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맹자 8

[오늘 하루 고사성어] 등고자비(登高自卑)

1. 고사성어 등고자비(登高自卑) 뜻과 풀이 登 : 오를 등 高 : 높을 고 自 : 부터할 자 卑 : 낮을 비 높은 곳에 오르기 위해서는 낮은 곳부터 출발해야 한다는 뜻으로서 모름지기 일에는 순서가 있다는 의미 2. 고사성어 등고자비(登高自卑) 유래 君子之道 辟如行遠必自邇 辟如登高必自卑 詩曰 妻子好合 如鼓瑟琴 군자지도 비여행원필자이 비여등고필자비 시왈 처자호합 여고슬금 처자의 어울림이 거문고를 타는 듯하고 兄弟旣翕 和樂且眈 宣爾室家 樂爾妻帑 子曰 父母其順矣乎 형제기흡 화락차탐 의이실가 낙이처탕 자왈 기순의호인저 형제는 뜻이 맞아 화합을 이루고 화목하니 너의 처자 즐거우리라 위의 글은 중용(中庸) 제15장에서 나온 말로써 공자가 말씀하시기를 먼 곳에 가고자 한다면 가까운 곳부터 시작함이 맞고 높은 곳을 오..

[오늘 하루 고사성어] 위연구어(爲淵驅魚)

1. 고사성어 위연구어(爲淵驅魚) 뜻과 풀이 爲 : 할 위 淵 : 못 연 驅 : 몰 구 魚 : 고기 어 자신을 위해 한일이 오히려 자신에게 손해가 되는 결말을 맞이했다는 의미 2. 고사성어 위연구어(爲淵驅魚) 유래 孟子曰桀紂之失天下也 失其民也 맹자왈걸주지실천하야 실기민야 맹자가 말하기를 하나라의 걸왕과 은나라의 주왕이 천하를 잃은 이유는 失其民者 失其心也 실기민자 실기심야 그들의 백성을 잃었기 때문이며 백성을 잃었다는 것은 그들의 마음을 잃은 것이다 得天下有道 得其民 斯得天下矣 득천하유도 득기민 사득천하의 천하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은 백성들을 얻으면 천하를 얻을 수 있다 得其民有道 得其心 斯得民矣 득기민유도 득기심 사득민의 백성들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은 그들의 마음을 얻으면 된다 得其心 有道 所欲 與之聚..

[오늘 하루 어휘력] 군자삼락(君子三樂)

1. 고사성어 군자삼락(君子三樂) 뜻과 풀이 君 : 그대 군 子 : 당신 자 三 : 석 삼 樂 : 즐길 낙, 좋아할 요 군자의 세 가지 즐거움이라는 뜻 2. 고사성어 군자삼락(君子三樂) 유래 君子有三樂 (군자유삼락) 군자에게는 세가지의 즐거움이 있도다 而王天下不與存焉 (이왕천하불여존언) 이것은 천하의 왕이 되는 것을 포함시키지 않는다 父母俱存 兄弟無故 一樂也 (부모구존 형제무고 일락야) 부모가 모두 다 살아계시고 형제들이 무고한 것이 첫 번째 즐거움이요 仰不愧於天 俯不怍於人 二樂也 (앙불괴어천 부부작어인 일락야) 하늘과 사람들에게 부끄럽지 않음이 두번째 즐거움이며 得天下英才 而敎育之 三樂也 (득천하영재 이교육지 삼락야)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가르침을 주는 것이 세 번째 즐거움이니라 君子有三樂, 而王天下不..

[오늘 하루 고사성어] 일모불발(一毛不拔)

1. 고사성어 일모불발(一毛不拔) 뜻과 풀이 一 : 한 일 毛 : 털 모 不 : 아닐 불 拔 : 뽑을 발 작은 털 한 톨이라도 남을 위해 쓰이지 않겠다는 뜻으로서 극단적인 이기주의를 의미 2. 고사성어 일모불발(一毛不拔) 유래 고사성어 일모불발(一毛不拔)은 열자(列子)의 양주(楊朱) 편과 맹자(孟子)의 진심상(盡心上)으로부터 이야기가 전해졌습니다. 양주(楊朱)는 전국시대 학자중 한 사람으로서 자신만 쾌락에 빠지면 그걸로 되었다는 위아설(爲我說)을 주장했던 인물입니다. 위아설(爲我說)이 처음으로 출연했을때에는 극단적 이기주의라며 많은 사람들로부터 비판을 받았으나 자신의 소중함과 개인의 권리를 주장했다는 것으로부터 높은 가치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어느 날 묵자의 제자인 금활리(禽滑厘)와 양주(楊朱)가 대화할..

[오늘 하루 고사성어]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

1. 고사성어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 뜻과 풀이 孟 : 맏 맹 母 : 어미 모 三 : 석 삼 遷 : 옮길 천 之 : 어조사 지 敎 : 가르칠 교 맹자의어머니가 아들 맹자의 교육을 위해 세 번 이사했다는 뜻으로서 인간의 성장에 있어서 환경이 중요하다는 의미 2. 고사성어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 유래 고사성어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는 전한 말의 학자 유향(劉向)의 열녀전(列女傳)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중국 전국 시대 유교사상가이자 제자백가(諸子百家)중 한명으로서 왕도(王道) 정치를 주장하며 많은 사람들에게 좋은 영향을 끼쳤던 맹자는 일찍이 아버지를 여의고 홀어머니의 밑에서 성장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맹자가 어렸을 때 어머니와 함께 처음 살았던 곳은 공동묘지 근처였습니다. 어느 날은 어린 맹자가 ..

[오늘 하루 고사성어] 반구저기(反求諸己)

1. 고사성어 반구저기(反求諸己) 뜻과 풀이 反:돌이킬 반 求:구할 구 諸:지어 저 己:몸 기 잘못을 자신에게서 찾는다는 뜻으로서 남의 탓을 하기보다는 원인을 자신에게서 찾고 고쳐나가려고 노력한다는 의미 2. 고사성어 반구저기(反求諸己) 유래 行有不得者 皆反求諸己 其身正而天下歸之(행유부득자 개반구저기 기신정이천하귀지) 행동을 하고도 얻지 못하는 것이 있다면 자신에게서 원인을 찾아라 나 자신이 올바르다면 온 세상이 뒤를 따를 것이다. 고사성어 반구저기(反求諸己)는 《맹자(孟子)》 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맹자는 중국 전국시대의 유교사상가로서 공자의 손자인 자사(子思)의 문하생에게 유교사상을 배웠기에 공자와는 같은 시대에는 살지 않았지만 공자의 영향을 받은 인물입니다. 전국시대에 나왔던 제자백가(諸子百家)중의 ..

오늘 하루 어휘력 : 국역

1. 국역 국역은 나라의 역사를 의미합니다. 2. 쉽고 재미있게 국역된, 지영록 지영록은 제주를 다룬 최초의 인문지라고 합니다. 제주목사 이익태가 쓴 한문본을 한글로 번역한 것으로서, 일반인들이 쉽고 재미있게 제주도의 역사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주문화원은 말했습니다. 이익태는 1694년부터 2년간 제주 목사로 재임하며 비록 짧은 기간으로 활동하였으나 제주도민의 생활안정을 위하여 여러 제도를 정비하고 제주 교육과 문화발전을 위해 여러 기관과 시설을 중창하고 창건하는 데에 힘을 썼다고 합니다. 3. ZOOM을 통한 고 비대면 문헌 국역강좌 개강 한국학 호남 진흥원에서는 11일부터 고문헌 국역 강좌를 총 60강에 걸쳐 대면 및 비대면 방식으로 진행함을 알렸습니다. 시민을 대상으로 논어를 배울 수 있는 ..

오늘 하루 고사성어 : 오십보백보

1. 고사성어 오십보백보 뜻과 풀이 五 : 다섯 오 十 : 열 십 步 : 걸음 보 百 : 일백 백 步 : 걸음 보 오십보백보(五十步百)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근본적인 차이는 없다는 의미 2. 고사성어 오십보백보 유래 오십보백보는 중국 전국시대 위나라에서 유래하였습니다. 위나라는 한나라와 조나라 사이에 끼어 많은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위나라는 멸망의 위기에 놓여 있었는데 한나라와 조나라가 승전을 한 후, 위나라의 땅을 놓고 둘이서 다투었기 때문이죠. 두 나라가 다투는 동안 위나라 혜왕(惠王)은 왕위에 올랐고 조금씩 국력을 키웠습니다. 탄탄한 국력이 뒷받침이 되니 혜왕의 생각엔 한나라와 조나라에 쳐들어가 지난날의 울분을 되갚을 수 있을 것 같았습니다. 위 나라는 두 나라를 공격하고 승리를 맛본 뒤에 주변국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