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하루]고사성어 152

[오늘 하루 고사성어] 권토중래(捲土重來)

1. 고사성어 권토중래(捲土重來) 뜻과 풀이 捲 : 말 권 土 : 흙 토 重 : 거듭 중 來 : 올 래 흙먼지를 일으키며 다시 돌아온다는 뜻으로서 비록 실패했지만 성공을 위해 포기하지 않고 재기하려 한다는 의미 2. 고사성어 권토중래(捲土重來) 유래 고사성어 권토중래(捲土重來)는 당나라 말기의 시인이자 산문가였던 두목(杜牧)의 칠언절구 《제오강정(題烏江亭)》에서 유래했습니다. 두목은 문장력이 뛰어났고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끼쳤던 인물로서 당나라의 시인인 이상은과 더불어 소이두(小李杜)라고 불렸으며 그의 시적 기풍이 두보와 같다고 하여 두보는 대두(大杜) 두목은 소두(小杜)라는 별명을 가졌습니다. 고사성어 권토중래(捲土重來)의 시대적 배경은 해하성 전투이며 이 전투에서는 유방과 항우가 싸우고 서로 맞서 ..

[오늘 하루 고사성어] 극기복례(克己復禮)

1. 고사성어 극기복례(克己復禮) 뜻과 풀이 克 : 이길 극 己 : 몸 기 復 : 돌아올 복 禮 : 예도 예 자신의 욕심을 버리고 예로 돌아가려 노력함 2. 고사성어 극기복례(克己復禮) 유래 고사성어 극기복례(克己復禮)는 『논어』「안연편(顔淵篇)」에서 유래되었습니다. 극기복례(克己復禮)는 공자가 자신의 제자 중 한 명인 안연에게 인(仁)을 실천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 것입니다. 충동적이고 이성보다는 감성에 치우칠 수 있는 자아의 의지를 극복하고 예를 중시하는 참된 군자(君子)의 길을 걸을 수 있도록 지도하고자 공자는 늘 노력했습니다. 顔淵問仁 子曰克己復禮爲仁 안연문인 자왈극기복례위인 나를 이기고 예로 돌아감이 인이 된다. 一日克己復禮 天下歸仁焉 일일극기복례 천하귀인언 단 하루라도 나 자신을 이기고..

[오늘 하루 고사성어] 주지육림(酒池肉林)

1. 고사성어 주지육림(酒池肉林) 뜻과 풀이 酒 : 술 주 池 : 못 지 肉 : 고기 육 林 : 수풀 림 술이 연못이 되고 고기가 숲을 이룬다는 뜻으로서 호화롭고 사치스러운 주연(酒宴)을 의미 2. 고사성어 주지육림(酒池肉林) 유래 고사성어 주지육림(酒池肉林)은 하나라 말기의 걸왕과 상나라 말기의 주왕의 이야기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사기(史記)》 〈은본기(殷本紀)〉에 의하면 은나라의 주왕(紂王)에게는 달기(妲己)라는 애첩이 있었는데 유소씨(有苏氏) 제후의 딸로서 유소씨가 주왕에게 정벌을 당한 뒤 그의 딸은 주왕에게 바쳐졌으나 그 미색이 너무나도 뛰어나고 주왕의 마음을 애달프게 하는 실력 또한 출중하여 주왕은 달기가 해달라는 것은 모두 다해주려 했다고 합니다. 백성들의 재화를 모두 수탈한 뒤 독대에 금전적..

[오늘 하루 고사성어] 임기응변(臨機應變)

1. 고사성어 임기응변(臨機應變) 뜻과 풀이 臨:임할 림 機:때(시기) 기 應:응할 응 變:변할 변 상황에 맞게 적절하게 대응하고 일을 처리함 2. 고사성어 임기응변(臨機應變) 유래 고사성어 임기응변(臨機應變)은 《진서(晉書)》의 〈손초전(孫楚傳)〉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손초(孫樵)는 삼국시대 때 위나라와 서진에서 활동했던 인물입니다. 뛰어난 재능을 가졌고 성격이 호탕하고 자신감이 넘치는 태도를 유지했으나 무리에 어울리기보다는 개인주의의 성향을 가졌던 인물입니다. 하지만 사마염의 사위였던 왕제(王濟)와는 항상 가까이 지냈습니다. 하루는 손초가 왕제에게 수석침류(漱石枕流)를 언급하며 자신이 은거할 뜻을 밝혔는데, 이 의미는 돌로 양치질을 하고 흐르는 물을 베개로 삼겠다는 것이었습니다. 이를 들은 왕제는 혹시..

[오늘 하루 고사성어] 다기망양(多岐亡羊)

1. 고사성어 다기망양(多岐亡羊) 뜻과 풀이 多 : 많을 다 岐 : 가닥 나뉠 기 亡 : 잃을 망 羊 : 양 양 여러 갈림길 사이에서 양을 잃어버렸다는 뜻으로서, 학문의 다양성으로 인해 진리를 찾기란 쉽지 않음을 의미 2. 고사성어 다기망양(多岐亡羊) 유래 고사성어 다기망양은 《열자(列子)》 설부편(說符篇)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전국시대에 사상가로 활약했던 양주(楊朱)라는 인물이 있었습니다. "나 자신을 위해서라면 한 올의 머리카락이 천하를 이롭게 한다 할지라도 그것을 위한 희생은 절대 하지 않겠다."는 말고 함께 이기적인 쾌락성을 주장했으며 지나침을 거부하고 자연주의를 옹호했던 사람입니다. 양주의 사상은 곧 노자사상(老子思想)의 시작을 알리게 되었습니다. 많은 사람들에게 좋은 영향을 끼쳤고 존경을 받아왔..

[오늘 하루 고사성어] 망양지탄(望洋之歎)

1. 고사성어 망양지탄(望洋之歎) 뜻과 풀이 望 : 바랄 망 洋 : 바다 양 之 : 어조사 지 歎 : 감탄할 탄 넓은 바다를 보고는 감탄을 한다는 뜻으로서 타인의 위대함을 보고는 자신의 미흡함을 깨닫고 부끄러움을 느낀다는 의미 2. 고사성어 망양지탄(望洋之歎) 유래 고사성어 망양지탄(望洋之歎)은 《장자(莊子)》 외편 추수(秋水)에서 유래되었습니다. 황허강은 중국 북부에 위치해 있으며 서쪽에서 동쪽으로 흐르는 길이 5,464km에 달하는 거대한 강입니다. 고대 중국 황허강의 중심부에는 맹진(孟津)이라는 지역에 하백(河伯)이라는 물의신이 살고 있었습니다. 물의신 하백은 자신이 살고 있는 황허강을 매일 같이 바라보며 드넓고 아름다운 면모에 감탄을 하며 살고 있었지요. 어느 날은 비가 너무 거세게 오는 바람에 ..

[오늘 하루 고사성어] 실사구시(實事求是)

1. 고사성어 실사구시(實事求是) 뜻과 풀이 實 : 열매 실 事 : 일 사 求 : 구할 구 是 : 옳을 시 또는 이 시 사실에 입각하여 올바름을 구하려 한다는 의미 2. 고사성어 실사구시(實事求是) 유래 고사성어 실사구시(實事求是)는 『후한서(後漢書)』「하간헌왕덕전(河間獻王德傳)」에서 유래되었습니다. 하간헌왕(河間獻王)은 중국 전한 시대(前漢時代)의 학자이자 한나라 경제 아들 중 한 명으로서 BC 155년 하간(河間)의 왕으로 봉해졌습니다. 책 읽기를 좋아했을 뿐만 아니라 민간으로부터 나온 좋은 책들을 수집하는 것을 즐겼으며 학문을 익히는 것을 좋아하는 총명한 인물이었습니다. 하간헌왕의 본명은 유덕(劉德)으로서 한나라 7대 황제인 한무제와는 형제지간입니다. 유덕(劉德)은 한무제와 학문을 논하기를 즐겼으며..

[오늘 하루 고사성어] 목탁(木鐸)

1. 고사성어 목탁(木鐸) 뜻과 풀이 木 : 나무 목 鐸 : 방울 탁 나무로 만들어진 방울이라는 뜻으로서 속이 비어있는 방울모양의 나무를 나무채로 두드려 소리를 내는 불교의식의 용구 2. 고사성어 목탁(木鐸) 유래 목탁(木鐸)은 부처님앞에서 염불·독경·예불을 할때에 사용되거나 식사시간을 알릴 때 그리고 대중들을 모을 때의 신호로 사용되는 불교의식의 용구 중에 하나입니다. 박달나무나 은행나무와 같은 많은 목재로 만들어지지만 목탁(木鐸)을 만들기 위한 가장 좋은 재료는 대추나무라고 합니다. 목탁(木鐸)이 생겨난 유래는 본디 한 스승밑에서 가르침을 받고 성장하고 있었던 제자 중 한명이 스승으로부터 가르침을 어기고 죽은 뒤에 물고기로 태어나게 되었는데 평범한 물고기가 아닌 등에서 나무가 자라나고 있는 상태였다고..

[오늘 하루 고사성어] 유지경성(有志竟成)

1. 고사성어 유지경성(有志竟成) 뜻과 풀이 有:있을 유 志:뜻 지 竟:마침내 경 成:이룰 성 뜻이 있어서 마침내 이루다는 뜻으로서 뜻을 두고 행한다면 못이룰것이 없다는 의미 2. 고사성어 유지경성(有志竟成) 유래 고사성어 유지경성(有志竟成)은 중국 후한서(後漢書) 경엄전(耿弇傳)이야기에서 유래 되었습니다. 선비였던 경엄은 어느날 우연히 무관들이 말을 타고 달리면서 활을 쏘는 모습을 보게 되었습니다. 그 모습을 목격하게 된 경엄은 그들이 멋지다고 생각이 들게 된 동시에 자신 또한 그렇게 되고 싶다는 생각이 들며 동경하게 되었지요. 그렇게 경엄은 자신도 말을 타면서 활을 쏘는 멋진장수들처럼 되겠노라 결심했습니다. 그렇게 장수가 되기 위해 경엄은 밤낮을 가리지 않고 지속적으로 훈련했고 마침내 유수(劉秀)의 ..

[오늘 하루 고사성어] 등용문(登龍門)

1. 고사성어 등용문(登龍門) 뜻과 풀이 登 : 오를 등 龍 : 용 용 門 : 문 문 용문에 오른다는 뜻으로서 성공하기 위한 발판에 들어섬을 의미 2. 고사성어 등용문(登龍門) 유래 고사성어 등용문(登龍門)은 《후한서(後漢書)》 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본디 등용문(登龍門)에서 용문이란 중국 황하강 상류쪽에 위치한 협곡을 가리키는데 급류가 워낙 심해서 웬만한 물고기들이 여간해서 오르기 힘든 곳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그곳을 오른 물고기들은 순식간에 용이될 수 있다는 전설까지 있을 정도니까요. 중국 후한에는 이응(李膺)이라는 관리가 있었습니다. 본디 이응(李膺)은 청렴하고 엄격한 성격으로 이미 많은 사람들로부터 유명세를 떨쳤습니다. 이응(李膺)이 관직으로서 활약을 했을 당시에는 환관들의 횡포가 극에 달했을 시기..

[오늘 하루 고사성어] 후생가외(後生可畏)

1. 고사성어 후생가외(後生可畏) 뜻과 풀이 後 : 뒤 후 生 : 날 생 可 : 옳을 가 畏 : 두려워할 외 젊은 후학(後學)들을 두려워할 만하다는 뜻으로서 후배들이 선배보다 의지와 에너지가 강해서 선배를 능가하는 인물이 나올까 하는 두려운 감정을 의미 2. 고사성어 후생가외(後生可畏) 유래 고사성어 후생가외(後生可畏)는 논어 자한편(子罕篇)에서 그 유래가 시작되었습니다. 공자와 그의 제자들이 했던 말을 훗날의 기술자들이 편집해서 만든 것이 바로 논어입니다. 논어는 공자는 그 연결고리가 꽤 짙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논어를 공자가 지은 것으로 알고 있지만 정작 공자는 단 한 권의 책조차도 쓴 적이 없으며 한 문장 내지는 두어 문장정도 언급한 것을 훗날의 후배들이 그 의미를 분석하고 해석한 것이기 때..

[오늘 하루 고사성어] 표사유피인사유명(豹死留皮人死留名)

1. 고사성어 표시유피인사유명(豹死留皮人死留名) 뜻과 풀이 豹 : 표범 표 死 : 죽을 사 留 : 머무를 류 皮 : 가죽 피 人 : 사람 인 死 : 죽을 사 留 : 머무를 류 名 : 이름 명 표범은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인간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는 뜻으로서 헛된 인생을 살지 않으면 방명(芳名)을 한다는 의미 2. 고사성어 표시유피인사유명(豹死留皮人死留名) 유래 고사성어 표시유피인사유명(豹死留皮人死留名)은 《오대사(五代史)》 〈왕언장전(王彦章傳)〉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중국 오대십국시대 후량에는 절도사인 왕언장(王彦章)이라는 용맹스러운 장군이 있었습니다. 무용과 무략이 특출 났기에 처음에는 군졸로 시작했으나 나라를 위해 많은 공을 세운 끝에 후량이 세워질 때 개국후(開國侯)에 봉해졌으며 전투를 진행할 때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