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진나라6 오늘 하루 고사성어 : 파죽지세 1. 고사성어 파죽지세 뜻과 풀이 破 : 깨뜨릴 파 竹 : 대 죽 之 : 의 지 勢 : 기세 세 파죽지세( 破竹之勢) 대나무를 쪼갤 때의 맹렬한 기세를 뜻함으로써 세력이 강대하여 감히 대적할 상대가 없음을 의미 2. 고사성어 파죽지세 유래 고사성어 파죽지세는 진서(晉書) 두예전에서 유래된 말입니다. 진서는 당나라 태종 지시 아래 진 왕조의 정사를 방현령이 만든 책입니다. 사마염은 조조가 세운 위나라를 없애고 제위에 올라 국호를 진나라로 고쳤습니다. 유비가 세웠던 촉나라도 망해버리고 삼국 중에 남은 나라라소는 오나라뿐이었죠. 남은 오나라 마저 점령하기 위해서 사마염은 두예를 필두로 한 군대를 파견 보냈습니다. 두예는 오나라를 점령하기 위해 참모장수들을 불러 모아 작전을 짜려하였습니다. 작전 회의 중 한 명.. 2022. 1. 28. 오늘 하루 고사성어 : 구사일생 1. 고사성어 구사일생 뜻과 풀이 九 아홉 구 死 죽을 사 一 한 일 生 살 생 구사일생(九死一生) 아홉 번 죽을 뻔하다가 한번 살아난다는 뜻으로서, 여러 차례 죽을 고비를 겪고 간신히 목숨을 건졌다는 의미 2. 고사성어 구사일생 유래 고사성어 구사일생은 전국시대 초나라에서 유래된 말입니다. 초나라에는 굴원(屈原)이라는 사람이 살고 있었습니다. 그는 유명한 시인이자 정치가였습니다. 학식이 깊었고 글재주가 남달랐기에 삼려대부라는 높은 벼슬에 오르기도 했으나 워낙 충직하고 곧은 성품을 가진 인물이었는지라 자신이 섬기는 회왕에게 충언 또한 아끼지 않았기에 주변 사람들로부터 시기를 받기도 했습니다. 어느 날, 진나라의 소왕은 초나라의 회왕에게 자신의 나라에 방문할 것을 요청하였습니다. 많은 신하들이 회왕에게 입.. 2022. 1. 26. 오늘 하루 고사성어 : 각주구검 1. 고사성어 각주구검 뜻과 풀이 刻 : 새길 각 舟 : 배 주 求 : 구할 구 劍 : 칼 검 각주구검(刻舟求劍) 배에 표시를 해놓고 나중에 검을 찾는다는 뜻으로 어리석고 미련한 사람을 의미 2. 고사성어 각주구검 유래 고사성어 각주구검은 진나라 여씨춘추(呂氏春秋)에 나오는 우화에서 유래된 말입니다. 여씨춘추는 기원전 239년 중국 진나라의 재상인 여불위가 주도하여 편집되었으며 전국의 식객들과 논개들을 불러 모아 춘추전국시대의 모든 사상들을 수집하여 정리하여 정치와 율령을 참고로 삼기 위해 저술된 일종의 백과사전과 같은 책이지요. 초나라에서의 어느 날 사람들은 배를 타기위해 강으로 모였습니다. 하지만 거센 바람이 심상치 않아 배에 타려는 사람들은 조금씩 걱정하기 시작했고 뱃사공은 이 정도의 바람은 괜찮다.. 2022. 1. 21. 오늘 하루 고사성어 : 분서갱유 1. 고사성어 분서갱유 뜻과 풀이 焚 태울 분 書 책 서 坑 흙구덩이 갱 儒 유가 유 분서갱유(焚書坑儒) 서적을 불태우고 수많은 유생들을 생매장한다는 뜻으로서, 사사로운 학문은 인정할 수 없다는 의미 2. 고사성어 분서갱유 유래 고사성어 분서갱유는 진나라의 진시황에서 유래된 말입니다. 전국 시대를 이끌어 가던 전국 7웅중 가장 막강한 나라로 손꼽히는 나라는 진나라였습니다. 그 진나라에는 진시황이 있었습니다. 다른 나라들보다 빠르게 새로운 문물과 제대를 받아들였기에 진나라는 더욱 부유하고 강국으로 만들어졌지요. 전국의 여러 개의 군을 세워 각 지역에 중앙관리를 보내 다스리는 군현제를 도입하였고 천하를 통일하며 자신을 시황제라고 부르도록 명령하였습니다. 하지만 흉노족의 진입을 막기위해 만리장성을 세우도록 명.. 2022. 1. 20. 오늘 하루 고사성어 : 계명구도 1. 고사성어 계명구도 뜻과 풀이 鷄 : 닭 계 鳴 : 울 명 狗 : 개 구 盜 : 훔칠 도 계명구도(鷄鳴狗盜) 닭의 울음소리를 내고, 개처럼 들어가 도둑질을 한다는 뜻으로서, 고상한 학문 없이 천박한 꾀를 써서 남을 속이는 사람을 의미 2. 고사성어 계명구도 유래 고사성어 계명구도는 전국시대 때 유래된 말입니다. 전국시대는 기원전 403년부터 221년 사이의 시기로서 중국 주의 동천부터 진의 통일까지의 시대를 일컫습니다. 전국시대는 각 나라의 왕들과 귀족들이 저마다 세력을 키우기 위해 인재의 등용을 적극적으로 수행하던 시기였습니다. 특히 제나라의 맹상군은 식객을 잘 대접하기로 유명했습니다. 아무리 천한 사람일지라도 한 가지의 재주가 뛰어나면 모두 받아들였기에 맹상군의 집에 드나들던 식객만 3천여 명가량.. 2022. 1. 11. 오늘 하루 사자성어 : 형설지공 1. 고사성어 형설지공 뜻과 풀이 螢 반딧불이 형 雪 눈 설 之 어조사 지 功 공 공 반딧불과 눈빛으로 공부하여 이룬 공이라는 뜻으로서, 어려움을 이겨내며 공부하여 이룬 성공을 의미 2. 고사성어 형설지공 유래 고사성어 형설지공은 중국 진나라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진나라에서는 밤늦도록 책읽는 것을 좋아하는 차윤이라는 인물이 살고 있었습니다. 책만을 붙들고 있는 차윤이 걱정되는 차윤의 늙은 어머니는 아들이 너무 걱정되어 책 읽는 것을 줄 곧 말리곤 했습니다. 오늘도 차윤은 열심히 책을 읽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갑자기 등불이 휙하고 꺼졌습니다. 등잔 기름이 더 떨어졌던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넉넉하지 않은 살림이라 기름을 살 돈이 없었습니다. 하는 수 없이 낮에만 책을 읽을 수 밖에 없었습니다. 어느 날, 차윤.. 2022. 1. 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