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고사성어 함흥차사 뜻과 풀이 咸 : 다 함 興 : 일어날 흥 差 : 보낼 차 使 : 사신 사 咸興差使(함흥차사) : 함흥에 갔다가 돌아오지 않는 사신을 뜻함으로써, 심부름 간 사람이 소식이 아주 없거나 회답이 좀처럼 오지 않는 것을 일컫는 말 2. 고사성어 함흥차사 유래 고사성어 함흥차사는 우리나라 조선에서 유래된 것입니다.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는 그의 8명의 아들이 왕위를 놓고 서로 다툼을 하는 것을 무척이나 괴로워하였습니다. 이성계에게는 두 명의 부인이 있었는데 첫째 부인에게는 6명의 아들, 둘째 부인에게는 2명의 아들이 있었지요. 그중 다섯 번째 아들인 방원의 공이 컸기에 방원을 세자의 자리에 앉혔지만 그의 반란으로 아들들을 잃었습니다. 태조 이성계는 2대 왕인 정종 방과에게 왕위를 물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