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하루]고사성어 152

[오늘 하루 고사성어] 방약무인(傍若無人)

1. 고사성어 방약무인(傍若無人) 뜻과 풀이 傍 : 곁 방 若 : 같을 약 無 : 없을 무 人 : 사람 인 곁에 아무도 없다는 뜻으로서 주위 사람들을 전혀 의식하지 않고 제멋대로 행동하는 것을 의미 2. 고사성어 방약무인(傍若無人) 유래 고사성어 방약무인(傍若無人)은 사기(史記) 자객열전(刺客列傳)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위(衛)나라 사람인 형가(荊軻)라는 사람은 중국 역사상 손꼽힐 정도의 실력을 가진 자객으로서 문학과 무예를 모두 잘할 정도로 재능이 출중하고 침착하고 신중한 성격을 지닌 인물이었습니다.형가는 정치분야에도 워낙 관심도가 높았기에 하루는 위나라의 원군(元君)에게 자신의 뜻을 피력하고자 했으나 받아들여지지 못했고 큰 상심을 겪게된 그는 연(燕)나라를 포함한 여러나라를 떠돌며 현인들이나 호걸들을 ..

[오늘 하루 고사성어] 일명경인(一鳴驚人)

1. 고사성어 일명경인(一鳴驚人) 뜻과 풀이 一 : 한 일 鳴 : 새가 울 명 驚 : 놀랠 경 人 : 사람 인 새가 한번 울면 사람이 놀란다는 뜻으로서 평소 과묵한 성격을 가진 사람이 예상치 못하게 놀랄만한 일을 한다는 의미 2. 고사서어 일명경인(一鳴驚人) 유래 고사성어 일명경인은 사기(史記) 골계열전(滑稽列傳)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전국시대 제나라에는 손우곤(淳于髡)이라는 인물이 있었습니다. 제나라의 관료이자 학자였던 그는 생각이 깊고 말재주에 능했던지라 제나라에 위기가 찾아오면 무조건 손우곤을 사신으로서 주변국을 보내곤 했습니다. 반면에 제나라의 임금이었던 위왕(威王)은 정사를 돌보기는 커녕 밤낮으로 주연을 열기에 바빴습니다. 한 나라의 임금으로서 백성들을 굽어살펴야 함에도 불구하고 수수께끼와 주색을..

[오늘 하루 고사성어] 위연구어(爲淵驅魚)

1. 고사성어 위연구어(爲淵驅魚) 뜻과 풀이 爲 : 할 위 淵 : 못 연 驅 : 몰 구 魚 : 고기 어 자신을 위해 한일이 오히려 자신에게 손해가 되는 결말을 맞이했다는 의미 2. 고사성어 위연구어(爲淵驅魚) 유래 孟子曰桀紂之失天下也 失其民也 맹자왈걸주지실천하야 실기민야 맹자가 말하기를 하나라의 걸왕과 은나라의 주왕이 천하를 잃은 이유는 失其民者 失其心也 실기민자 실기심야 그들의 백성을 잃었기 때문이며 백성을 잃었다는 것은 그들의 마음을 잃은 것이다 得天下有道 得其民 斯得天下矣 득천하유도 득기민 사득천하의 천하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은 백성들을 얻으면 천하를 얻을 수 있다 得其民有道 得其心 斯得民矣 득기민유도 득기심 사득민의 백성들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은 그들의 마음을 얻으면 된다 得其心 有道 所欲 與之聚..

[오늘 하루 고사성어] 목불식정(目不識丁)

1. 고사성어 목불식정(目不識丁) 뜻과 풀이 目 : 눈 목 不 : 아닐 불 識 : 알 식 丁 : 고무래 정 고무래를 보고도 정자를 알지 못한다는 뜻으로서 아무것도 모르는 어리석은 사람을 의미 2. 고사성어 목불식정(目不識丁) 유래 고무래는 농사를 짓기 위한 작업인 흙을 고르거나 씨를 뿌린 뒤에 흙을 덮을 때 그리고 추수한 곡식들을 모으거나 햇볕에 말리기 위해 곱게 펴는 활동을 하기 위한 농업 연장 중 하나입니다. 긴 막대 위에 머리는 갈퀴의 형태로 띄워져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고무래는 한자인 고무래 정(丁) 자와도 많이 닮아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목불식정(目不識丁)은 우리나라 속담 중 하나인 '낫 놓고 기역자도 모른다'와 같이 쉬운 글자를 보고도 알지를 못한다 또는 무식하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기도 합..

[오늘 하루 고사성어] 명경지수(明鏡止水)

1. 고사성어 명경지수(明鏡止水) 뜻과 풀이 明 : 밝을 명 鏡 : 거울 경 止 : 그칠 지 水 : 물 수 밝은 거울과 정지된 물이라는 뜻으로서 고요하고 깨끗한 마음을 의미 2. 고사성어 명경지수(明鏡止水) 유래 고사성어 명경지수(明鏡止水)는 장자(莊子) 덕충부편(德充符篇)에서 유래되었습니다. 고대 중국 노나라에는 왕태(王駘)라는 인물이 있었는데 어쩌다 죄를 지어 한쪽발이 잘리는 형벌을 받아 외발이로 사는 사람이었습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를 따르고자 하는 제자들이 많아서 공자의 제자들의 그것과 맞먹을 정도였지요. 공자의 제자 중에 한 명인 상계(常季)는 이를 못마땅하게 여겼습니다. 하루는 그가 자신의 스승인 공자에게 질문을 던졌습니다. "왕태(王駘)라는 사람은 외발이의 신체를 가지고 있음에도 ..

[오늘 하루 고사성어] 누란지위(累卵之危)

1. 고사성어 누란지위(累卵之危) 뜻과 풀이 累 : 묶을 누 卵 : 알 란 之 : 갈 지 危 : 위태할 위 묶인 알이라는 뜻으로 매우 위태로운 상태를 의미 2. 고사성어 누란지위(累卵之危) 유래 고사성어 누란지위는 사마천이 지은 사기(史記) 범수채택열전(范睢蔡澤列傳)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위나라에는 범수(范睡)라는 인물이 있었는데 그의 말솜씨는 청산유수였고 능력 또한 출중했으나 가난하고 집안도 미천했던 출신 탓에 위나라의 중대부인 수가(須賈)의 부하로서 수행했습니다. 그의 정확한 이름을 알 수는 없으나 누군가는 그를 범수(范睡)라 하고 또 다른 이는 범저(范雎)라고 했는데 이는 수(睡)와 저(雎)가 비슷하게 생겼기도 하고 기록이 오래되었던 탓에 생긴 오류이나 사기(史記)에는 범수(范睡)로 기록이 되어 있습..

[오늘 하루 고사성어] 명불허전(名不虛傳)

1. 고사성어 명불허전(名不虛傳) 뜻과 풀이 名 이름 명 不 아닐 불 虛 빌 허 傳 전할 전 이름은 헛되이 전해지지 않는다는 뜻으로서 이름 또는 명성이 익히 알려진 데에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는 의미 2. 고사성어 명불허전(名不虛傳) 유래 고사성어 명불허전(名不虛傳)은 고대 중국 전국시대 때 맹상군(孟嘗君)의 이야기에 의해 유래되었습니다. 맹상군(孟嘗君)은 제나라 왕족 출신으로서 분명은 전문(田文)이요 전국사군자(戰國四君子)중 가장 앞시대에 활동했던 인물입니다. 맹상군은 수천의 식객을 거느린 것을 명성이 자자했습니다. 인재들을 후하게 대접하고 그들이 떠나면 그들의 형편을 잘 기록해 두었다가 가족 및 친척들에게 선물을 보내었으니 맹상군의 주변에는 늘 많은 사람들이 함께 했습니다.어느날 그날도 다를 바 없이..

[오늘 하루 고사성어] 온고지신(溫故知新)

1. 고사성어 온고지신(溫故知新) 뜻과 풀이 溫 : 익힐 온 故 : 옛 고 知 : 알 지 新 : 새 신 옛것을 익히고 새로운 것을 알아야 한다는 뜻으로서 옛것인 역사와 전통을 익혀 바탕 삼아 새로운 지식이 습득이 되어야 올바른 지식을 성립시킬 수 있다는 의미 2. 고사성어 온고지신(溫故知新) 유래 溫故而知新, 可以爲師矣. 온고이지신, 가이위사의. 이전에 배운 것들을 다시 복습하고 거기에 새로운 지식을 습득한다면 다른 이의 스승이 될 수 있다. 고사성어 온고지신(溫故知新)은 공자의 논어 위정에서 유래되었습니다. 공자는 학습만 하고 사색을 하지 않으면 흐리멍덩해지고 사색만을 즐기고 배움을 게을리한다면 위태로워짐을 강조했습니다. 기존이 성립된 정보들은 미래에 변화될 수는 있으나 자신이 서있는 오늘까지 과거의 ..

[오늘 하루 고사성어] 구미속초(狗尾續貂)

1. 고사성어 구미속초(狗尾續貂) 뜻과 풀이 狗 : 개 구 尾 : 꼬리 미 續 : 이을 속 貂 : 담비 초 개의 꼬리로 담비 꼬리를 잇는다는 뜻으로서 능력이 없고 엉뚱한 사람에게 관직을 준다는 의미 2. 고사성어 구미속초(狗尾續貂) 유래 고사성어 구미속초(狗尾續貂)는 진서(晉書) 조왕륜전(趙王倫傳)에서 유래했습니다. 중국 삼국시대 진나라에는 사마륜(司馬倫)이라는 인물이 있었습니다. 그는 진선제의 막내아들이자 백부인의 소생이자 진나라의 진무제였던 사마염의 숙부로 조왕에 봉해졌지요. 하지만 사마염이 죽고 나서는 나라의 분위기가 사뭇 달라졌습니다. 진무제가 사망한 뒤 그 이후의 임금은 자연스럽게 그의 아들인 사마충(司馬衷)이 혜제(惠帝)로 즉위했지만 사마륜(司馬倫)은 욕심이 많은 인물이었습니다. 진나라에서 발..

[오늘 하루 어휘력] 군자삼락(君子三樂)

1. 고사성어 군자삼락(君子三樂) 뜻과 풀이 君 : 그대 군 子 : 당신 자 三 : 석 삼 樂 : 즐길 낙, 좋아할 요 군자의 세 가지 즐거움이라는 뜻 2. 고사성어 군자삼락(君子三樂) 유래 君子有三樂 (군자유삼락) 군자에게는 세가지의 즐거움이 있도다 而王天下不與存焉 (이왕천하불여존언) 이것은 천하의 왕이 되는 것을 포함시키지 않는다 父母俱存 兄弟無故 一樂也 (부모구존 형제무고 일락야) 부모가 모두 다 살아계시고 형제들이 무고한 것이 첫 번째 즐거움이요 仰不愧於天 俯不怍於人 二樂也 (앙불괴어천 부부작어인 일락야) 하늘과 사람들에게 부끄럽지 않음이 두번째 즐거움이며 得天下英才 而敎育之 三樂也 (득천하영재 이교육지 삼락야)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가르침을 주는 것이 세 번째 즐거움이니라 君子有三樂, 而王天下不..

[오늘 하루 고사성어] 숙맥불변(菽麥不辨)

1. 고사성어 숙맥불변(菽麥不辨) 뜻과 풀이 菽 : 콩 숙 麥 : 보리 맥 不 : 아닐 불 辨 : 가릴 변 콩과 보리를 가리지지 못한다는 뜻으로서 사리분별을 못하는 어리석은 사람을 의미 2. 고사성어 숙맥불변(菽麥不辨) 유래 고사성어 숙맥불변(菽麥不辨)은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성공 18년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는 두 번째 패자였던 문공이 사망한 이후로 수준이하의 능력을 가진 왕들이 보위에 올라 그럭저럭 국사를 이어나갔는데 경공의 아들 여공(厲公)이 서동(胥童)을 총애하여 정사를 모조리 일임시켜 버리고 사치가 무척 심했으며 서동을 제외한 나머지 신하들을 의심하여 한꺼번에 3명의 신하들을 주살시키는 만행을 저지르는 바람에 되려 시해를 당함에 따라 진나라는 더욱 어지러웠습니다. 양공은..

[오늘 하루 고사성어] 일모불발(一毛不拔)

1. 고사성어 일모불발(一毛不拔) 뜻과 풀이 一 : 한 일 毛 : 털 모 不 : 아닐 불 拔 : 뽑을 발 작은 털 한 톨이라도 남을 위해 쓰이지 않겠다는 뜻으로서 극단적인 이기주의를 의미 2. 고사성어 일모불발(一毛不拔) 유래 고사성어 일모불발(一毛不拔)은 열자(列子)의 양주(楊朱) 편과 맹자(孟子)의 진심상(盡心上)으로부터 이야기가 전해졌습니다. 양주(楊朱)는 전국시대 학자중 한 사람으로서 자신만 쾌락에 빠지면 그걸로 되었다는 위아설(爲我說)을 주장했던 인물입니다. 위아설(爲我說)이 처음으로 출연했을때에는 극단적 이기주의라며 많은 사람들로부터 비판을 받았으나 자신의 소중함과 개인의 권리를 주장했다는 것으로부터 높은 가치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어느 날 묵자의 제자인 금활리(禽滑厘)와 양주(楊朱)가 대화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