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하루]고사성어

[오늘 하루 고사성어] 문방사우(文房四友)

초석 THE WRITER 2023. 4. 18. 11:00
반응형

고사성어 문방사우 文房四友 종이 먹 붓 벼루

 

1. 고사성어 문방사우(文房四友) 뜻과 풀이

筆 : 붓 필

墨 : 먹 묵

紙 : 종이 지

硯 : 벼루 연

 

글을 쓸 때의 네 가지의 친구이라는 뜻으로, 문인들이 서재에서 사용하는 붓, 먹, 종이, 그리고 벼루인 총 4가지의 도구들을 의미

 

 

2. 고사성어 문방사우(文房四友)란 무엇인가

고사성어 문방사우 文房四友 종이 먹 붓 벼루

고사성어 문방사우(文房四友)는 연필과 종이, 또는 컴퓨터로 문서를 작성하는 오늘날과는 달리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릴 때 붓, 먹, 종이, 그리고 벼루는 빼놓을 수 없는 필수품이었습니다. 특히 지배계층에 속하는 귀족 이상의 계층들은 이것저것 기록할 거리들이 많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문방사우(文房四友)는 가장 중요한 물품에 속했었습니다. 옛부터 문인의 서재를 문방이라고 불렀으나 시간이 흐를수록 문방은 물품을 부르는 용어로 자연스럽게 쓰이게 되었습니다. 

고사성어 문방사우 文房四友 종이 먹 붓 벼루
문방사우의 문은 붓에 속합니다. 인류 최초의 붓은 중국 신석기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곧 문자가 만들어진 시기라고 볼 수 있습니다. 바위나 동굴에 기록을 해야 했기에 오늘날과 같은 붓의 형태는 아니었고 동물의 뼈처럼 단단하고 뾰족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오늘날의 붓과 가장 가까운 형태는 기원전 3세기경 진(秦)나라 몽염(蒙恬)이 최초의 제작자가 최초라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고사성어 문방사우 文房四友 종이 먹 붓 벼루

문방사우의 방은 먹을 의미합니다. 잉크가 들어있는 볼펜이나 흑연이 포함된 연필과는 달리 과거에는 털에 달려 있는 붓에 까만 잉크를 칠해서 문서를 작성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최초의 먹의 기원은 은나라로서 도자기와 같은 곳에 먹의 흔적이 발견되었으며 오늘날에 쓰이는 먹은 한나라에서 쓰이던 먹과 가장 흡사하다고 합니다.

고사성어 문방사우 文房四友 종이 먹 붓 벼루

문방사우의 사는 종이입니다. 대나무의 섬유와 풀 그리고 낡은 헝겊 부스러기를 재료를 절구에 넣고 찧어서 펄프의 형태로 만들었고 그 물체를 판자와 같은 납작한 물체 위에 얇게 올려놓고 햇빛에 말린 것이 최초의 종이의 형태입니다. 종이가 널리 보급되기 시작한 건 후한의 채륜이 만든 종이인데, 제지술을 개선해서 가볍고 얇게 만들 수 있었다고 합니다. 

고사성어 문방사우 文房四友 종이 먹 붓 벼루

종이 위에 붓에 먹을 묻혀 문서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먹을 액체의 형태로 만들 수 있는 벼루가 필요합니다. 최초로 사용된 벼루의 역사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대략 2천 년이 넘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중국 한나라 천자는 옥으로 만든 벼루를 사용했고 태자에게는 칠연을 하사했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먹이 얼마나 잘 갈려지는지 그리고 사용하는 상대가 얼마나 높은 계층의 사람인지에 따라서 모양도 벼루에 쓰이는 재료도 다양하게 쓰였다고 합니다.

 

 

3. 문방사우(文房四友)와 비슷한 고사성어

문방사보(文房四寶)

글을 쓰는 네가지의 벗을 의미

 

문방사후(文房四侯)

문인들이 필수품으로 생각하는 종이, 먹, 벼루, 그리고 붓을 의미

 

지필묵연(紙筆墨硯)

문방사우와 같은 뜻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