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하루]고사성어 152

[오늘 하루 고사성어] 다다익선(多多益善)

1. 고사성어 다다익선(多多益善) 뜻과 풀이 多 : 많을 다 多 : 많을 다 益 : 더할 익 善 : 좋을 선 많으면 많을수록 더 좋다는 의미 2. 고사성어 다다익선(多多益善) 유래 고사성어 다다익선은 사기(史記) 회음후열전(淮陰侯列傳)에서 유래되었습니다. 한신(韓信)은 중국 한나라 개국공신이자 명장으로, 평민출신으로 시작하여 영웅으로 발돋움한 중국 군사 역사상 가장 탁월한 인물 중 한 명입니다. 천지간의 사악한 세력인지 운명에 장난인지 온갖 곤란이 가로막아 죽을 때까지 고난과 시달림을 겪어야 했던 인물이지만 그러면 그럴수록 더욱 용감해졌고 백절불굴의 정신으로 2천여년의 시공을 초월해 후세의 본보기가 되는 인물로 오늘날까지 알려진 인물이죠. 한나라의 고조(高祖) 유방(劉邦)은 천하제패를 달성한 후 공신들을..

[오늘 하루 고사성어] 고진감래(苦盡甘來)

1. 고사성어 고진감래(苦盡甘來) 뜻과 풀이 苦 : 쓸 고 盡 : 다할 진 甘 : 달 감 來 : 올 래 쓴 것이 다하면 달달한 것이 온다는 뜻으로 고생끝에 낙이온다는 의미 2. 고사성어 고진감래(苦盡甘來) 유래 고사성어 고진감래(苦盡甘來)는 원나라의 도종(陶宗)의 어린시절을 묘사한 것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도종(陶宗)은 원나라의 문학가중 한사람으로서 본명은 탕나(唐哪)이며 7세기말에 시조, 시, 소설 등 다양한 장르의 문학작품을 남겼다고 합니다. 도종(陶宗)이 남긴 많은 문학작품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남촌철경록(南村輟耕錄)입니다. 남촌철경록(南村輟耕錄)은 도종(陶宗)이 살았던 원나라의 다양한 모습들을 기록한 것으로서 총 30권의 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 중 인상적인 내용 중 하나는 송연묵(松烟墨)에..

[오늘 하루 고사성어] 칠종칠금(七縱七擒)

1. 고사성어 칠종칠금(七縱七擒) 뜻과 풀이 七 : 일곱 칠 縱 : 놓을 종 七 : 일곱 칠 擒 : 사로잡을 금 일곱 번 잡고 일곱 번 풀어준다는 뜻으로서 상대방을 마음대로 다루거나 상대가 마음을 움직일 때까지 인내하며 기다린다는 의미 2. 고사성어 칠종칠금(七縱七擒) 유래 고사성어 칠종칠금(七縱七擒)은 삼국지(三國志)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촉한(蜀漢) 최초의 왕이었던 유비가 즉위하고 제갈량은 유비의 아들인 유선(劉禪)을 섬기게 되었으나 유선(劉禪)이 나랏일을 맡아하기에는 너무 어린 나이였습니다. 유비가 즉위하기 직전에 그는 제갈량에게 부디 위나라를 제압해 줄 것을 부탁했습니다. 그 이유는 정통론 때문이었는데 한나라의 마지막 황제인 헌제로부터 선양을 받아 세워진 위나라와 전한 경제의 후손이었던 유비 중 과..

[오늘 하루 고사성어] 소탐대실(小貪大失)

1. 고사성어 소탐대실(小貪大失) 뜻과 풀이 小 : 작을 소 貪 : 탐할 탐 大 : 큰 대 失 : 잃을 실 작은 것을 탐하다가 큰 것을 잃는다는 의미 2. 고사성어 소탐대실(小貪大失) 유래 고사성어 소탐대실(小貪大失)은 북제유주(北齊 劉晝)의 신론(新論)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중국 춘추전국시대에 진나라와 촉나라가 있었습니다. 촉나라는 진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소국이었지만 여전히 눈엣가시와 같은 존재였습니다. 하지만 막강한 군사력을 가지고 있어 진나라가 함부로 할 수 없는 존재였습니다. 더군다나 촉나라를 공격하기 위해 떠나는 길 또한 쉽지 않았습니다. 촉나라로 가는 길목에는 커다란 산이 버티고 있었고 무척 험난해서 체력적으로나 물자운송면에서보다 많은 비용과 군사력이 필요했기 때문에 득보다는 실이 컸지요. ..

[오늘 하루 고사성어] 이이제이(以夷制夷)

1. 고사성어 이이제이(以夷制夷) 뜻과 풀이 以 : 써 이 夷 : 오랑캐 이 制 : 제어할 제 夷 : 오랑캐 이 오랑캐를 오랑캐로 무찌른다는 뜻으로서 적을 통제하기 위해 또다른 적을 이용한다는 의미 2. 고사성어 이이제이(以夷制夷) 유래 고사성어 이이제이는 후한서(後漢書) 등훈전(鄧訓傳)에서 유래되었습니다. 한(漢)나라의 호강교위(護羌校尉) 장우(張紆)는 이민족중 하나인 강족(羌族)의 소당강(燒當羌) 미오(迷吾)를 불태워 죽였던 사건이 있었습니다. 장우가 미오를 주살했던 이 사건으로 인해 후한은 강족의 큰 원한을 사게 되었고 특히 미오의 아들인 미당(迷唐)은 다른 부락의 도움을 받아 후한을 공격하겠다는 이야기가 들려왔습니다. 이 소식을 듣게된 후한은 호강교위(護羌校尉)를 장우에서 등훈(鄧訓)으로 교체했습..

[오늘 하루 고사성어] 무진장(無盡藏)

1. 고사성어 무진장(無盡藏) 뜻과 풀이 無 : 없을 무 盡 : 다할 진 藏 : 감출 장 / 오장 장 다함이 없는 창고라는 뜻으로서 엄청나게 많아서 다함이 없는 상태를 의미 2. 고사성어 무진장(無盡藏) 유래 우리는 보통 '무진장 많다.'는 표현을 흔하게 쓰지만 정작 이 표현이 고사성어이자 불교용어인지를 모르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부끄럽지만 필자 또한 마찬가지였습니다. 무진장(無盡藏)에 대해 공부를 하기 전까진 말이죠. 무진장(無盡藏)에서 무진(無盡)은 다함이 없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고 장(藏)은 창고를 의미합니다. 결국 무진장(無盡藏)은 다함이 없는 창고를 말하는 것입니다. 고사성어 무진장(無盡藏) 인도 불교용어로써 대승불교 경전인 '유마경'에서 가난한 사람을 돕는 것은 무진장을 실천하는 것이라는 내..

[오늘 하루 고사성어] 웅비자복(雄飛雌伏)

1. 고사성어 웅비자복(雄飛雌伏) 뜻과 풀이 雄:수컷 웅 飛:날 비 雌:암컷 자 伏:엎드릴 복 '수컷은 날고 암컷은 엎드리다'는 뜻으로서 무릇 대장부란 굴복하지 않고 앞장선다는 의미 2. 고사성어 웅비자복(雄飛雌伏) 유래 고사성어 웅비자복(雄飛雌伏)은 후한서(後漢書)의 조전전(趙典傳)에서 유래되었습니다. 후한서는 송나라의 역사가인 범엽(范曄)이 지은 책으로서 후한의 사실을 기록한 책이며 사기 그리고 한서와 함께 중국의로 불릴 만큼 고대 중국 역사서로서 그 가치를 오늘날까지 인정받고 있습니다. 또한 후한서의 동이전(東夷傳)에는 우리나라의 역사인 부여, 읍루, 고구려등의 기록이 있기 때문에 한국역사 자료로도 연구할만한 가치가 있어 우리나라에서도 주목하고 있는 역사서입니다. 후한 말기에 지방관직중 하나인 경조..

[오늘 하루 고사성어] 원수불구근화(遠水不救近火)

1. 고사성어 원수불구근화(遠水不救近火) 뜻과 풀이 遠 : 멀 원 水 : 물 수 不 : 아닐 불 救 : 구할 구 近 : 가까울 근 火 : 불 화 먼 곳에 있는 물은 가까운 곳에서 난 불을 끄지 못한다는 뜻으로서 멀리 있는 해결책은 긴급한 상황일때에는 아무짝에도 쓸모 없다는 의미 2. 고사성어 원수불구근화(遠水不救近火) 유래 고사성어원수불구근화(遠水不救近火)는 한비자(韓非子) 설림편(說林篇)에서 유래되었습니다.공자의 출생지로 널리 알려진 노나라는 한때는 동방의 강국으로 불렸으나 목공(穆公)이 임금이었던 시기에는 제나라의 위협을 받는 약소국이었습니다. 조나라와 위나라, 그리고 한나라는 삼진이라고 불리우면서 이 시기부터 전국시대로 오늘날 알려졌는데 삼진은 초나라와 항상 대립하는 상태였습니다. 그 사이에 제나라..

[오늘 하루 고사성어] 관견(管見)

1. 고사성어 관견(管見) 뜻과 풀이 管 : 대롱 관 見 : 볼 견 대롱을 통해 세상을 본다는 뜻으로서, 사물을 보는 안목과 식견이 짧다는 의미 2. 고사성어 관견(管見) 유래 고사성어 관견(管見)은 莊子(장자) 秋水篇(추수편)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전국시대 조나라에 공손룡(公孫龍)이라는 사상가가 있었습니다. 주변 사람들의 생각과는 달리 공손룡(公孫龍)은 스스로 학식과 변론에 있어 당대 최고라고 생각하며 어깨를 으쓱하고 다녔습니다. 한 번은 우연히 장자(莊子)에 대해 이야기를 듣고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지식을 위모(魏牟)와 견주어 보고자 위모(魏牟)를 찾아가 장자의 도를 알고 싶다고 이야기를 꺼냈습니다. "나는 어려서부터 성왕의 가르침을 받았고 스승인 공자 밑에서 인과 예를 배워 세상의 이치에 대해 잘 알..

[오늘 하루 고사성어] 양금택목(良禽擇木)

1. 고사성어 양금택목(良禽擇木) 뜻과 풀이 良 : 좋을 량 禽 : 새 금 擇 : 가릴 택 木 : 나무 목 좋은 새는 좋은 나무인지 가려가며 둥지를 튼다는 뜻으로 현명한 사람은 아무에게나 자신을 맡겨서 종사하지 않고 자신의 재능을 키워줄 수 있는 사람을 선택해서 종사한다는 의미 2. 고사성어 양금택목(良禽擇木) 유래 고사성어 양금택목은 공자(孔子)가 지은 노나라(魯)의 역사서인 춘추(春秋)의 주석서인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哀公) 11년조에서 유래되었습니다. 공자는 인과 예를 중시하는 도를 유세(遊說) 하기 위해 제후국을 돌아다니던 중 위나라의 공문자(孔文子)가 위인이라는 이야기를 듣고는 그와 이야기를 나누고 싶어 했습니다. 그리고 공문자(孔文子)는 천하가 알아주는 유가의 시조가 찾아왔다며 무척 기뻐하..

[오늘 하루 고사성어] 문일지십(聞一知十)

1. 고사성어 문일지십(聞一知十) 뜻과 풀이 聞 : 들을 문 一 : 한 일 知 : 알 지 十 : 열 십 하나를 들으면 열을 깨우친다는 뜻으로서 머리가 총명하고 매우 걸출한 사람을 의미 2. 고사성어 문일지십(聞一知十) 유래 고사성어 문일지십(聞一知十)은 논어(論語) 공야장(公冶長)에서 유래되었습니다. 고대 중국 사상가인 공자(孔子)에게는 3천명의 제자가 있었고 그중 이름을 널리 알린 제자들은 70여명 그리고 그중에서 가장 뛰어난 인물 10인이라 불리우는 공문십철(孔門十哲)이 있었습니다. 이 10명 중에서도 덕행(德行)에서는 안연(顔淵)·민자건(閔子騫)·염백우(冉伯牛)·중궁(仲弓)이, 언어에는 재아(宰我)·자공(子貢), 정사(政事)에는 염유(冉有)·계로(季路), 마지막으로 문학으로는 자유(子游) ·자하(子..

[오늘 하루 고사성어] 복차지계(覆車之戒)

1. 고사성어 복차지계(覆車之戒) 뜻과 풀이 覆 : 엎을 복 車 : 수레 차 之 : 어조사 지 戒 : 경계 계 고대 중국 속담인, "앞 수레의 엎어진 수레바퀴 자국 뒤에 오는 수레의 교훈"으로 앞서 경험한 실패를 교훈 삼아 스스로 경계한다는 의미 2. 고사성어 복차지계(覆車之戒) 유래 고사성어 복차지계(覆車之戒)의 뜻이 앞서 잘못한 실수를 본받고 그것을 교훈 삼아 나의 태도를 바로 세운다는 뜻인 만큼 복차지계에 대한 유래도 여러 가지입니다. 심지어 복차지계(覆車之戒)의 유의어로 전거복철(前車覆轍), 복거지계(覆車之戒), 전거복후거계(前車覆後車誡)가 있을 정도로 고대시대부터 오늘날까지 조상들로부터 들려오는 잔소리(?) 또는 실패를 반복하지 말라는 조상들의 조언이 여러 번 언급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