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논어 5

[오늘 하루 고사성어] 온고지신(溫故知新)

1. 고사성어 온고지신(溫故知新) 뜻과 풀이 溫 : 익힐 온 故 : 옛 고 知 : 알 지 新 : 새 신 옛것을 익히고 새로운 것을 알아야 한다는 뜻으로서 옛것인 역사와 전통을 익혀 바탕 삼아 새로운 지식이 습득이 되어야 올바른 지식을 성립시킬 수 있다는 의미 2. 고사성어 온고지신(溫故知新) 유래 溫故而知新, 可以爲師矣. 온고이지신, 가이위사의. 이전에 배운 것들을 다시 복습하고 거기에 새로운 지식을 습득한다면 다른 이의 스승이 될 수 있다. 고사성어 온고지신(溫故知新)은 공자의 논어 위정에서 유래되었습니다. 공자는 학습만 하고 사색을 하지 않으면 흐리멍덩해지고 사색만을 즐기고 배움을 게을리한다면 위태로워짐을 강조했습니다. 기존이 성립된 정보들은 미래에 변화될 수는 있으나 자신이 서있는 오늘까지 과거의 ..

[오늘 하루 고사성어] 후생가외(後生可畏)

1. 고사성어 후생가외(後生可畏) 뜻과 풀이 後 : 뒤 후 生 : 날 생 可 : 옳을 가 畏 : 두려워할 외 젊은 후학(後學)들을 두려워할 만하다는 뜻으로서 후배들이 선배보다 의지와 에너지가 강해서 선배를 능가하는 인물이 나올까 하는 두려운 감정을 의미 2. 고사성어 후생가외(後生可畏) 유래 고사성어 후생가외(後生可畏)는 논어 자한편(子罕篇)에서 그 유래가 시작되었습니다. 공자와 그의 제자들이 했던 말을 훗날의 기술자들이 편집해서 만든 것이 바로 논어입니다. 논어는 공자는 그 연결고리가 꽤 짙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논어를 공자가 지은 것으로 알고 있지만 정작 공자는 단 한 권의 책조차도 쓴 적이 없으며 한 문장 내지는 두어 문장정도 언급한 것을 훗날의 후배들이 그 의미를 분석하고 해석한 것이기 때..

[오늘 하루 고사성어] 발분망식(發憤忘食)

1. 고사성어 발분망식(發憤忘食) 뜻과 풀이 發 : 일어날 발 憤 : 분낼 분 忘 : 잊을 망 食 : 밥 식 끼니까지 거르면서 목적을 향해 열심히 노력한다는 의미 2. 고사성어 발분망식(發憤忘食) 유래 고사성어 발분망식(發憤忘食)은 논어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논어는 중국 춘추시대 사상가였던 공자와 그의 제자들의 언행을 기록한 유교경전으로서 사서의 하나라고 합니다. 또한 언행을 기록한 것 중 최초로 발행된 것이라니 그만큼 역사적 가치가 높습니다. 공자의 많은 제자들 중 한명은 자로(子路)라는 인물이었습니다. 그는 처음 공자를 만났을 때에는 업신여기고 포악하게 굴었으나, 공자의 깨달음을 본받고는 다른 제자들의 요청에 의해서 공자의 제자가 되었으며 제자들 중 가장 뛰어난 10인이라는 이름의 '공문십철(孔門十哲)..

오늘 하루 어휘력 : 국역

1. 국역 국역은 나라의 역사를 의미합니다. 2. 쉽고 재미있게 국역된, 지영록 지영록은 제주를 다룬 최초의 인문지라고 합니다. 제주목사 이익태가 쓴 한문본을 한글로 번역한 것으로서, 일반인들이 쉽고 재미있게 제주도의 역사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주문화원은 말했습니다. 이익태는 1694년부터 2년간 제주 목사로 재임하며 비록 짧은 기간으로 활동하였으나 제주도민의 생활안정을 위하여 여러 제도를 정비하고 제주 교육과 문화발전을 위해 여러 기관과 시설을 중창하고 창건하는 데에 힘을 썼다고 합니다. 3. ZOOM을 통한 고 비대면 문헌 국역강좌 개강 한국학 호남 진흥원에서는 11일부터 고문헌 국역 강좌를 총 60강에 걸쳐 대면 및 비대면 방식으로 진행함을 알렸습니다. 시민을 대상으로 논어를 배울 수 있는 ..

오늘 하루 고사성어 : 과유불급

1. 고사성어 과유불급 뜻과 풀이 過 지나칠 과 猶 오히려 유 不 아닐 불 及 미칠 급 과유불급(過猶不及) 지나친 것은 미치지 못한 것만 못하다는 의미 2. 고사성어 과유불급 유래 고사성어 과유불급은 논어 선진의 대화에서 비롯되었습니다. 논어는 중국 춘추시대의 사상가로 활동했던 공자와 그의 제자들 사이에서 나온 그들의 언행을 기록한 유교 경전입니다. 공자는 서기전 551년 노나라에서 태어났습니다. 15살에 학문을 시작하여 20살이 되던 해에 이름을 널리 떨치게 되었으며 많은 제자들이 그를 따르게 되었습니다. 공자는 철저한 현실주의자로서 실천을 전제로 한 도덕이 핵심을 이루었습니다. 그를 따르는 제자가 대략 3천 명이었는데 그중 72인이 뛰어났다고 합니다. 어느 날 제자중 한 명이 공자에게 자장과 자하 중..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