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자 15

[오늘 하루 고사성어] 등고자비(登高自卑)

1. 고사성어 등고자비(登高自卑) 뜻과 풀이 登 : 오를 등 高 : 높을 고 自 : 부터할 자 卑 : 낮을 비 높은 곳에 오르기 위해서는 낮은 곳부터 출발해야 한다는 뜻으로서 모름지기 일에는 순서가 있다는 의미 2. 고사성어 등고자비(登高自卑) 유래 君子之道 辟如行遠必自邇 辟如登高必自卑 詩曰 妻子好合 如鼓瑟琴 군자지도 비여행원필자이 비여등고필자비 시왈 처자호합 여고슬금 처자의 어울림이 거문고를 타는 듯하고 兄弟旣翕 和樂且眈 宣爾室家 樂爾妻帑 子曰 父母其順矣乎 형제기흡 화락차탐 의이실가 낙이처탕 자왈 기순의호인저 형제는 뜻이 맞아 화합을 이루고 화목하니 너의 처자 즐거우리라 위의 글은 중용(中庸) 제15장에서 나온 말로써 공자가 말씀하시기를 먼 곳에 가고자 한다면 가까운 곳부터 시작함이 맞고 높은 곳을 오..

[오늘 하루 고사성어] 교학상장(敎學相長)

1. 고사성어 교학상장(敎學相長) 뜻과 풀이 敎 : 가르칠 교 學 : 배울 학 相 : 서로 상 長 : 길 장 가르치고 배우면서 성장한다는 의미 2. 고사성어 교학상장(敎學相長) 유래 고사성어 교학상장(敎學相長)은 공자(孔子)가 편찬및 저술에 참여했던 중국 유교의 다섯가지 경서 라고 불리는 오경(五經)중 예기(禮記)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예기(禮記)는 고대 중국의 예를 논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으며 공자가 제자들에게 했던 말과 보여준 행동들을 그대로 본받아 제자들이 기록했으며 131편의 책을 모아 정리한 뒤에 선제때 유향(劉向)이 214편으로 엮었습니다. 學然後知不足 敎然後知困 (학연후지부족 교연후지곤) 사람은 배우고나서야 부족함을 알게되고 가르쳐 봐야 비로소 그 어려움을 깨닫게 된다 知不足然後能自反也 知困然..

[오늘 하루 고사성어] 명경지수(明鏡止水)

1. 고사성어 명경지수(明鏡止水) 뜻과 풀이 明 : 밝을 명 鏡 : 거울 경 止 : 그칠 지 水 : 물 수 밝은 거울과 정지된 물이라는 뜻으로서 고요하고 깨끗한 마음을 의미 2. 고사성어 명경지수(明鏡止水) 유래 고사성어 명경지수(明鏡止水)는 장자(莊子) 덕충부편(德充符篇)에서 유래되었습니다. 고대 중국 노나라에는 왕태(王駘)라는 인물이 있었는데 어쩌다 죄를 지어 한쪽발이 잘리는 형벌을 받아 외발이로 사는 사람이었습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를 따르고자 하는 제자들이 많아서 공자의 제자들의 그것과 맞먹을 정도였지요. 공자의 제자 중에 한 명인 상계(常季)는 이를 못마땅하게 여겼습니다. 하루는 그가 자신의 스승인 공자에게 질문을 던졌습니다. "왕태(王駘)라는 사람은 외발이의 신체를 가지고 있음에도 ..

[오늘 하루 고사성어] 온고지신(溫故知新)

1. 고사성어 온고지신(溫故知新) 뜻과 풀이 溫 : 익힐 온 故 : 옛 고 知 : 알 지 新 : 새 신 옛것을 익히고 새로운 것을 알아야 한다는 뜻으로서 옛것인 역사와 전통을 익혀 바탕 삼아 새로운 지식이 습득이 되어야 올바른 지식을 성립시킬 수 있다는 의미 2. 고사성어 온고지신(溫故知新) 유래 溫故而知新, 可以爲師矣. 온고이지신, 가이위사의. 이전에 배운 것들을 다시 복습하고 거기에 새로운 지식을 습득한다면 다른 이의 스승이 될 수 있다. 고사성어 온고지신(溫故知新)은 공자의 논어 위정에서 유래되었습니다. 공자는 학습만 하고 사색을 하지 않으면 흐리멍덩해지고 사색만을 즐기고 배움을 게을리한다면 위태로워짐을 강조했습니다. 기존이 성립된 정보들은 미래에 변화될 수는 있으나 자신이 서있는 오늘까지 과거의 ..

[오늘 하루 고사성어] 양금택목(良禽擇木)

1. 고사성어 양금택목(良禽擇木) 뜻과 풀이 良 : 좋을 량 禽 : 새 금 擇 : 가릴 택 木 : 나무 목 좋은 새는 좋은 나무인지 가려가며 둥지를 튼다는 뜻으로 현명한 사람은 아무에게나 자신을 맡겨서 종사하지 않고 자신의 재능을 키워줄 수 있는 사람을 선택해서 종사한다는 의미 2. 고사성어 양금택목(良禽擇木) 유래 고사성어 양금택목은 공자(孔子)가 지은 노나라(魯)의 역사서인 춘추(春秋)의 주석서인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哀公) 11년조에서 유래되었습니다. 공자는 인과 예를 중시하는 도를 유세(遊說) 하기 위해 제후국을 돌아다니던 중 위나라의 공문자(孔文子)가 위인이라는 이야기를 듣고는 그와 이야기를 나누고 싶어 했습니다. 그리고 공문자(孔文子)는 천하가 알아주는 유가의 시조가 찾아왔다며 무척 기뻐하..

[오늘 하루 고사성어] 후생가외(後生可畏)

1. 고사성어 후생가외(後生可畏) 뜻과 풀이 後 : 뒤 후 生 : 날 생 可 : 옳을 가 畏 : 두려워할 외 젊은 후학(後學)들을 두려워할 만하다는 뜻으로서 후배들이 선배보다 의지와 에너지가 강해서 선배를 능가하는 인물이 나올까 하는 두려운 감정을 의미 2. 고사성어 후생가외(後生可畏) 유래 고사성어 후생가외(後生可畏)는 논어 자한편(子罕篇)에서 그 유래가 시작되었습니다. 공자와 그의 제자들이 했던 말을 훗날의 기술자들이 편집해서 만든 것이 바로 논어입니다. 논어는 공자는 그 연결고리가 꽤 짙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논어를 공자가 지은 것으로 알고 있지만 정작 공자는 단 한 권의 책조차도 쓴 적이 없으며 한 문장 내지는 두어 문장정도 언급한 것을 훗날의 후배들이 그 의미를 분석하고 해석한 것이기 때..

[오늘 하루 고사성어] 본립도생(本立道生)

1. 고사성어 본립도생(本立道生) 뜻과 풀이 本 : 밑 본 立 : 설 립 道 : 길 도 生 : 날 생 근본을 세우면 절로 길이 생긴다는 뜻 2. 고사성어 본립도생(本立道生) 유래 고사성어 본립도생(本立道生)은 중국 고전(古典) 논어(論語) 학이(學而) 편에서 유래되었습니다. 공자(孔子)의 많은 제자 중에서는 유자(有子)와 증자(曾子)가 있습니다. 뒤에 자(子)를 붙이는 이유는 존칭을 의미하며 공자의 수 많은 제자 중에 유자(有子)와 증자(曾子)이 두 사람만 뒤에 자(子)를 붙힐만큼 공자(孔子)가 아끼는 두 사람이었다고 합니다. 심지어 유자(有子)는 제자들이 공자(孔子)가 죽으면 유자(有子)를 대신 스승으로서 섬기는 것이 어떻겠냐는 제안이 나왔을 정도라고 하죠. 君子務本 本立而道生 (군자무본 본립이도생) ..

[오늘 하루 고사성어] 근자열원자래(近者悅 遠者來)

1. 고사성어 근자열원자래(近者悅 遠者來) 뜻과 풀이 近 가까울 근 者 사람 자 悅 기꺼울 열 遠 멀 원 者 사람 자 來 올 래 가까운 사람을 기쁘게 하면 멀리 있는 사람까지 찾아온다는 뜻으로서 사람을 소중하게 대하라라는 의미 2. 고사성어 근자열원자래(近者悅 遠者來) 유래 고사성어 근자열원자래(近者悅 遠者來)는 초나라의 섭공과 공자의 이야기에서 유래가 된 말입니다. 섭공은 춘추전국시대 초나라의 영윤으로서 원래의 이름은 심제량(沈諸梁)이나 섭현 남쪽지역인 섭의 지방관으로 직무를 하여 섭공이라고 불리었습니다. 섭공은 공자와 아주 밀접한 관계가 있었는데 이전에 섭공이 공자의 제자인 자로에게 공자는 어떤 사람이냐고 묻는 데에 유래하여 발분망식(發憤忘食)이라는 고사성어가 나타나게 되었죠. 하루는 섭공이 공자에게..

[오늘 하루 고사성어] 불치하문(不恥下問)

1. 고사성어 불치하문(不恥下問) 뜻과 풀이 不 : 아닐 불 恥 : 부끄러울 치 下 : 아래 하 問 : 물을 문 아랫사람에게 묻는것을 부끄러워 하지 않는다는 뜻 2. 고사성어 불치하문(不恥下問) 유래 고사성어 불치하문(不恥下問)에 대한 유래는 두개가 있습니다. 하나는 논어의 주인공인 공자에게서 있었던 일입니다. 공자가 춘추시대의 위대한 사상가, 정치가, 교육가이자 성인군자임에도 불구하고 공자는 물어보는 것을 게을리 하지 않았습니다. 하루는 노나라 군주의 조상제례에 초대를 받아 공자는 참가했습니다. 노나라의 조상제례에 대하여 공자는 역시 주변사람들에게 이것저것 물어보았습니다. 이 모습을 지켜보았던 한 사람이 공자에게 저 사람은 누구인데 저렇게 예의범절 따위도 모르고 이것저것 묻냐며 조롱했다고 합니다. 조롱..

[오늘 하루 고사성어] 발분망식(發憤忘食)

1. 고사성어 발분망식(發憤忘食) 뜻과 풀이 發 : 일어날 발 憤 : 분낼 분 忘 : 잊을 망 食 : 밥 식 끼니까지 거르면서 목적을 향해 열심히 노력한다는 의미 2. 고사성어 발분망식(發憤忘食) 유래 고사성어 발분망식(發憤忘食)은 논어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논어는 중국 춘추시대 사상가였던 공자와 그의 제자들의 언행을 기록한 유교경전으로서 사서의 하나라고 합니다. 또한 언행을 기록한 것 중 최초로 발행된 것이라니 그만큼 역사적 가치가 높습니다. 공자의 많은 제자들 중 한명은 자로(子路)라는 인물이었습니다. 그는 처음 공자를 만났을 때에는 업신여기고 포악하게 굴었으나, 공자의 깨달음을 본받고는 다른 제자들의 요청에 의해서 공자의 제자가 되었으며 제자들 중 가장 뛰어난 10인이라는 이름의 '공문십철(孔門十哲)..

[오늘 하루 고사성어] 절차탁마(切磋琢磨)

1. 고사성어 절차탁마(切磋琢磨) 뜻과 풀이 切 : 끊을 절 磋 : 갈 차 琢 : 쪼을 탁 磨 : 갈 마 칼로 다듬고 줄로 쓸며 망치로 쪼고 숫돌로 간다는 뜻으로서, 학문, 도덕, 기예와 같은 것들을 갈고닦는다는 의미 2. 고사성어 절차탁마(切磋琢磨) 유래 저 치수이 강[淇水, 기수] 모퉁이를 보니, 푸른 대나무가 무성하도다! [瞻彼淇澳, 菉竹猗猗.] 아름다운 광채 나는 군자여! 잘라놓은 듯하고 간 듯하며 쪼아놓은 듯하고 간 듯하다. [有斐君子, 如切如磋, 如琢如磨, 瑟兮僩兮.] 엄밀하고 굳세며 빛나고 점잖으니, 아름다운 광채 나는 군자여! 끝내 잊을 수 없다. [赫兮喧兮, 有斐君子, 終不可諠兮.] [네이버 지식백과] 절차탁마 [切磋琢磨]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고사성어 절차탁마(切磋琢磨)는 시..

[오늘 하루 고사성어] 전전반측(輾轉反側)

1. 고사성어 전전반측(輾轉反側) 뜻과 풀이 輾 : 돌아누울 전 轉 : 구를 전 反 : 뒤척일 반 側 : 기울 측 수레바퀴가 끝없이 돌며 뒤척인다는 뜻으로서, 근심과 걱정으로 잠을 이루지 못함을 의미 2. 고사성어 전전반측(輾轉反側) 유래 고사성어 전전반측(輾轉反側)은 중국 시경(詩經)의 관관저구(關關雎鳩)의 한 구절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시경은 주초부터 춘추시대초기까지 총 305편으로 이루어진 민요를 중심으로 하여 모아놓은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시집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원래는 3천여 편의 시들을 공자가 311편으로 간추려 모아놓은 것이라고 알려져 있었으나, 오늘날까지 전해지는 시들은 오로지 305편뿐입니다. 關關雎鳩(관관저구) 꾸욱꾸욱 우는 물수리 在河之洲(재하지주) 황하의 모래섬에 있도다 窈窕淑女(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