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절치부심 2

[오늘 하루 고사성어] 권토중래(捲土重來)

1. 고사성어 권토중래(捲土重來) 뜻과 풀이 捲 : 말 권 土 : 흙 토 重 : 거듭 중 來 : 올 래 흙먼지를 일으키며 다시 돌아온다는 뜻으로서 비록 실패했지만 성공을 위해 포기하지 않고 재기하려 한다는 의미 2. 고사성어 권토중래(捲土重來) 유래 고사성어 권토중래(捲土重來)는 당나라 말기의 시인이자 산문가였던 두목(杜牧)의 칠언절구 《제오강정(題烏江亭)》에서 유래했습니다. 두목은 문장력이 뛰어났고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끼쳤던 인물로서 당나라의 시인인 이상은과 더불어 소이두(小李杜)라고 불렸으며 그의 시적 기풍이 두보와 같다고 하여 두보는 대두(大杜) 두목은 소두(小杜)라는 별명을 가졌습니다. 고사성어 권토중래(捲土重來)의 시대적 배경은 해하성 전투이며 이 전투에서는 유방과 항우가 싸우고 서로 맞서 ..

오늘 하루 사자성어 : 와신상담

1. 고사성어 와신상담 뜻과 풀이 臥 누울 와 薪 섶나무 신 嘗 맛볼 상 膽 쓸개 담 가시가 많은 거친 나무위에 잠을 청하고, 쓰디 쓴 쓸개를 먹는다는 뜻으로서,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그 어떤 고통도 불사하고 심신을 단련하는 것을 이르는 말. 2. 고사성어 와신상담 유래 중국 춘추시대 오나라에 합려라는 왕이 있었습니다. 오나라는 월나라와의 전쟁에서 패하게 되고 전쟁중에 독화살까지 맞아 위독해진 합려는 그의 아들인 부차를 불러서 유언을 남겼습니다. 월나라의 왕 구천은 아비의 원수이니 절대 잊지말고 반드시 월나라를 정복하라는 말이었습니다. 이 말을 남기고는 합려왕은 온몸에 독이 퍼져 죽음을 맞이하였습니다. 합려 다음으로 오나라의 왕이 된 부차는 아버지의 원수를 갚고자 밤낮으로 군사훈련을 하였고 땔나무 위에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