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백 4

[오늘 하루 고사성어] 일사천리(一瀉千里)

1. 고사성어 일사천리(一瀉千里) 뜻과 풀이 一 : 한 일 瀉 : 쏟을 사 千 : 일천 천 里 : 마을 리 강물이 빠르게 흘러서 천리까지 간다는 뜻으로서 어떠한 일이 순조로이 진행된다는 의미 2. 고사성어 일사천리(一瀉千里) 유래 고사성어 일사천리(一瀉千里)에 대해 처음 사용한 역사적인 기록은 정확지 않으나 중국 고대 유명 위인들도 자주 언급했을 정도로 흔하게 쓰이는 고사성어였습니다. 특히 장강(양쯔강)이나 황하를 바라본 중국 고대 시인들이 그 강의 위대함을 표현하고자 일사천리를 사용했죠. 그 첫번째 유래는 송나라의 진량이라는 사람으로서 사상가이자 문학가였습니다. 주변사람들은 그를 용천선생(龍川先生)이라고 불렀으며 많은 재능을 가지고 있었다고 합니다. 하루는 그가 여신유안전찬(與辛幼安殿撰)에서 장강(양쯔..

[오늘 하루 고사성어] 마부작침(磨斧作針)

1. 고사성어 마부작침(磨斧作針) 뜻과 풀이 磨 : 갈 마 斧 : 도끼 부 作 : 지을 작 針 : 바늘 침 도끼를 갈아 바늘로 만든다는 뜻으로서, 어려운 일을 만나더라도 꾸준히 하면 못 할 일은 없다는 의미 2. 고사성어 마부작침(磨斧作針) 유래 고사성어 마부작침(磨斧作針)은 남송(南宋) 때 축목(祝穆)이 지은 지리서 《방여승람(方與勝覽)》과 《당서(唐書)》 문예전(文藝傳)에서 유래한 말입니다. 중국 당나라 낭만주의 시인인 이백(李白)은 5살때 아버지를 따라 촉나라에서 생활을 했었습니다. 어려서부터 뛰어나서 10살 때에는 시를 지어낼 정도로 장래가 촉망된 아이였으나 그의 노력은 재능을 따라주지 않았습니다. 이백(李白)의 아버지는 그가 학문에 정진했으면 하는 바람으로 정의산을 보냈으나 공부에 싫증이 나버린..

[오늘 하루 고사성어] 백발삼천장(白髮三千丈)

1. 고사성어 백발삼천장(白髮三千丈) 뜻과 풀이 白 흰 백 髮 터럭 발 三 석 삼 千 일천 천 丈 어른 장 백발이 삼천장이나 자라났다는 뜻으로서 근심이 쌓여 절로 늙어간다는 의미 2. 고사성어 백발삼천장(白髮三千丈) 유래 고사성어 백발삼천장(白髮三千丈)은 당나라 현종때 활약을 했던 시인 이백이 지은 추포음(秋浦吟)이라는 시 중 일부인 오언절구(五言絶句)에서 나온 말입니다. 이백은 당대에 손꼽히는 유명한 시인으로서 시성 두보와 양대산백을 이루는 뛰어난 시인이었다 합니다. 400여명의 벗을 두었을 정도로 호탕한 성격이었으며 스스로를 '취선옹'이라고 불렀을 만큼 유쾌한 성격을 지녔다고 합니다. 白髮三千丈 백발삼천장 緣愁似箇長 연수사개장 不知明鏡裏 부지명경리 何處得秋霜 하처득추상 흰 머리가 삼천 아마도 근심으로..

[오늘 하루 고사성어] 마이동풍 (馬耳東風)

1. 고사성어 마이동풍(馬耳東風) 뜻과 풀이 馬 말 마 耳 귀 이 東 동녘 동 風 바람 풍 말의 귀에 스치는 동풍으로서, 남의 말이 귀를 기울이지 않고 흘려보낸다는 의미 2. 고사성어 마이동풍(馬耳東風) 유래 고사성어 마이동풍(馬耳東風)은 이백과 왕십이 주고받은 편지로부터 유래가 되었습니다. 이백과 왕십이가 살았던 나라는 중국 당나라였습니다. 이백이 살던 당나라의 당현종은 양귀비의 품에서만 놀아났고 당 정치의 부패는 극에 달했으며 민생은 피폐해질 대로 피폐해진 상태로 극심히 어지러웠던 시기였습니다. 이백은 어릴 적부터 뛰어난 인재였기에 일찍이 과거에 합격하고 왕의 신하로서 살았으나 본인의 능력을 다 펼치지 못하고 당현종에게 시만 지어 올렸다가 세상에 대한 회한을 느끼고 관직을 내려놓았습니다. 이백과 왕십..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