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해력 키우기 3

[오늘 하루 고사성어] 근자열원자래(近者悅 遠者來)

1. 고사성어 근자열원자래(近者悅 遠者來) 뜻과 풀이 近 가까울 근 者 사람 자 悅 기꺼울 열 遠 멀 원 者 사람 자 來 올 래 가까운 사람을 기쁘게 하면 멀리 있는 사람까지 찾아온다는 뜻으로서 사람을 소중하게 대하라라는 의미 2. 고사성어 근자열원자래(近者悅 遠者來) 유래 고사성어 근자열원자래(近者悅 遠者來)는 초나라의 섭공과 공자의 이야기에서 유래가 된 말입니다. 섭공은 춘추전국시대 초나라의 영윤으로서 원래의 이름은 심제량(沈諸梁)이나 섭현 남쪽지역인 섭의 지방관으로 직무를 하여 섭공이라고 불리었습니다. 섭공은 공자와 아주 밀접한 관계가 있었는데 이전에 섭공이 공자의 제자인 자로에게 공자는 어떤 사람이냐고 묻는 데에 유래하여 발분망식(發憤忘食)이라는 고사성어가 나타나게 되었죠. 하루는 섭공이 공자에게..

[오늘 하루 고사성어] 인면수심(人面獸心)

1. 고사성어 인면수심(人面獸心) 뜻과 풀이 人 : 사람 인 面 : 낯 면 獸 : 짐승 수 心 : 마음 심 짐승 같은 마음을 품은 사람의 가면을 쓴 사람이라는 뜻으로서 마음과 행동이 매우 흉악함을 의미 2. 고사성어 인면수심(人面獸心) 유래 고사성어 인면수심(人面獸心)은 중국 후한(後漢)의 역사가 반고(班固)가 지은 《한서(漢書)》〈열전(列傳)〉제64 '흉노전(匈奴傳)'에서 유래되었습니다. 흉노족은 몽골 및 중국 북부지역에서 기원전 4세기 말부터 기원후 1세기말까지 활동했던 유목 민족으로서 전국시대 때부터 진나라와 한나라를 침략함에 있어 주저함이 없었습니다. 진나라때에는 이들을 막기 위해 만리장성을 쌓았고 흉노족의 비해 진나라와 한나라는 사회적, 경제적으로 안정이 되어있었고 문화적인 요소에서도 뛰어남을 ..

오늘 하루 어휘력 : 메타인지

1. 메타인지 메타인지에 대해 이해하기 위해서는 인지에 대한 의미를 정확하게 알아야 합니다. 인지는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정보를 유지시키며 활용하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판단을 통해서 어떤 물체와 구별할 수 있으며 한 가지 이상의 개념에 특징지어지는지를 규정하는 활동이지요. 메타인지는 상위인지작용으로서, 관찰 · 발견 · 통제 · 판단하는 정신 작용으로 "인식에 대한 인식","생각에 대한 생각", "다른 사람의 의식에 대해 의식", 그리고 고차원의 생각하는 기술(higher-order thinking skills)을 일컫습니다. 배움이나 문제 해결을 위해 특별한 전략들을 언제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대한 지식을 포함하는 것을 메타인지라고 하는 것입니다. 2. 뇌 과학자 김대수, "아는 것을 아는 기능이 메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