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자성어 11

[오늘 하루 고사성어] 우보만리(牛步萬里)

1. 고사성어 우보만리(牛步萬里) 뜻과 풀이 牛 : 소 우 步 : 걸음 보 萬 : 일만 만 里 : 마을 리 우직한 소처럼 천천히 걸어서 만리를 간다는 뜻으로서 천천히 가더라도 포기하지 않으면 목표를 결국 이루어낸다는 의미 2. 고사성어 우보만리(牛步萬里) 유래 우리나라의 수많은 전래동화 중 [토끼와 거북이]를 모르는 이는 없을 것입니다. 마을 달리기 경주의 주자로서 나서게 된 토끼와 거북이중 이를 지켜보는 사람들은 모두 토끼가 우승을 하게 될 것이라고 굳게 믿었습니다. 토끼 자신 또한 자신이 우승을 하게 되리란 믿음이 있었죠. 상대는 너무나도 느린 거북이였기 때문입니다. 거북이 또한 자신이 느리다는 사실에 대해 부인하지는 않았으나 포기하지 않았습니다. 토끼는 자신의 능력과 거북이의 능력만을 믿고 나무아래..

[오늘 하루 고사성어] 본립도생(本立道生)

1. 고사성어 본립도생(本立道生) 뜻과 풀이 本 : 밑 본 立 : 설 립 道 : 길 도 生 : 날 생 근본을 세우면 절로 길이 생긴다는 뜻 2. 고사성어 본립도생(本立道生) 유래 고사성어 본립도생(本立道生)은 중국 고전(古典) 논어(論語) 학이(學而) 편에서 유래되었습니다. 공자(孔子)의 많은 제자 중에서는 유자(有子)와 증자(曾子)가 있습니다. 뒤에 자(子)를 붙이는 이유는 존칭을 의미하며 공자의 수 많은 제자 중에 유자(有子)와 증자(曾子)이 두 사람만 뒤에 자(子)를 붙힐만큼 공자(孔子)가 아끼는 두 사람이었다고 합니다. 심지어 유자(有子)는 제자들이 공자(孔子)가 죽으면 유자(有子)를 대신 스승으로서 섬기는 것이 어떻겠냐는 제안이 나왔을 정도라고 하죠. 君子務本 本立而道生 (군자무본 본립이도생) ..

[오늘 하루 고사성어] 반구저기(反求諸己)

1. 고사성어 반구저기(反求諸己) 뜻과 풀이 反:돌이킬 반 求:구할 구 諸:지어 저 己:몸 기 잘못을 자신에게서 찾는다는 뜻으로서 남의 탓을 하기보다는 원인을 자신에게서 찾고 고쳐나가려고 노력한다는 의미 2. 고사성어 반구저기(反求諸己) 유래 行有不得者 皆反求諸己 其身正而天下歸之(행유부득자 개반구저기 기신정이천하귀지) 행동을 하고도 얻지 못하는 것이 있다면 자신에게서 원인을 찾아라 나 자신이 올바르다면 온 세상이 뒤를 따를 것이다. 고사성어 반구저기(反求諸己)는 《맹자(孟子)》 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맹자는 중국 전국시대의 유교사상가로서 공자의 손자인 자사(子思)의 문하생에게 유교사상을 배웠기에 공자와는 같은 시대에는 살지 않았지만 공자의 영향을 받은 인물입니다. 전국시대에 나왔던 제자백가(諸子百家)중의 ..

[오늘 하루 고사성어] 마이동풍 (馬耳東風)

1. 고사성어 마이동풍(馬耳東風) 뜻과 풀이 馬 말 마 耳 귀 이 東 동녘 동 風 바람 풍 말의 귀에 스치는 동풍으로서, 남의 말이 귀를 기울이지 않고 흘려보낸다는 의미 2. 고사성어 마이동풍(馬耳東風) 유래 고사성어 마이동풍(馬耳東風)은 이백과 왕십이 주고받은 편지로부터 유래가 되었습니다. 이백과 왕십이가 살았던 나라는 중국 당나라였습니다. 이백이 살던 당나라의 당현종은 양귀비의 품에서만 놀아났고 당 정치의 부패는 극에 달했으며 민생은 피폐해질 대로 피폐해진 상태로 극심히 어지러웠던 시기였습니다. 이백은 어릴 적부터 뛰어난 인재였기에 일찍이 과거에 합격하고 왕의 신하로서 살았으나 본인의 능력을 다 펼치지 못하고 당현종에게 시만 지어 올렸다가 세상에 대한 회한을 느끼고 관직을 내려놓았습니다. 이백과 왕십..

[오늘 하루 고사성어] 입신양명(立身揚名)

1. 고사성어 입신양명(立身揚名) 뜻과 풀이 立 : 설 립 身 : 몸 신 揚 : 오를 양 名 : 이름 명 출세하여 세상에 이름을 널리 알린다는 의미 2. 고사성어 입신양명(立身揚名) 유래 고사성어 입신양명(立身揚名)은 유교(儒敎) 최초의 경전(經典) 효경(孝經)에서 유래했습니다. 자신의 수많은 제자 중 한 명인 증자(曾子)에게 공자가 효에 대한 내용을 전한 것으로 훗날 제자들이 모여 편저(編著)를 했습니다. 하지만 언제 이 책이 완성이 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정확한 기록이 없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신라시대 때 이 책이 전해졌으며 유교효도의 기본서가 되었다고 합니다. 身體髮膚 受之父母(신체발부 수지부모) 인간의 몸은 부모로 부터 만들어진 것이니 不敢毁傷 孝之始也(불감훼상 효지시야) 다치지 않고 건강한 신체를 ..

[오늘 하루 고사성어] 전전반측(輾轉反側)

1. 고사성어 전전반측(輾轉反側) 뜻과 풀이 輾 : 돌아누울 전 轉 : 구를 전 反 : 뒤척일 반 側 : 기울 측 수레바퀴가 끝없이 돌며 뒤척인다는 뜻으로서, 근심과 걱정으로 잠을 이루지 못함을 의미 2. 고사성어 전전반측(輾轉反側) 유래 고사성어 전전반측(輾轉反側)은 중국 시경(詩經)의 관관저구(關關雎鳩)의 한 구절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시경은 주초부터 춘추시대초기까지 총 305편으로 이루어진 민요를 중심으로 하여 모아놓은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시집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원래는 3천여 편의 시들을 공자가 311편으로 간추려 모아놓은 것이라고 알려져 있었으나, 오늘날까지 전해지는 시들은 오로지 305편뿐입니다. 關關雎鳩(관관저구) 꾸욱꾸욱 우는 물수리 在河之洲(재하지주) 황하의 모래섬에 있도다 窈窕淑女(요..

[오늘 하루 고사성어] 난형난제(難兄難弟)

1. 고사성어 난형난제(難兄難弟) 뜻과 풀이 難 : 어려울 난 兄 : 형 형 難 : 어려울 난 弟 : 아우 제 형과 아우 중 누구를 선택해야 할지에 대해 난감하다는 뜻으로서 우열을 가리기가 어렵다는 의미 2. 고사성어 난형난제(難兄難弟) 유래 후한 말 많은 이들로부터 덕망과 인심이 너그러운 한 아버지 진식과 그의 두 아들 원방과 계방 세명의 사람은 세군자라고 불리었습니다. 진식은 태구현의 현감으로 있으면서 고을 주민들에게 많은 도움을 주려 노력하였으며 옳고 그름을 확실하게 하는 성품에 있어 마을에 분쟁 같은 것들이 존재하지 않았다 합니다. 세군자 집에 도둑이 든 일화는 유명 일화 중 하나입니다. 천장 들보위에 숨어들었던 도둑은 세 부자들의 대화내용을 듣고는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고 용서를 빌자 비단 두 필..

[오늘 하루 고사성어] 낙화유수(落花流水)

1. 고사성어 낙화유수(落花流水) 뜻과 풀이 落 : 떨어질 낙 花 : 꽃 화 流 : 흐를 유 水 : 물 수 지는 꽃과 흐르는 물이라는 뜻으로 모든 것들은 쇠약해지고 보잘것 없어진다는 의미와 남녀가 서로를 그리워한다는 의미 2. 고사성어 낙화유수(落花流水) 유래 고사성어 낙화유수(落花流水)는 당나라 말기의 시인인 고변이 쓴 방은자불우(訪隱者不遇)라는 시에서 유래가 되었습니다. 고변은 금군장령으로 지냈으나 황소의 난을 진압하다가 지방관직으로 좌천되었고 마지막엔 부하의 배반으로 살해를 당해버리는 불운을 겪은 인물입니다. 봄날에 은자를 만나고자 찾아갔으나 끝내 만나지 못하고 탄식을 하며 지은 시가 바로 방은자 불우입니다. 落花流水認天臺(낙화유수인천대) 꽃이 떨어지고 물이 흐르니 세상의 넓음을 알겠노라 半醉閑吟獨..

[오늘 하루 고사성어] 고희(古稀)

1. 고사성어 고희(古稀) 뜻과 풀이 古 옛 고 稀 드물 희 70세라는 의미 2. 고사성어 고희(古稀) 유래 고사성어 고희(古稀)는 두보의 시 [곡강이수]로 부터 유래되었습니다. 두보는 중국 당나라의 문인이자 이백과 함께 중국 역사상 최고의 시인으로 손꼽히고 있는 인물입니다. 두보의 인생은 굴곡이 무척 심했습니다. 재능도 뛰어나고 두뇌도 명석했지만 번번이 과거에 낙방을 하고 급제를 하더라도 강직하고 굳건한 성격 탓에 높은 벼슬자리를 얻기도 쉽지 않았습니다. 朝回日日典春衣 每日江頭盡醉歸 酒債尋常行處有 人生七十古來稀 穿花蛺蝶深深見 點水蜻蜓款款飛 傳語風光共流轉 暫時相賞莫相違. (조회일일전춘의 매일강두진취귀 주채심상행처유 인생칠십고래희 천화협접심심현 점수청정관관비 전어풍광공유전 잠시상상막상위) 조정에서 돌아올 ..

[오늘 하루 고사성어] 홍일점(紅一點)

1. 고사성어 홍일점(紅一點) 뜻과 풀이 紅 : 붉을 홍 一 : 한 일 點 : 찍을 점 한개의 붉은 점이라는 뜻으로서, 여럿 속에서 뛰어난 하나를 가리키는 의미로 사용되며, 일반적으로는 남자무리 중 유일한 여자를 가리킬때 자주 사용됨. 2. 고사성어 홍일점(紅一點) 유래 고사성어 홍일점(紅一點)은 송나라 왕인석에 의해 유래되었습니다. 송나라의 왕인석은 작은 지방의 하급관아였으나, 어려서 부터 학문에 뛰어났고 행정실무능력이 탁월하였으며 관개사업과 재정관리 업무능력을 인정받아 전국으로 널리 유명할 정도였습니다. 특히, 송나라의 왕안석이 신법을 인종에게 제안하여 개혁을 일으켰었는데, 국가재정을 탄탄하게 만들기 위함이었고 부국강병을 꾀하는 좋은 취지의 개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반대파의 견제와 불안한 정치의 상황으..

오늘 하루 사자성어 : 삼고초려

1. 고사성어 삼고초려 뜻과 풀이 三 : 석 삼 顧 : 돌아볼 고 草 : 풀 초 廬 : 농막집 려 三顧草廬(삼고초려) : 오두막집에 세 번 찾아간다는 뜻으로, 인재를 얻기 위해서는 자신을 낮추고 상대방에게 예를 다한다는 의미 2. 고사성어 삼고초려 유래 중국 후한 말, 한나라에서 유비와 관우 그리고 장비는 복숭아밭 아래에서 의형제를 맺었음에도 불구하고, 유비는 조조에게 수모를 당해왔습니다. 유비에게는 뛰어난 참모가 없었기 때문입니다. 고심하고 있는 유비에게 사마휘는 다가가서 용중이라는 마을에 제갈량이라는 인물이 재주가 뛰어나 유비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조언하였습니다. 유비는 관우와 장비를 데리고 제갈량을 만나고자 하였지만 그를 만날 수는 없었습니다. 찬 바람이 몸을 에워싸는 겨울의 계절 탓에 관우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