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자 15

오늘 하루 고사성어 : 교언영색

1. 고사성어 교언영색 뜻과 풀이 巧 : 공교로울 교 言 : 말씀 언 令 : 하여금 영 色 : 빛 색 교언영색(巧言令色) 말을 교묘하게 하고 얼굴빛을 꾸민다는 뜻으로서, 남에게 아첨하는 태도를 의미 2. 고사성어 교언영색 유래 고사성어 교언영색은 공자의 논어에서 학이편이 나온 말입니다. "말을 교묘하게 하고 얼굴빛을 곱게 꾸미는 사람들 중에는 어진 사람을 찾기가 드물다."라고 말하였습니다. 또한 자로 편에서는 강직하고 의연하며 소박하고 어눌 한 자는 어진 성품에 가깝다고 말하였지요. 자신의 마음에 따라 진실한 마음으로 행동하는 것이야 말로 어진 사람이라고 공자는 말하였습니다. 교언영색에 대한 유래는 전국시대 제나라에서의 일화가 있습니다. 제나라에는 추기라는 인물이 있었습니다. 그는 그가 사는 지역에서 미..

오늘 하루 고사성어 : 과유불급

1. 고사성어 과유불급 뜻과 풀이 過 지나칠 과 猶 오히려 유 不 아닐 불 及 미칠 급 과유불급(過猶不及) 지나친 것은 미치지 못한 것만 못하다는 의미 2. 고사성어 과유불급 유래 고사성어 과유불급은 논어 선진의 대화에서 비롯되었습니다. 논어는 중국 춘추시대의 사상가로 활동했던 공자와 그의 제자들 사이에서 나온 그들의 언행을 기록한 유교 경전입니다. 공자는 서기전 551년 노나라에서 태어났습니다. 15살에 학문을 시작하여 20살이 되던 해에 이름을 널리 떨치게 되었으며 많은 제자들이 그를 따르게 되었습니다. 공자는 철저한 현실주의자로서 실천을 전제로 한 도덕이 핵심을 이루었습니다. 그를 따르는 제자가 대략 3천 명이었는데 그중 72인이 뛰어났다고 합니다. 어느 날 제자중 한 명이 공자에게 자장과 자하 중..

오늘 하루 고사성어 : 풍수지탄

1. 고사성어 풍수지탄 뜻과 풀이 風 : 바람 풍 樹 : 나무 수 之 : 갈 지 歎 : 탄식할 탄 風樹之歎(풍수지탄) : 나무가 고요하고자 하나 바람이 그치질 아니한다라는 뜻으로, 부모에게 효도를 하고자 맘먹을 때에는 이미 돌아가셔서 그 뜻을 이룰 수가 없다는 의미 2. 고사성어 풍수지탄 유래 고사성어 풍수지탄은 한시외전에 기록된 것에서 유래되었습니다. 한시외전은 한나라 때 한영이 지은 책으로서 내전은 4권, 외전은 6권으로 구성 되었으나 현재로서는 외전만 겨우 전해졌습니다. 한영은 문제 때 박사가 되었고 경제가 왕으로 즉위할 때에는 상산왕유순태부가 되었습니다. 공자가 더 나은 공부를 위해 유랑생활을 할 당시 서럽게 울고 있는 한 사내를 목격하게 되었습니다. 공자는 고통스럽게 울고 있는 그 사내에게 울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