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하루]고사성어

[오늘 하루 어휘력] 군자삼락(君子三樂)

초석 THE WRITER 2023. 6. 26. 14:17
반응형

군자삼락(君子三樂) 고사성어 맹자 진심편

 

1. 고사성어 군자삼락(君子三樂) 뜻과 풀이

 : 그대 군
 : 당신 자
 : 석 삼
 : 즐길 낙, 좋아할 요

 

군자의 세 가지 즐거움이라는 뜻

 

 

2. 고사성어 군자삼락(君子三樂) 유래

군자삼락(君子三樂) 고사성어 맹자 진심편

君子有三樂

(군자유삼락)

군자에게는 세가지의 즐거움이 있도다

군자삼락(君子三樂) 고사성어 맹자 진심편

而王天下不與存焉

(이왕천하불여존언)

이것은 천하의 왕이 되는 것을 포함시키지 않는다

군자삼락(君子三樂) 고사성어 맹자 진심편

父母俱存 兄弟無故 一樂也

(부모구존 형제무고 일락야)

부모가 모두 다 살아계시고 형제들이 무고한 것이 첫 번째 즐거움이요

군자삼락(君子三樂) 고사성어 맹자 진심편

仰不愧於天 俯不怍於人 二樂也

(앙불괴어천 부부작어인 일락야)

하늘과 사람들에게 부끄럽지 않음이 두번째 즐거움이며

군자삼락(君子三樂) 고사성어 맹자 진심편

得天下英才 而敎育之 三樂也

(득천하영재 이교육지 삼락야)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가르침을 주는 것이 세 번째 즐거움이니라

군자삼락(君子三樂) 고사성어 맹자 진심편

君子有三樂而王天下不與存焉

(군자유삼락 이왕천하불여존언)

군자에게는 세 가지의 즐거움이 있으니 천하를 통일하여 왕이 되는 것은 여기에 들어있지 않는다

군자삼락(君子三樂) 고사성어 맹자 진심편

고사성어 군자삼락(君子三樂)은 맹자(孟子) 진심편(盡心篇)에서 기록되었습니다. 공자의 논어에 따르면 군자라는 것은 기질(質)이 예의범절(文)을 압도하면 거칠고 예의범질(文)이 기질(質)을 압도하면 태깔만 난다며 기질(質)과 예의범절(文)이 조화를 이루어야 비로소 군자라고 말했습니다. 즉 진실된 마음으로 예를 행하는 것이 진정한 군자라고 말한 것입니다. 

군자삼락(君子三樂) 고사성어 맹자 진심편

전국시대 공자의 사상을 계승받아 발전시켜왔던 맹자(孟子)는 진심편(盡心篇)에서 위와 같은 이야기를 했고 이는 군자로서 즐거움을 얻을 수 있는 것은 부모형제의 안위와 하늘을 우러러 부끄러운 행동을 하지 않는 것 그리고 자기가 가지고 있는 것을 타인에게 베푸는 것이 진정한 군자라고 말함과 동시에 군자는 천하를 발아래 놓는 것에 대한 즐거움을 갖는 것은 절대적으로 아님을 두 번이나 강조했습니다. 왕이 되는 것보다 기본을 바탕으로 한 하나의 인간이 되는 것이 중요함을 맹자는 이야기하고자 하였습니다.

군자삼락(君子三樂) 고사성어 맹자 진심편

 

 

3. 군자삼락(君子三樂)과 비슷한 고사성어

군자삼계(君子三戒)

군자가 지켜야 할 세가지

 

군자삼외(君子三畏)

군자가 두려워해야 할 세 가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