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장자 3

문장의 무게 사랑은 은유로 시작된다. [작가 최인호]

1. 작가 최인호는 누구인가 현 메가스터디 유명 일타강사이자 20여 편의 책을 출간한 작가이다. 연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 중 고전문학을 전공했고 1세대 배낭여행족으로 20년 동안 홀로 40여 개국의 나라를 여행했다고 한다. 독서를 취미로 둔 덕에 여행기록을 작성해서 여행에 관련된 도서들을 출판했고 단어의 나이를 묻는 것을 취미로 가져 여행뿐만 아니라 17여 편의 다양한 장르의 도서들을 출판할 수 있었다. 현 메가스터디 일타 언어 및 논술 강사로서 많은 수험생들에게 논술 공부법에 대한 영향을 끼쳤지만, '2022년 수능국어 쉬웠다.'라는 발언을 하는 바람에 수험생들에게 상처를 주게 되었다. 수험생들에 처지에 공감하지 못한 처사에 지적을 겸허히 받아들이고 사과를 드리는 말과 함께 난이도 파악을 하는 일 ..

[오늘 하루 고사성어] 막역지우(莫逆之友)

1. 고사성어 막역지우(莫逆之友) 뜻과 풀이 莫 : 말 막 逆 : 거스릴 역 之 : 어조사 지 友 : 벗 우 서로에게 거스름이 없는 사이라는 뜻으로서 허물없이 가까이 지내는 친구라는 의미 2. 고사성어 막역지우(莫逆之友) 유래 고사성어 막역지우(莫逆之友)는 장자 내편(內篇) 대종사(大宗師)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장자는 전국시대의 사상가이자 장자의 저서입니다. 장자의 문학은 우언우화(寓言寓話)로 엮어졌으며 이를 이용하여 우주의본체와 만물의 근원에 대해 논하였습니다. 위(魏)·진(晉)때에 장자가 널리 읽혔으며 육조시대(六朝時代)때까지 그 사상이 유행했고 오늘날까지 그의 이름이 잊혀지지 않을 정도로 큰 영향력을 미친 인물입니다. 장자에서 이야기를 전하기를 자사(子祀)·자여(子輿)·자려(子犂) ·자래(子來)라는 ..

오늘 하루 고사성어 : 붕정만리

1. 고사성어 붕정만리 뜻과 풀이 鵬 붕새 붕 程 길 정 萬 일만 만 里 마을 리 붕정만리(鵬程萬里) 붕새가 9만 리의 하늘을 난다는 뜻으로서, 먼 장래를 의미함 2. 고사성어 붕정만리 유래 고사성어 붕정만리는 장자 소요유 편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장자는 춘추 전국시대에서 작은 나라에 속하는 송나라의 사람이었습니다. 송나라 왕족의 후예로 태어났으나 현시대에 그의 생애나 행적이 많이 알려지지 않았을 정도로 그는 은둔형 지식인으로서의 삶을 살았다고 합니다. 그는 속세나 물질적인 것보다는 정신적인 자유를 갈망하던 사람이었습니다. 장자의 사상에서는 '붕'에 비유되는 말이 종종 나오는데, 원대하고 상상을 초월하는 세계관을 나타낼 때 사용했다고 합니다. 소요유는 물질적인 것이나 권력 또는 명예에 속박되기보다는 대자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