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하루]고사성어 152

오늘 하루 고사성어 : 읍참마속

1. 고사성어 읍참마속 뜻과 풀이 泣 : 울 읍 斬 : 벨 참 馬 : 말 마 謖 : 일어날 속 음참마속(泣斬馬謖) 울면서 마속을 베어낸다는 뜻으로서, 대의를 위해서 측근이라도 가차없이 제거하는 권력의 공정성과 과단성을 의미 2. 고사성어 읍참마속 유래 고사성어 읍참마속은 촉나라에서 유래된 말입니다. 촉나라는 위나라와 전쟁을 치르고 있던 중이었습니다. 촉나라의 제갈량은 위나라를 물리칠 수 있는 작전을 가지고 있었으나, 한가지 고민에 빠졌습니다. 촉군 식량을 옮기던 가정지역이 유독 불안했기 때문입니다. 이때 마속이 나타나서 자신이 가정지역으로 가겠다고 자청하였습니다. 아무리 군사들이 싸움을 잘한다 한들 본디 잘 먹여야 기운이 나는 법이기에 전쟁에서 보급의 중요성은 두말할 필요도 없었습니다. 더군다나 위나라에..

오늘 하루 고사성어 : 화룡점정

1. 고사성어 화룡점정 뜻과 풀이 畵 : 그림 화 龍 : 용 룡 點 : 점찍을 점 睛 : 눈동자 정 화룡점정(畵龍點睛) 용의 전체를 그린다음 마지막으로 용의 눈동자를 그린다는 뜻으로서, 가장 요긴한 부분을 마치어 일을 끝낸다는 의미 2. 고사성어 화룡점정 유래 고사성어 화룡점정은 중국 남북조시대 양나라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양나라에서는 장승요(張僧繇)라는 무신겸 궁정화가가 살고 있었습니다. 그는 힘들었더 마음을 다스리기 위해서 조용히 혼자 절을 찾았습니다. 어느 날, 장승요가 머물고 있던 절에 작은 소란이 일었습니다. 동자승이 말하기를 비둘기가 법당안으로 들어가 부처님께 똥을 싸지른다며 볼멘소리를 하자, 장승요는 비둘기를 쫓아내어주겠다며 동자승에게 붓과 물감을 가져다 달라 요구하였습니다. 장승요는 법당벽에..

오늘 하루 고사성어 : 결초보은

1. 고사성어 결초보은 뜻과 유래 結 맺을 결 草 풀 초 報 갚을 보 恩 은혜 은 결초보은(結草報恩) 풀을 묶어 은혜를 갚는다는 뜻으로서, 은혜가 사무쳐 죽어서도 잊지 않는다는 의미를 가짐 2. 고사성어 결초보은 유래 고사성어 결초보은은 중국 춘추시대, 진나라에서 유래된 말입니다. 진나라에는 위무자라는 사람이 있었습니다. 위무자에게는 아끼는 첩이 있었으나 둘 사이에는 자식이 없었죠. 어느 날 위무자는 병이 들어 몸져눕게 되었고 그는 살날이 얼마 남지 않았음을 몸소 느꼈습니다. 위무자는 본처의 아들인 위과를 불러 유언을 남겼습니다. 그의 유언은 자신이 죽게 되면 첩을 다른 곳에 시집보내라는 말이었죠. 위과는 아버지의 말에 따르겠다고 하였습니다. 위무자의 병이 날로 깊어지자 그는 아들인 위과를 다시 불렀습니..

오늘 하루 고사성어 : 계명구도

1. 고사성어 계명구도 뜻과 풀이 鷄 : 닭 계 鳴 : 울 명 狗 : 개 구 盜 : 훔칠 도 계명구도(鷄鳴狗盜) 닭의 울음소리를 내고, 개처럼 들어가 도둑질을 한다는 뜻으로서, 고상한 학문 없이 천박한 꾀를 써서 남을 속이는 사람을 의미 2. 고사성어 계명구도 유래 고사성어 계명구도는 전국시대 때 유래된 말입니다. 전국시대는 기원전 403년부터 221년 사이의 시기로서 중국 주의 동천부터 진의 통일까지의 시대를 일컫습니다. 전국시대는 각 나라의 왕들과 귀족들이 저마다 세력을 키우기 위해 인재의 등용을 적극적으로 수행하던 시기였습니다. 특히 제나라의 맹상군은 식객을 잘 대접하기로 유명했습니다. 아무리 천한 사람일지라도 한 가지의 재주가 뛰어나면 모두 받아들였기에 맹상군의 집에 드나들던 식객만 3천여 명가량..

오늘 하루 고사성어 : 죽마고우

1. 고사성어 죽마고우 뜻과 풀이 竹 대나무 죽 馬 말 마 故 옛 고 友 벗 우 죽마고우(竹馬故友) 죽마(대나무 말)를 타고 함께 놀던 옛 친구라는 뜻으로서, 어릴 때부터 가까운 사이를 유지하며 자란 친구라는 의미 2. 고사성어 죽마고우 유래 고사성어 죽마고우는 317년-420년 사이인 동진시대때 유래된 말입니다. 동진시대에 환온과 은호라는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이 둘은 어렸을 적부터 사이좋은 친구사이였죠. 이 둘이 성장하여 훗날 환온이 권세를 차지하게 되자 황제는 그의 권세를 두려워하여 은호를 불러들였습니다. 조정에서 은호를 몇 번이나 불렀지만 환온과는 달리 조정의 제안을 매번 거절하여 초야에 묻혀있었습니다. 하지만 간곡한 왕의 부탁으로 부름을 차마 물리칠 수 없어 결국 벼슬길에 오르게 되었습니다. 이..

오늘 하루 고사성어 : 어부지리

1. 고사성어 어부지리 뜻과 풀이 漁 : 고기 잡을 어 夫 : 사내 부 之 : 어조사 지 利 : 이로울 리 어부지리(漁夫之利) 두 사람이 다투는 사이, 그 덕에 엉뚱한 제삼자가 이득을 본다는 의미 2. 고사성어 어부지리 유래 고사성어는 중국의 전국책(戰國策)의 연책(燕策)에서 비롯된 말입니다. 전국책은 중국 전한시대의 유향이라는 사람이 동주 후기인 전국시대 전략가들의 책략을 편집한 책이라고 합니다. 이 책의 내용은 왕의 중심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책사, 모사, 설객들이 온갖 꾀를 다 부린 이야기를 중심으로 기록된 것으로 내용이 거칠고 난해한 부분도 많아 훗날 여러 사람이 주를 달은 교주본까지 나왔다고 합니다. 중국 전국시대, 연나라에서 흉년이 들어 백성들이 배를 굶게 되는 상황이 잦아지자 나라마저 나..

오늘 하루 고사성어 : 배수진

1. 고사성어 배수진 뜻과 풀이 背 등질 배 水 물 수 陣 진 칠 진 배수진(背水陣) 강물을 등지고 진을 진다는 뜻으로, 어떤 일에 결사적인 각오를 임한다는 의미 또는 죽을 각오로 일을 마주함 2. 고사성어 배수진 유래 고사성어 배수진은 중국 한나라에서 유래되었습니다. 한나라에는 한신이라는 장군이 있었습니다. 당시 한나라는 조나라와 사이가 좋지 않았었는데 한신 장군이 조나라를 공격하기 위해 다다랐을때 즈음 강물을 등진 채 진을 치도록 지도하였습니다. 이 모습을 보게 된 조나라 군사들은 한신을 비웃었습니다. 조나라의 군사력에 비해 한나라의 군사는 오합지졸에 불과하였으니 배수진을 치고 있는 그들의 모습이 조나라의 입장에서는 우스꽝 스러울수밖에 없었습니다. 한신의 부하들도 불안하긴 마찬가지였습니다. 강을 등지..

오늘 하루 고사성어 : 건곤일척

1. 고사성어 건곤일척 뜻과 풀이 乾 : 하늘 건 坤 : 땅 곤 一 : 한 일 擲 : 던질 척 乾坤一擲(건곤일척) : 하늘과 땅을 걸고 운에 맡기어 던진다는 뜻으로서, 자신의 운명을 모두 하늘에 맡기고 어떠한 일을 단행한다는 의미 2. 고사성어 건곤일척 유래 고사성어 건곤일척은 중국 초나라와 한나라에 살고 있는 항우와 유방 이야기에서 유래되었습니다. 항우는 초나라의 명장이자 명문 귀족 출신이었고 유방은 패현 정장 출신인 서민이었습니다. 이 둘은 천하를 두고 서로 황제가 되고자 치열하게 다투고 있었던 상황이었습니다. 오랜 싸움으로 지쳐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승부는 나질 않아 결국 둘은 협상을 하기로 했습니다. 많은 죽음으로 희생당한 백성들이 안타까운 나머지 땅을 반으로 갈라 서쪽은 한나라로 동쪽은 초나라가 되..

오늘 하루 고사성어 : 계륵

1. 고사성어 계륵 뜻과 풀이 鷄 : 닭 계 肋 : 갈비 륵 닭의 갈비뼈라는 뜻으로, 큰 쓸모나 이익은 없지만 버리기엔 아까운 애물단지같은 것들이나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난처한 상황을 이르는 말 2. 고사성어 계륵 유래 계륵은 후한서(後漢書)의 양수전(楊脩傳)에서 유래한 고사성어 입니다. 후한서는 중국 남북조시대 남소 송의 범엽이 편안한 기전체 사서로서 광무제에서 헌제에 이르는 후한의 13대 196년 역사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위나라의 조조와 촉나라의 유비는 한중이라는 지역을 놓고 다툼을 벌이고 있었습니다. 한중은 토지가 비옥하고 물산이 풍부한 전략적인 요충지이며 누가 이 땅을 차지하느냐에 따라 서로에게 위협이 되는 토지였기 때문에 위나라의 조조와 촉나라의 유비는 어느 한쪽도 양보할 수 없었습니다. ..

오늘 하루 고사성어 : 풍수지탄

1. 고사성어 풍수지탄 뜻과 풀이 風 : 바람 풍 樹 : 나무 수 之 : 갈 지 歎 : 탄식할 탄 風樹之歎(풍수지탄) : 나무가 고요하고자 하나 바람이 그치질 아니한다라는 뜻으로, 부모에게 효도를 하고자 맘먹을 때에는 이미 돌아가셔서 그 뜻을 이룰 수가 없다는 의미 2. 고사성어 풍수지탄 유래 고사성어 풍수지탄은 한시외전에 기록된 것에서 유래되었습니다. 한시외전은 한나라 때 한영이 지은 책으로서 내전은 4권, 외전은 6권으로 구성 되었으나 현재로서는 외전만 겨우 전해졌습니다. 한영은 문제 때 박사가 되었고 경제가 왕으로 즉위할 때에는 상산왕유순태부가 되었습니다. 공자가 더 나은 공부를 위해 유랑생활을 할 당시 서럽게 울고 있는 한 사내를 목격하게 되었습니다. 공자는 고통스럽게 울고 있는 그 사내에게 울고..

오늘 하루 고사성어 : 곡학아세

1. 고사성어 곡학아세 뜻과 풀이 曲 : 굽을 곡 學 : 배울 학 阿 : 언덕 아 世 : 인간 세 曲學阿世(곡학아세) : 학문에 굽혀 세상에 아첨한다는 뜻으로서, 그릇된 학문을 이용하여 권력자에게 아첨한다는 의미 2. 고사성어 곡학아세 유래 고사성어 곡학아세는 중국 한나라에서 유래한 말입니다. 중국 한나라에는 경제라는 왕이 살고 있었습니다. 바른 정치를 하고 싶었던 경제 왕은 전국 각지의 어진 선비들을 불러보았습니다. 그 선비들 중 한 명은 90세 고령의 원고생이라는 학자였습니다. 성품이 강직하며 바른말을 잘하기로 유명한 학자였습니다. 어느 날 경제의 어머니인 두태후가 원고생을 불러 노자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해 물었습니다. 원고생은 천한 말을 써놓은 책이라고 대답하자 두태후는 몹시 화가 났습니다..

오늘 하루 고사성어 : 함흥차사

1. 고사성어 함흥차사 뜻과 풀이 咸 : 다 함 興 : 일어날 흥 差 : 보낼 차 使 : 사신 사 咸興差使(함흥차사) : 함흥에 갔다가 돌아오지 않는 사신을 뜻함으로써, 심부름 간 사람이 소식이 아주 없거나 회답이 좀처럼 오지 않는 것을 일컫는 말 2. 고사성어 함흥차사 유래 고사성어 함흥차사는 우리나라 조선에서 유래된 것입니다.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는 그의 8명의 아들이 왕위를 놓고 서로 다툼을 하는 것을 무척이나 괴로워하였습니다. 이성계에게는 두 명의 부인이 있었는데 첫째 부인에게는 6명의 아들, 둘째 부인에게는 2명의 아들이 있었지요. 그중 다섯 번째 아들인 방원의 공이 컸기에 방원을 세자의 자리에 앉혔지만 그의 반란으로 아들들을 잃었습니다. 태조 이성계는 2대 왕인 정종 방과에게 왕위를 물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