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면교사 3

[오늘 하루 고사성어] 복차지계(覆車之戒)

1. 고사성어 복차지계(覆車之戒) 뜻과 풀이 覆 : 엎을 복 車 : 수레 차 之 : 어조사 지 戒 : 경계 계 고대 중국 속담인, "앞 수레의 엎어진 수레바퀴 자국 뒤에 오는 수레의 교훈"으로 앞서 경험한 실패를 교훈 삼아 스스로 경계한다는 의미 2. 고사성어 복차지계(覆車之戒) 유래 고사성어 복차지계(覆車之戒)의 뜻이 앞서 잘못한 실수를 본받고 그것을 교훈 삼아 나의 태도를 바로 세운다는 뜻인 만큼 복차지계에 대한 유래도 여러 가지입니다. 심지어 복차지계(覆車之戒)의 유의어로 전거복철(前車覆轍), 복거지계(覆車之戒), 전거복후거계(前車覆後車誡)가 있을 정도로 고대시대부터 오늘날까지 조상들로부터 들려오는 잔소리(?) 또는 실패를 반복하지 말라는 조상들의 조언이 여러 번 언급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

[오늘 하루 어휘력] 반면교사(反面敎師)

1. 반면교사(反面敎師)란 무엇인가 반면교사(反面敎師)란 사물이나 사람으로부터 나온 부정적인 결과물을 보았거나 들음으로 깨닫거나 가르침을 받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면 어느 한 아이가 위험한 행동을 한 뒤에 부상을 크게 입었는데 다른 아이가 해당아이가 다친 것을 보고는 그 행동이 얼마나 위험한 것인지에 대해 누군가 가르쳐주지 않아도 자연스레 학습으로서 터득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죠. 한마디로 "나는 절대 그러지 말아야지.."하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반면교사(反面敎師)는 중국의 초대 주석이자 독재자인 마오쩌둥(毛澤東)이 1957년 중국 공산당 간부들 앞에서 제국주의자와 반동파 그리고 수정주의자를 가리키면서 "그들을 반면교사(反面敎師)로 삼아야 한다."는 말을 한데에서 유래했으며 그 이후에 많은 사람들이 ..

오늘 하루 고사성어 : 타산지석

1. 고사성어 타산지석 뜻과 풀이 他 : 다를 타 山 : 뫼 산 之 : 어조사 지 石 : 돌 석 타산지석(他山之石) 다른 산의 돌이라는 뜻, 하찮은 남의 언행으로 나의 교훈으로 삼아 깨달음을 얻게 됨 2. 고사성어 타산지석 유래 학이 높은 언덕에서 울거늘, 그 소리 하늘까지 들리는도다. (鶴鳴于九皐, 聲聞于天) 물고기는 물가에 나와 있다가, 때로는 잠기어 연못 속에 있도다. (魚在于渚, 或潛在淵) 저 동산에는 즐겁게도, 심어놓은 박달나무 있지만, 그 아래에는 형편없는 닥나무 수북하구나. (樂彼之園, 爰有樹檀, 其下維穀) 다른 산의 조악한 돌이라도, 옥을 가는 숫돌로 쓸 수 있으리. (他山之石, 可以攻玉) 고사성어 타산지석은 《시경(詩經)》 〈소아 편(小雅篇)·학명(鶴鳴)〉에 나오는 말입니다. 마지막 구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