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유비 4

오늘 하루 고사성어 : 도원결의

1. 고사성어 도원결의 뜻과 풀이 桃 : 복숭아 도 園 : 동산 원 結 : 맺을 결 義 : 옳을 의 도원결의(桃園結義) 복숭아나무밭에서 형제의 의리를 맺는다는 뜻으로서, 뜻이 맞는 사람들끼리 모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함께할 것을 약속한다는 의미 2. 고사성어 도원결의 유래 고사성어 도원결의는 나관중의 삼국지연의에서 비롯된 말입니다. 원나라에서 명나라로 교체되던 시기에 살던 나관중이 위(魏)·촉(蜀)·오(吳)라는 삼국의 역사를 바탕으로 이야기체의 장편소설로 재구성한 도서이지요. 후한 말 환관의 발호로 정치가 어지럽혀지고 백성들은 살기가 어려워지기 시작하였습니다. 조정은 부패하기 시작하였고 머리에 노란 두건을 쓰고 다니며 각지를 털어버리는 황건적이 나타났습니다. 중국사 사상 종교집단이 최초로 일으킨 봉기이..

오늘 하루 고사성어 : 계륵

1. 고사성어 계륵 뜻과 풀이 鷄 : 닭 계 肋 : 갈비 륵 닭의 갈비뼈라는 뜻으로, 큰 쓸모나 이익은 없지만 버리기엔 아까운 애물단지같은 것들이나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난처한 상황을 이르는 말 2. 고사성어 계륵 유래 계륵은 후한서(後漢書)의 양수전(楊脩傳)에서 유래한 고사성어 입니다. 후한서는 중국 남북조시대 남소 송의 범엽이 편안한 기전체 사서로서 광무제에서 헌제에 이르는 후한의 13대 196년 역사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위나라의 조조와 촉나라의 유비는 한중이라는 지역을 놓고 다툼을 벌이고 있었습니다. 한중은 토지가 비옥하고 물산이 풍부한 전략적인 요충지이며 누가 이 땅을 차지하느냐에 따라 서로에게 위협이 되는 토지였기 때문에 위나라의 조조와 촉나라의 유비는 어느 한쪽도 양보할 수 없었습니다. ..

오늘 하루 사자성어 : 삼고초려

1. 고사성어 삼고초려 뜻과 풀이 三 : 석 삼 顧 : 돌아볼 고 草 : 풀 초 廬 : 농막집 려 三顧草廬(삼고초려) : 오두막집에 세 번 찾아간다는 뜻으로, 인재를 얻기 위해서는 자신을 낮추고 상대방에게 예를 다한다는 의미 2. 고사성어 삼고초려 유래 중국 후한 말, 한나라에서 유비와 관우 그리고 장비는 복숭아밭 아래에서 의형제를 맺었음에도 불구하고, 유비는 조조에게 수모를 당해왔습니다. 유비에게는 뛰어난 참모가 없었기 때문입니다. 고심하고 있는 유비에게 사마휘는 다가가서 용중이라는 마을에 제갈량이라는 인물이 재주가 뛰어나 유비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조언하였습니다. 유비는 관우와 장비를 데리고 제갈량을 만나고자 하였지만 그를 만날 수는 없었습니다. 찬 바람이 몸을 에워싸는 겨울의 계절 탓에 관우와..

오늘 하루 사자성어 : 백면서생

1. 고사성어 백면서생 뜻과 풀이 白 : 흰 백 面 : 얼굴 면 書 : 글 서 生 : 날 생 白面書生(백면서생) : 희고 고운 얼굴에 책만 읽는 사람을 말하는 것으로 속세에 조금의 경험도 없는 사람을 의미 2. 고사성어 백면서생 유래 오나라의 육손이라는 사람이 있었습니다. 밤낮으로 방에만 틀어박혀 책만 읽는 것으로 유명한 사람이었습니다. 백면서생의 대표인물이었지만 손권 황제는 육손에게 장수의 직위를 주고 촉나라의 유비와 맞서 싸울 것을 명하였습니다. 가까운 동료인 관우의 죽음으로 화가난 촉나라 유비가 원수를 갚고자 강동으로 출병해버렸기 때문입니다. 육손이 전쟁터로 나간다는 소식에 손권 황제의 신하들은 극구 만류했습니다. 육손은 전쟁터에 단 한번도 나간적이 없을 뿐더러 방에만 틀어박혀 책만 읽었던 세상물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