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424

[오늘 하루 고사성어] 기화가거(奇貨可居)

1. 고사성어 기화가거(奇貨可居) 뜻과 풀이 奇 : 기이할 기 貨 : 재화 화 可 : 옳을 가 居 : 살 거 기이한 재물을 쌓아두는 것은 당연하다는 뜻으로서 훗날의 기회를 위해(높은 가격으로 판매하기 위해) 당분간 보관해 놓는다는 의미 또는 좋은 기회를 놓치지 않고 잡으려 한다는 의미 2. 고사성어 기화가거(奇貨可居) 유래 고사성어 기화가거(奇貨可居)는 사기(史記) 여불위전(呂不韋傳)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중국 전국시대 말기에 여불위(呂不韋)라는 인물이 있었습니다. 본디 직업은 국경을 넘나들며 장사를 했던 대상인(大商人)이었으며 수완이 뛰어나고 이재에 밝아 이로 인해 대부호로 거듭나게 되었습니다. 훗날 진나라의 정치가로서 최고의 상국으로 활동했으나 진시황의 모후인 태후와 밀통관계를 유지하다 끝내는 진시황제..

[오늘 하루 고사성어] 방약무인(傍若無人)

1. 고사성어 방약무인(傍若無人) 뜻과 풀이 傍 : 곁 방 若 : 같을 약 無 : 없을 무 人 : 사람 인 곁에 아무도 없다는 뜻으로서 주위 사람들을 전혀 의식하지 않고 제멋대로 행동하는 것을 의미 2. 고사성어 방약무인(傍若無人) 유래 고사성어 방약무인(傍若無人)은 사기(史記) 자객열전(刺客列傳)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위(衛)나라 사람인 형가(荊軻)라는 사람은 중국 역사상 손꼽힐 정도의 실력을 가진 자객으로서 문학과 무예를 모두 잘할 정도로 재능이 출중하고 침착하고 신중한 성격을 지닌 인물이었습니다.형가는 정치분야에도 워낙 관심도가 높았기에 하루는 위나라의 원군(元君)에게 자신의 뜻을 피력하고자 했으나 받아들여지지 못했고 큰 상심을 겪게된 그는 연(燕)나라를 포함한 여러나라를 떠돌며 현인들이나 호걸들을 ..

[오늘 하루 고사성어] 일명경인(一鳴驚人)

1. 고사성어 일명경인(一鳴驚人) 뜻과 풀이 一 : 한 일 鳴 : 새가 울 명 驚 : 놀랠 경 人 : 사람 인 새가 한번 울면 사람이 놀란다는 뜻으로서 평소 과묵한 성격을 가진 사람이 예상치 못하게 놀랄만한 일을 한다는 의미 2. 고사서어 일명경인(一鳴驚人) 유래 고사성어 일명경인은 사기(史記) 골계열전(滑稽列傳)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전국시대 제나라에는 손우곤(淳于髡)이라는 인물이 있었습니다. 제나라의 관료이자 학자였던 그는 생각이 깊고 말재주에 능했던지라 제나라에 위기가 찾아오면 무조건 손우곤을 사신으로서 주변국을 보내곤 했습니다. 반면에 제나라의 임금이었던 위왕(威王)은 정사를 돌보기는 커녕 밤낮으로 주연을 열기에 바빴습니다. 한 나라의 임금으로서 백성들을 굽어살펴야 함에도 불구하고 수수께끼와 주색을..

그래요, 나 민감해요(Sensitive) / 예민한사람이 살아남는 방법

1. 작가이자 신경정신과 전문의인 나가누마 무츠오(Mutsuo Naganuma) [그래요, 나 민감해요]를 지은 작가 나가누마 무츠오는 도카치 무츠미 클리닉 원장이자 HSP(highly sensitive person)에 대해 20여 년 이상 연구를 했던 사람이다. 홋카이도 도립 삿포로 의료 교육센터에서 오랜 시간 동안 근무했지만 어떠한 계기로 HSP(highly sensitive person)에 대해 관심이 생겨 HSP(highly sensitive person) 전문 클리닉을 개설하여 예민한 성격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는 사람들을 위해 꾸준한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그래요, 나 민감해요] 도서 뿐만 아니라 [너무 예민한 자신을 사랑하는 법], [타인과 잘 어울리지 못하는 사람이 바뀌는 책], [어른이..

[오늘 하루 고사성어] 위연구어(爲淵驅魚)

1. 고사성어 위연구어(爲淵驅魚) 뜻과 풀이 爲 : 할 위 淵 : 못 연 驅 : 몰 구 魚 : 고기 어 자신을 위해 한일이 오히려 자신에게 손해가 되는 결말을 맞이했다는 의미 2. 고사성어 위연구어(爲淵驅魚) 유래 孟子曰桀紂之失天下也 失其民也 맹자왈걸주지실천하야 실기민야 맹자가 말하기를 하나라의 걸왕과 은나라의 주왕이 천하를 잃은 이유는 失其民者 失其心也 실기민자 실기심야 그들의 백성을 잃었기 때문이며 백성을 잃었다는 것은 그들의 마음을 잃은 것이다 得天下有道 得其民 斯得天下矣 득천하유도 득기민 사득천하의 천하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은 백성들을 얻으면 천하를 얻을 수 있다 得其民有道 得其心 斯得民矣 득기민유도 득기심 사득민의 백성들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은 그들의 마음을 얻으면 된다 得其心 有道 所欲 與之聚..

[오늘 하루 고사성어] 목불식정(目不識丁)

1. 고사성어 목불식정(目不識丁) 뜻과 풀이 目 : 눈 목 不 : 아닐 불 識 : 알 식 丁 : 고무래 정 고무래를 보고도 정자를 알지 못한다는 뜻으로서 아무것도 모르는 어리석은 사람을 의미 2. 고사성어 목불식정(目不識丁) 유래 고무래는 농사를 짓기 위한 작업인 흙을 고르거나 씨를 뿌린 뒤에 흙을 덮을 때 그리고 추수한 곡식들을 모으거나 햇볕에 말리기 위해 곱게 펴는 활동을 하기 위한 농업 연장 중 하나입니다. 긴 막대 위에 머리는 갈퀴의 형태로 띄워져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고무래는 한자인 고무래 정(丁) 자와도 많이 닮아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목불식정(目不識丁)은 우리나라 속담 중 하나인 '낫 놓고 기역자도 모른다'와 같이 쉬운 글자를 보고도 알지를 못한다 또는 무식하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기도 합..

[오늘 하루 고사성어] 명경지수(明鏡止水)

1. 고사성어 명경지수(明鏡止水) 뜻과 풀이 明 : 밝을 명 鏡 : 거울 경 止 : 그칠 지 水 : 물 수 밝은 거울과 정지된 물이라는 뜻으로서 고요하고 깨끗한 마음을 의미 2. 고사성어 명경지수(明鏡止水) 유래 고사성어 명경지수(明鏡止水)는 장자(莊子) 덕충부편(德充符篇)에서 유래되었습니다. 고대 중국 노나라에는 왕태(王駘)라는 인물이 있었는데 어쩌다 죄를 지어 한쪽발이 잘리는 형벌을 받아 외발이로 사는 사람이었습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를 따르고자 하는 제자들이 많아서 공자의 제자들의 그것과 맞먹을 정도였지요. 공자의 제자 중에 한 명인 상계(常季)는 이를 못마땅하게 여겼습니다. 하루는 그가 자신의 스승인 공자에게 질문을 던졌습니다. "왕태(王駘)라는 사람은 외발이의 신체를 가지고 있음에도 ..

[오늘 하루 고사성어] 누란지위(累卵之危)

1. 고사성어 누란지위(累卵之危) 뜻과 풀이 累 : 묶을 누 卵 : 알 란 之 : 갈 지 危 : 위태할 위 묶인 알이라는 뜻으로 매우 위태로운 상태를 의미 2. 고사성어 누란지위(累卵之危) 유래 고사성어 누란지위는 사마천이 지은 사기(史記) 범수채택열전(范睢蔡澤列傳)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위나라에는 범수(范睡)라는 인물이 있었는데 그의 말솜씨는 청산유수였고 능력 또한 출중했으나 가난하고 집안도 미천했던 출신 탓에 위나라의 중대부인 수가(須賈)의 부하로서 수행했습니다. 그의 정확한 이름을 알 수는 없으나 누군가는 그를 범수(范睡)라 하고 또 다른 이는 범저(范雎)라고 했는데 이는 수(睡)와 저(雎)가 비슷하게 생겼기도 하고 기록이 오래되었던 탓에 생긴 오류이나 사기(史記)에는 범수(范睡)로 기록이 되어 있습..

[오늘 하루 어휘력] 골디락스(Goldilocks)

1. 골디락스(goldilocks)와 곰 세 마리 이야기 "옛날 옛날에 예쁜 금발머리를 가진 골디락스(goldilocks)라는 한 소녀가 살고 있었습니다. 어느 날 골디락스(goldilocks)는 숲 속을 헤매다 오두막 한 채를 발견하고는 이내 그곳을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보편적인 이야기로 시작되는 이 전래동화는 그 오두막에서 포리지 세 그릇과 세 개의 의자 그리고 세 개의 침대를 보고는 그 소녀에게 어울리는 각각의 아이템들을 찾아 먹고 사용하게 됩니다. 적절한 온도의 포리지를 싹 비우고 골디락스 자신의 엉덩이 사이즈에 알맞은 의자에 앉았으며 적절하게 푹신한 매트리스가 있는 침대에 누워 잠이 들게 됩니다. 소녀가 잠에서 깨었을 때에는 세 마리의 곰이 자신을 바라보고 있었고 그 사실에 깜짝 놀란 ..

[오늘 하루 고사성어] 명불허전(名不虛傳)

1. 고사성어 명불허전(名不虛傳) 뜻과 풀이 名 이름 명 不 아닐 불 虛 빌 허 傳 전할 전 이름은 헛되이 전해지지 않는다는 뜻으로서 이름 또는 명성이 익히 알려진 데에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는 의미 2. 고사성어 명불허전(名不虛傳) 유래 고사성어 명불허전(名不虛傳)은 고대 중국 전국시대 때 맹상군(孟嘗君)의 이야기에 의해 유래되었습니다. 맹상군(孟嘗君)은 제나라 왕족 출신으로서 분명은 전문(田文)이요 전국사군자(戰國四君子)중 가장 앞시대에 활동했던 인물입니다. 맹상군은 수천의 식객을 거느린 것을 명성이 자자했습니다. 인재들을 후하게 대접하고 그들이 떠나면 그들의 형편을 잘 기록해 두었다가 가족 및 친척들에게 선물을 보내었으니 맹상군의 주변에는 늘 많은 사람들이 함께 했습니다.어느날 그날도 다를 바 없이..

[오늘 하루 고사성어] 온고지신(溫故知新)

1. 고사성어 온고지신(溫故知新) 뜻과 풀이 溫 : 익힐 온 故 : 옛 고 知 : 알 지 新 : 새 신 옛것을 익히고 새로운 것을 알아야 한다는 뜻으로서 옛것인 역사와 전통을 익혀 바탕 삼아 새로운 지식이 습득이 되어야 올바른 지식을 성립시킬 수 있다는 의미 2. 고사성어 온고지신(溫故知新) 유래 溫故而知新, 可以爲師矣. 온고이지신, 가이위사의. 이전에 배운 것들을 다시 복습하고 거기에 새로운 지식을 습득한다면 다른 이의 스승이 될 수 있다. 고사성어 온고지신(溫故知新)은 공자의 논어 위정에서 유래되었습니다. 공자는 학습만 하고 사색을 하지 않으면 흐리멍덩해지고 사색만을 즐기고 배움을 게을리한다면 위태로워짐을 강조했습니다. 기존이 성립된 정보들은 미래에 변화될 수는 있으나 자신이 서있는 오늘까지 과거의 ..

제주 서귀포 표선해수욕장 근처 애견동반 카페 멜빌(Melvile)

1. 제주 서귀포 표선해수욕장 근처 애견 동반 카페 멜빌(Melvile) 정보 주소 : 제주 서귀포시 표선면 토산강왓로 7 멜빌 전화번호 : 010-9069-6036 영업시간 : 11:00 - 18:00 (매주 목요일 정기휴무) 포장, 화장실, 네이버페이 공식 인스타그램 : https://www.instagram.com/melville_coffee 2. 제주 서귀포 표선해수욕장 근처 애견동반 카페 멜빌(Melvile) 주차 및 주변정보 제주 서귀포 애견동반 가능 카페 멜빌(Melville)은 표선해수욕장 근처에 있습니다. 카페 멜빌(Melvile)로부터 산책을 하듯 도로변 쪽으로 조금 걷다 보면 애매랄드빛의 푸른 바다가 나옵니다. 드 넓은 백사장이 아름다운 표선해수욕장은 썰물시에는 둥근 백사장이 밀물시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