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여불위 2

[오늘 하루 고사성어] 일자천금(一字千金)

1. 고사성어 일자천금(一字千金) 뜻과 풀이 一 : 한 일 字 : 글자 자 千 : 일천 천 金 : 쇠 금 한 글자가 곧 천금이라는 뜻으로서 매우 훌륭한 시문을 의미 2. 고사성어 일자천금(一字千金) 유래 고사성어 일자천금(一字千金)은 중국 진나라 여불위(呂不韋)의 이야기로부터 유래되었습니다. 여불위(呂不韋)는 당시 중국 최대 상인이자 조나라에 볼모로 잡혀있던 자초(子楚)를 왕위에 앉혔으며 그 이후로 강력한 권력을 손아귀에 쥐고 있었던 인물입니다. 태후와 부적절한 관계를 맺어 비참한 최후를 맞이하긴 했으나 중국 고대 진나라에 가장 영향력이 있던 인물로서 역사적으로도 기록되어 있기도 하죠. 전국시대 말기 천하를 통일을 목표로 두고 있었던 진(秦)나라는 주변국들 보다 막강한 힘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정치와 군..

[오늘 하루 고사성어] 기화가거(奇貨可居)

1. 고사성어 기화가거(奇貨可居) 뜻과 풀이 奇 : 기이할 기 貨 : 재화 화 可 : 옳을 가 居 : 살 거 기이한 재물을 쌓아두는 것은 당연하다는 뜻으로서 훗날의 기회를 위해(높은 가격으로 판매하기 위해) 당분간 보관해 놓는다는 의미 또는 좋은 기회를 놓치지 않고 잡으려 한다는 의미 2. 고사성어 기화가거(奇貨可居) 유래 고사성어 기화가거(奇貨可居)는 사기(史記) 여불위전(呂不韋傳)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중국 전국시대 말기에 여불위(呂不韋)라는 인물이 있었습니다. 본디 직업은 국경을 넘나들며 장사를 했던 대상인(大商人)이었으며 수완이 뛰어나고 이재에 밝아 이로 인해 대부호로 거듭나게 되었습니다. 훗날 진나라의 정치가로서 최고의 상국으로 활동했으나 진시황의 모후인 태후와 밀통관계를 유지하다 끝내는 진시황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