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사성어 93

[오늘 하루 고사성어] 우보만리(牛步萬里)

1. 고사성어 우보만리(牛步萬里) 뜻과 풀이 牛 : 소 우 步 : 걸음 보 萬 : 일만 만 里 : 마을 리 우직한 소처럼 천천히 걸어서 만리를 간다는 뜻으로서 천천히 가더라도 포기하지 않으면 목표를 결국 이루어낸다는 의미 2. 고사성어 우보만리(牛步萬里) 유래 우리나라의 수많은 전래동화 중 [토끼와 거북이]를 모르는 이는 없을 것입니다. 마을 달리기 경주의 주자로서 나서게 된 토끼와 거북이중 이를 지켜보는 사람들은 모두 토끼가 우승을 하게 될 것이라고 굳게 믿었습니다. 토끼 자신 또한 자신이 우승을 하게 되리란 믿음이 있었죠. 상대는 너무나도 느린 거북이였기 때문입니다. 거북이 또한 자신이 느리다는 사실에 대해 부인하지는 않았으나 포기하지 않았습니다. 토끼는 자신의 능력과 거북이의 능력만을 믿고 나무아래..

[오늘 하루 고사성어] 기사회생(起死回生)

1. 고사성어 기사회생(起死回生) 뜻과 풀이 起 : 기동할 기 死 : 죽을 사 回 : 돌아올 회 生 : 살 생 죽은 사람이 일어나서 다시 살아 돌아왔다는 뜻으로서 죽을 고비를 넘겼다는 의미 2. 고사성어 기사회생(起死回生) 유래 고사성어 기사회생은 사기(史記) 편작창공열전(扁鵲倉公列傳)에서 나온 중국 춘추시대 전설 속의 명의인 진월인(秦越人)의 이야기로부터 비롯되었습니다. 편작(扁鵲)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발해군 막읍 사람으로서 원래는 평범한 숙소 직원이었을 뿐이었습니다. 진월인(秦越人)이 명의가 된 것은 숙소 직원으로 일하던 중 우연히 만난 빈객 장상이라는 사람 덕분이었습니다. 진월인(秦越人)은 장상군(長桑君)을 보자마자 그가 범상치 않음을 알아차리고는 귀빈으로 10여 년가량을 극진하기 모셨습니다..

[오늘 하루 고사성어] 일패도지(一敗塗地)

1. 고사성어 일패도지(一敗塗地) 뜻과 풀이 一 : 한 일 敗 : 패할 패 塗 : 더럽힐 도 地 : 땅 지 한번 패하고 땅에 떨어진다는 뜻으로서 패하여 다시는 일어나지 못한다는 의미 2. 고사성어 일패도지(一敗塗地) 유래 고사성어 일패도지(一敗塗地)는 사기(史記) 고조본기(高祖本記)에서 유래되었습니다. 한나라 건국에 한 획을 그은 유방은 패현(沛縣) 사수(泗水)의 형장(亨長)직을 맡았는데 당시 진나라는 시황제가 죽고 2세 황제 호해(胡亥)가 제위를 이어받았던 상황이었으며 대규모의 공사를 무리하게 진행하여 전국각지의 백성들을 불러다가 강제노역을 일삼는 만행을 저지르던 시기였습니다. 무리한 공사는 많은 이들의 희생을 일삼았고 도망치다 잡혀 죽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그 누구도 이 일이 끝나면 고향으로 돌아갈 ..

[오늘 하루 고사성어] 기화가거(奇貨可居)

1. 고사성어 기화가거(奇貨可居) 뜻과 풀이 奇 : 기이할 기 貨 : 재화 화 可 : 옳을 가 居 : 살 거 기이한 재물을 쌓아두는 것은 당연하다는 뜻으로서 훗날의 기회를 위해(높은 가격으로 판매하기 위해) 당분간 보관해 놓는다는 의미 또는 좋은 기회를 놓치지 않고 잡으려 한다는 의미 2. 고사성어 기화가거(奇貨可居) 유래 고사성어 기화가거(奇貨可居)는 사기(史記) 여불위전(呂不韋傳)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중국 전국시대 말기에 여불위(呂不韋)라는 인물이 있었습니다. 본디 직업은 국경을 넘나들며 장사를 했던 대상인(大商人)이었으며 수완이 뛰어나고 이재에 밝아 이로 인해 대부호로 거듭나게 되었습니다. 훗날 진나라의 정치가로서 최고의 상국으로 활동했으나 진시황의 모후인 태후와 밀통관계를 유지하다 끝내는 진시황제..

[오늘 하루 고사성어] 명경지수(明鏡止水)

1. 고사성어 명경지수(明鏡止水) 뜻과 풀이 明 : 밝을 명 鏡 : 거울 경 止 : 그칠 지 水 : 물 수 밝은 거울과 정지된 물이라는 뜻으로서 고요하고 깨끗한 마음을 의미 2. 고사성어 명경지수(明鏡止水) 유래 고사성어 명경지수(明鏡止水)는 장자(莊子) 덕충부편(德充符篇)에서 유래되었습니다. 고대 중국 노나라에는 왕태(王駘)라는 인물이 있었는데 어쩌다 죄를 지어 한쪽발이 잘리는 형벌을 받아 외발이로 사는 사람이었습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를 따르고자 하는 제자들이 많아서 공자의 제자들의 그것과 맞먹을 정도였지요. 공자의 제자 중에 한 명인 상계(常季)는 이를 못마땅하게 여겼습니다. 하루는 그가 자신의 스승인 공자에게 질문을 던졌습니다. "왕태(王駘)라는 사람은 외발이의 신체를 가지고 있음에도 ..

[오늘 하루 고사성어] 목탁(木鐸)

1. 고사성어 목탁(木鐸) 뜻과 풀이 木 : 나무 목 鐸 : 방울 탁 나무로 만들어진 방울이라는 뜻으로서 속이 비어있는 방울모양의 나무를 나무채로 두드려 소리를 내는 불교의식의 용구 2. 고사성어 목탁(木鐸) 유래 목탁(木鐸)은 부처님앞에서 염불·독경·예불을 할때에 사용되거나 식사시간을 알릴 때 그리고 대중들을 모을 때의 신호로 사용되는 불교의식의 용구 중에 하나입니다. 박달나무나 은행나무와 같은 많은 목재로 만들어지지만 목탁(木鐸)을 만들기 위한 가장 좋은 재료는 대추나무라고 합니다. 목탁(木鐸)이 생겨난 유래는 본디 한 스승밑에서 가르침을 받고 성장하고 있었던 제자 중 한명이 스승으로부터 가르침을 어기고 죽은 뒤에 물고기로 태어나게 되었는데 평범한 물고기가 아닌 등에서 나무가 자라나고 있는 상태였다고..

[오늘 하루 어휘력] 반면교사(反面敎師)

1. 반면교사(反面敎師)란 무엇인가 반면교사(反面敎師)란 사물이나 사람으로부터 나온 부정적인 결과물을 보았거나 들음으로 깨닫거나 가르침을 받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면 어느 한 아이가 위험한 행동을 한 뒤에 부상을 크게 입었는데 다른 아이가 해당아이가 다친 것을 보고는 그 행동이 얼마나 위험한 것인지에 대해 누군가 가르쳐주지 않아도 자연스레 학습으로서 터득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죠. 한마디로 "나는 절대 그러지 말아야지.."하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반면교사(反面敎師)는 중국의 초대 주석이자 독재자인 마오쩌둥(毛澤東)이 1957년 중국 공산당 간부들 앞에서 제국주의자와 반동파 그리고 수정주의자를 가리키면서 "그들을 반면교사(反面敎師)로 삼아야 한다."는 말을 한데에서 유래했으며 그 이후에 많은 사람들이 ..

[오늘 하루 고사성어] 비육지탄(髀肉之歎)

1. 고사성어 비육지탄(髀肉之歎) 뜻과 풀이 髀 넓적다리 비 肉 고기 육 之 어조사 지 嘆 탄식할 탄 넓적다리 살이 오른 것을 보고 탄식한다는 뜻으로서 덧없이 세월을 보내고 있는 것에 대한 한탄을 의미 2. 고사성어 비육지탄(髀肉之歎) 유래 고사성어 비육지탄(髀肉之歎)은 중국 역사서중 하나인 삼국지(三國志) 촉지(蜀志)에 유비 이야기에서 유래되었습니다. 군사를 일으켰고 황건적의 난을 평정하기도 했으며 여포를 무찌르는 등의 많은 활동을 했지만 결말은 조조의 실권을 쥐어주는 격이 되고야 말았습니다. 마침내 유비는 조조를 죽이기를 시도하기 위해 유표에게 뒤를 쳐야 한다 진언했지만 유표는 유비의 말을 귀담아듣지 않았고 조조는 그렇게 허베이공략에 집중할 수 있었습니다. 뒤늦게 유표는 자신이 안일하게 대처한 것에 ..

[오늘 하루 고사성어] 본립도생(本立道生)

1. 고사성어 본립도생(本立道生) 뜻과 풀이 本 : 밑 본 立 : 설 립 道 : 길 도 生 : 날 생 근본을 세우면 절로 길이 생긴다는 뜻 2. 고사성어 본립도생(本立道生) 유래 고사성어 본립도생(本立道生)은 중국 고전(古典) 논어(論語) 학이(學而) 편에서 유래되었습니다. 공자(孔子)의 많은 제자 중에서는 유자(有子)와 증자(曾子)가 있습니다. 뒤에 자(子)를 붙이는 이유는 존칭을 의미하며 공자의 수 많은 제자 중에 유자(有子)와 증자(曾子)이 두 사람만 뒤에 자(子)를 붙힐만큼 공자(孔子)가 아끼는 두 사람이었다고 합니다. 심지어 유자(有子)는 제자들이 공자(孔子)가 죽으면 유자(有子)를 대신 스승으로서 섬기는 것이 어떻겠냐는 제안이 나왔을 정도라고 하죠. 君子務本 本立而道生 (군자무본 본립이도생) ..

[오늘 하루 고사성어] 백유지효(伯兪之孝)

1. 고사성어 백유지효(伯兪之孝) 뜻과 풀이 伯 : 맏 백 兪 : 그러할 유 之 : 갈 지 孝 : 효도 호 백유의 효도를 뜻하며 어버이를 향한 효심을 뜻함 2. 고사성어 백유지효(伯兪之孝) 유래 고사성어 백유지효(伯兪之孝)는 유향(劉向)이 편집했던 설화집인 《설원(說苑)》건본(建本) 편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유향(劉向)은 전한 시대의 학자로서 어려서부터 뛰어난 재능을 가지고 있어 간대부(諫大夫)로 활동했으며 수십 편의 부송을 지었습니다. 현재 설원(說苑)의 기록은 대다수가 사라진 상태이며 이미 북송시대 때 잔본만 남아있었던 상태였습니다. 그리고 그 잔본은 고려에서 소장하고 있었죠. 송나라의 황제는 고려에게 필사본만이라도 달라고 요청했고 고려가 소장했던 설원 고려본을 송나라로 보내주었다고 합니다. 중국 한(..

[오늘 하루 고사성어] 반구저기(反求諸己)

1. 고사성어 반구저기(反求諸己) 뜻과 풀이 反:돌이킬 반 求:구할 구 諸:지어 저 己:몸 기 잘못을 자신에게서 찾는다는 뜻으로서 남의 탓을 하기보다는 원인을 자신에게서 찾고 고쳐나가려고 노력한다는 의미 2. 고사성어 반구저기(反求諸己) 유래 行有不得者 皆反求諸己 其身正而天下歸之(행유부득자 개반구저기 기신정이천하귀지) 행동을 하고도 얻지 못하는 것이 있다면 자신에게서 원인을 찾아라 나 자신이 올바르다면 온 세상이 뒤를 따를 것이다. 고사성어 반구저기(反求諸己)는 《맹자(孟子)》 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맹자는 중국 전국시대의 유교사상가로서 공자의 손자인 자사(子思)의 문하생에게 유교사상을 배웠기에 공자와는 같은 시대에는 살지 않았지만 공자의 영향을 받은 인물입니다. 전국시대에 나왔던 제자백가(諸子百家)중의 ..

[오늘 하루 고사성어] 낙양지귀(洛陽紙貴)

1. 고사성어 낙양지귀(洛陽紙貴) 뜻과 풀이 洛 : 물 이름 락 陽 : 볕 양 紙 : 종이 지 貴 : 귀할 귀 낙양땅에 종이 값이 크게 상승하다는 뜻으로서 오늘날의 베스트셀러를 의미 2. 고사성어 낙양지귀(洛陽紙貴) 유래 고사성어 낙양지귀는 《진서(晉書)》 〈문원전(文苑傳)〉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춘추 전국시대 진나라에 좌사(左思)라는 유명한 시인이 있었습니다. 제나라의 출신이면서 선비집안이란 환경에서 태어나 전중시어사(殿中侍御史)로 발탁된 아버지 좌옹 아래에서 성장한 탓인지 그는 유독 소극적인 성격에 사람들과의 접촉을 꺼려하는 성격을 가졌습니다. 하지만 좌사(左思)의 문장력은 뛰어났다고 합니다. 한번 붓을 들기 시작하면 막힘없이 써 내려가는 그의 시는 장엄하다 못해 화려하기까지 했다고 합니다. 때는 일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