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춘추전국시대 8

오늘 하루 고사성어 : 삼인성호

1. 고사성어 삼인성호 뜻과 풀이 三 : 석 삼 人 : 사람 인 成 : 이룰 성 虎 : 범 호 사람 세 명이 모이면 없는 호랑이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뜻으로서 거짓말도 여러 사람이 합심하면 곧이들린다는 비유이다. 2. 고사성어 삼인성호 유래 고사성어 삼인성호는 고대 한비자의 내저설편에서 나온 이야기로 유래된 것입니다. 기원전 403~221, 중국 전국시대 위나라에서 일어난 일이지요. 위나라의 혜왕은 조나라와 강화를 맺었고 그에 증표로서 자신의 아들인 태자를 보냈어야 했습니다. 태자는 자주국의 임금의 아들이며 황제의 자리를 이을 귀한 신분이었기 때문에 섣불리 타국에 보낼 수는 없었지요. 그래서 혜왕은 태자를 따를 후견인으로서 누구를 함께 보내야 할지를 고민하고 있었습니다. 혜왕은 깊은 고민 끝에 방총이라..

오늘 하루 고사성어 : 미봉책

1. 고사성어 미봉책 뜻과 풀이 彌 기울 미 縫 꿰맬 봉 策 채찍 책(꾀 책) 미봉책(彌縫策) 실로 꿰매는 방책이라는 뜻으로서, 빈 곳이나 잘못된 곳을 임시변통으로 보완하는 것을 의미 2. 고사성어 미봉책 유래 고사성어 미봉책은 중국 주나라와 정나라 사이에서 벌어진 일화로 유래된 말입니다. 주나라에는 환왕이 있었습니다. 당시 주나라의 왕실이 점점 약해짐을 환왕은 느꼈고 제후들 또한 서로 싸움을 일삼다 보니 왕실의 권위를 되찾고자 고심을 하고 있었습니다. 마침 주나라의 제후국인 정나라의 정장공이 환왕의 허락도 받지 않은 채 주변국을 공격하였고 환왕은 정장공의 직위를 빼앗았습니다. 이에 화가 난 정장공은 주나라의 조공을 더이상 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주나라의 환왕은 이 상황이 절호이 기회였습니다. 정장공의 ..

오늘 하루 고사성어 : 모순

1. 고사성어 모순 뜻과 풀이 矛 창 모 盾 방패 순 모순(矛盾) 창과 방패라는 뜻으로서, 말의 앞뒤가 맞지 아니하다는 의미 2. 고사성어 모순 유래 고사성어 모순은 한비자가 지은 한비자 책에서 유래된 말입니다. 한비자는 법가사상을 집대성한 인물로서 전국시대 말기의 정치사상가였습니다. 원래 그의 이름은 한비이며 한자로 불렸던 책은 혼동을 막기 위해 지금의 한비자가 되었다고 합니다. 초나라에서는 창과 방패를 파는 장사꾼이 한명있었습니다. 그는 그의 많은 물건을 판매하기 위해 지나가는 사람들에게 큰 소리로 외쳤습니다. 한 번은 방패를 위로 몰려들며 그 어떤 방패도 이보다 단단할 수 없다며 모든 창을 다 막아낼 수 있는 방패라고 주장하였습니다. 지나가던 사람들은 귀가 솔깃해져 방패를 보기 위해 몰려들었습니다...

오늘 하루 고사성어 : 과유불급

1. 고사성어 과유불급 뜻과 풀이 過 지나칠 과 猶 오히려 유 不 아닐 불 及 미칠 급 과유불급(過猶不及) 지나친 것은 미치지 못한 것만 못하다는 의미 2. 고사성어 과유불급 유래 고사성어 과유불급은 논어 선진의 대화에서 비롯되었습니다. 논어는 중국 춘추시대의 사상가로 활동했던 공자와 그의 제자들 사이에서 나온 그들의 언행을 기록한 유교 경전입니다. 공자는 서기전 551년 노나라에서 태어났습니다. 15살에 학문을 시작하여 20살이 되던 해에 이름을 널리 떨치게 되었으며 많은 제자들이 그를 따르게 되었습니다. 공자는 철저한 현실주의자로서 실천을 전제로 한 도덕이 핵심을 이루었습니다. 그를 따르는 제자가 대략 3천 명이었는데 그중 72인이 뛰어났다고 합니다. 어느 날 제자중 한 명이 공자에게 자장과 자하 중..

오늘 하루 고사성어 : 각주구검

1. 고사성어 각주구검 뜻과 풀이 刻 : 새길 각 舟 : 배 주 求 : 구할 구 劍 : 칼 검 각주구검(刻舟求劍) 배에 표시를 해놓고 나중에 검을 찾는다는 뜻으로 어리석고 미련한 사람을 의미 2. 고사성어 각주구검 유래 고사성어 각주구검은 진나라 여씨춘추(呂氏春秋)에 나오는 우화에서 유래된 말입니다. 여씨춘추는 기원전 239년 중국 진나라의 재상인 여불위가 주도하여 편집되었으며 전국의 식객들과 논개들을 불러 모아 춘추전국시대의 모든 사상들을 수집하여 정리하여 정치와 율령을 참고로 삼기 위해 저술된 일종의 백과사전과 같은 책이지요. 초나라에서의 어느 날 사람들은 배를 타기위해 강으로 모였습니다. 하지만 거센 바람이 심상치 않아 배에 타려는 사람들은 조금씩 걱정하기 시작했고 뱃사공은 이 정도의 바람은 괜찮다..

오늘 하루 고사성어 : 조삼모사

1. 고사성어 조삼모사 뜻과 풀이 朝 : 아침 조 三 : 석 삼 暮 : 저녁 모 四 : 넉 사 조삼모사(朝三暮四) 아침에는 세개, 저녁에는 네개 라는 뜻으로서, 눈앞에 보이는 차이만을 알고 결과가 같은 것을 모르는 어리석음을 의미 2. 고사성어 조삼모사 유래 고사성어 조삼모사는 전국시대 송나라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송나라에는 저공이라는 사람이 살고 있었습니다. 저공은 원숭이라는 동물을 무척이나 좋아하여 그의 집에 수십마리를 키우고 있었습니다. 원숭이들은 지능이 좋았지만 저공 또한 원숭이들에게 애정을 쏟아부으니 그들은 서로 어느정도의 의사소통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저공은 넉넉하게 살고 있는 형편이 아니었습니다. 원숭이들이 좋았지만 개체의 수가 너무 많다보니 그들에게 먹이를 배급하는 것이 여간 부담이..

오늘 하루 고사성어 : 결초보은

1. 고사성어 결초보은 뜻과 유래 結 맺을 결 草 풀 초 報 갚을 보 恩 은혜 은 결초보은(結草報恩) 풀을 묶어 은혜를 갚는다는 뜻으로서, 은혜가 사무쳐 죽어서도 잊지 않는다는 의미를 가짐 2. 고사성어 결초보은 유래 고사성어 결초보은은 중국 춘추시대, 진나라에서 유래된 말입니다. 진나라에는 위무자라는 사람이 있었습니다. 위무자에게는 아끼는 첩이 있었으나 둘 사이에는 자식이 없었죠. 어느 날 위무자는 병이 들어 몸져눕게 되었고 그는 살날이 얼마 남지 않았음을 몸소 느꼈습니다. 위무자는 본처의 아들인 위과를 불러 유언을 남겼습니다. 그의 유언은 자신이 죽게 되면 첩을 다른 곳에 시집보내라는 말이었죠. 위과는 아버지의 말에 따르겠다고 하였습니다. 위무자의 병이 날로 깊어지자 그는 아들인 위과를 다시 불렀습니..

오늘 하루 고사성어 : 계명구도

1. 고사성어 계명구도 뜻과 풀이 鷄 : 닭 계 鳴 : 울 명 狗 : 개 구 盜 : 훔칠 도 계명구도(鷄鳴狗盜) 닭의 울음소리를 내고, 개처럼 들어가 도둑질을 한다는 뜻으로서, 고상한 학문 없이 천박한 꾀를 써서 남을 속이는 사람을 의미 2. 고사성어 계명구도 유래 고사성어 계명구도는 전국시대 때 유래된 말입니다. 전국시대는 기원전 403년부터 221년 사이의 시기로서 중국 주의 동천부터 진의 통일까지의 시대를 일컫습니다. 전국시대는 각 나라의 왕들과 귀족들이 저마다 세력을 키우기 위해 인재의 등용을 적극적으로 수행하던 시기였습니다. 특히 제나라의 맹상군은 식객을 잘 대접하기로 유명했습니다. 아무리 천한 사람일지라도 한 가지의 재주가 뛰어나면 모두 받아들였기에 맹상군의 집에 드나들던 식객만 3천여 명가량..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