를 가리키면서 "그들을 반면교사(反面敎師)로 삼아야 한다."는 말을 한데에서 유래했으며 그 이후에 많은 사람들이 ..

[오늘하루]어휘력 2023.05.18 (2)

[오늘 하루 어휘력] SNS(Social Network Service)

1. SNS(Social Network Service)란 무엇인가 SNS란 social network service의 약자로서 world wide web(일명 www) 기반으로 이루어진 사회관계망 서비스를 말합니다. 인터넷이 상용화되지 않던 시절은 부모, 친구, 그리고 이웃사촌과 같이 내가 길을 걷고 특정장소를 지나갈 때마다 만나는 사람들만이 나의 지인이었고 나의 대인관계의 전부였습니다. 하지만 오늘날은 인터넷 연결망만 있으면 전 세계곳곳에 살고 있는 사람들과 직접 만나지 않아도 쉽게 친구를 사귈 수 있는 구실이 있습니다. 보이드와 엘리슨(Boyd & Ellison, 2008)이 SNS에 대해서 정의를 내리기를, 특정 시스템에 자신의 신상정보를 일부 및 전부를 공개하고 이를 매개체로 다른 이용자들과의 연..

[오늘하루]어휘력 2023.05.15 (6)

[오늘 하루 어휘력] 라마단(رمضان)

1. 라마단(رمضان)의 정의 라마단(رمضان)이란 이슬람의 절기 중 하나로 본래의 뜻은 '무더운 날'을 말합니다. 이슬람력으로는 9월을 상징합니다. 이슬람력의 경우 우리나라와 같이 윤달이 없기 때문에 라마단의 양력날짜는 조금씩 앞당겨지게 됩니다. 이슬람의 태음력은 태양력보다 10일가량이 적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한해에 라마단의 절기를 두 번 겪기도 합니다. 라마단(رمضان)은 무함마드 사도가 천사 가브리엘에게 쿠란을 계시받은 달로서 이슬람교를 믿는 사람들은 이달을 신성하게 여깁니다. 그래서 이슬람 교도들은 라마단 절기가 찾아오면 일출이 찾아오는 시간부터 일몰이 되는 시간 즉, 태양이 뜨는 동안에는 금식하는 것을 의무시하고 날마다 5번의 기도를 드립니다. 2. 라마단(رمضان)기간동안 무슬..

[오늘하루]어휘력 2023.05.12 (4)

[오늘 하루 어휘력] 안식년(安息年)

1. 안식년(安息年)의 역사 안식년(安息年)이란 본디 기본적으로 일곱번째 되는 해를 일컫는 것으로서 영어로는 sabbath year이라말하고 히브리어로는 Shevi'it이라고 합니다. '모세의 율법'을 중시하는 유대교에서 시작된 안식년(安息年)은 사람과 동물 그리고 대자연에 대한 존경과 배려로부터 출발한 것으로서 자연적으로 자라나는것 외에 인공적으로 경작을 하는 모든 것을 금지했던 해입니다. 땅을 경작하는 것을 포함해서 자연적으로 자라난 열매나 곡실을 수확하는 것도 금지되었지만 가난한 빈민층들과 가축들은 제외였습니다. 또한 빚을 면제 시켜주는 해였기에 채무자에게 어떠한빚도 독촉할 수 없었습니다. 더불어 유대인의 노예들은 안식년이 되는해에 자유의몸이 되어 그들의 주인들은 가축이나 양식을 주어 내보내야 했으..

[오늘하루]어휘력 2023.05.10 (4)

[오늘 하루 어휘력] 경매 / 공매

1. 경매란 무엇인가 경매는 본질적으로 특정물건을 두고 가장 높은 가격을 제시하는 사람이 그 물건을 구매하는 형식을 말합니다. 경매가 역사적으로 얼마나 오래되었는지에 대한 정확한 역사기록은 남아있지 않지만 193년 로마의 황제인 페르티낙스가 근위대에 의해서 시해를 당한 후 1만 명에 달하는 근위대에게 줄 돈을 걸고 귀족들을 대상으로 경매를 진행했던 역사기록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경매는 부동산 경매이며 부동산 경매는 어느 한 개인이 금융기관으로부터 채권 및 채무의 의무를 다하지 못했을 경우 담보로 걸어진 부동산의 매물을 압류하여 공개 매각을 절차를 밟습니다. 경매의 대부분이 부동산경매로 치중되어 있으나 미술품, 사업권 및 골동품까지 경매에 대한 확장은 현재까지도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오늘하루]어휘력 2023.05.09 (6)

[오늘 하루 어휘력] 교착상태(Deadlock)

1. IT 용어 로서의 교착상태(Deadlock) 교착상태(Deadlock)이란 본디 IT용어로써 두 개 이상의 프로세스가 자신이 가지지 못한 상대가 가진 자원을 요청하기 위해 대기를 하고 있는데 그 상대의 프로세스도 같은 조건으로 기다리고 있어서 서로 진전하지 못하고 작업수행을 위해 기다리고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프로세스들이 필요한 자원을 얻을 때까지 대기상태로 머물러 있는 것이기 때문에 컴퓨터가 절대 멈춰 있는 것은 아닙니다. 인터넷창을 닫아야 하는데 닫을 수 없는 상태이거나 게임이 정지상태에 머물러 있는 현상이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 미국 컴퓨터 과학자인 에드워드 코프만(Edward G. Coffman, Jr)는 1971년에 교착상태(deadlokc)의 4가지 필요조건을 정의한 바..

[오늘하루]어휘력 2023.05.04 (4)

[오늘 하루 어휘력] 베르테르 효과(Werther effect)

1. 베르테르 효과(Werther effect)란 무엇인가 베르테르효과(Werther effect)는 미국의 자살 연구학자 데이비드 필립스(David Philips)가 붙인 이름으로서 평소 선망하거나 유명한 인물이 자살했을 때 이를 동일시해서 자신 또한 자살을 시도하는 현상을 말하며 다른 말로는 모방자살(copycat suicide) 또는 동조자살이라고 합니다. 데이비드 필립스는 자살 연구를 하던 도중 유명인이 자살을 한 뒤 그 이후에 일반인들의 자살이 급증한다는 패턴을 발견한 결과물이라고 합니다. 데이비드 필립스(David Philips)가 발견한 베르테르효과(Werther effect)의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유명인이 자살을 하면 미디어에서는 그의 사건에 대해 반복적으로 노출을 시킵니다. 이 미디..

[오늘하루]어휘력 2023.05.03 (8)

[오늘 하루 어휘력] 메가시티(Mega City)

1. 메가시티(Mega City)란 무엇인가? 메가시티(Mega City)는 인구 1000만 명 이상의 거대도시를 말합니다. 도시의 규모는 인구의 규모에 따라 메가시티(Megacity, 1,000만 명 이상), 대도시(Large city, 500만~1,000만 명), 중규모 도시(Medium-sized city, 100만~500만 명), 일반도시(City, 50만~100만 명), 도시지역(other urban, 30 만~50만 명)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는 UN의 경제사회부에서 발표된 기준이며 이중에서도 메가시티는 1000만 명이라는 인구의 규모뿐만 아니라 핵심도시를 중심으로 경제, 사회, 문화 등등 여러 인프라가 복합적으로 연결되어 함께 상생하려고 하는데에 있어 의미가 있습니다.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

[오늘하루]어휘력 2023.05.02 (4)

[오늘 하루 어휘력] 화이트리스트(White List)

1. 화이트리스트(White List)란 무엇인가 화이트리스트(white list)란 두 가지의 의미를 품고 있지만 기본적인 의미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개체의 목록을 일컫는 말입니다. 부정적인 영향을 줄만한 대상을 감시하거나 접근을 제한하기 위해 만든 리스트인 블랙리스트(black list)와는 상반대는 개념으로 화이트리스트(white list)는 특정 대상의 접근이나 이익을 허용해 주는 것을 말합니다. 화이트리스트(white list)의 첫번째 뜻은 IT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긍정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IP나 도메인 같은 경우 필터링을 거치지 않고 접근을 허용하는 것을 말하는 것입니다. 보통 광고성 메일은 스팸메일 카테고리에 보내기도 하고 광고성이 짙은 홈페이지의 주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