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월나라 2

[오늘 하루 고사성어] 원수불구근화(遠水不救近火)

1. 고사성어 원수불구근화(遠水不救近火) 뜻과 풀이 遠 : 멀 원 水 : 물 수 不 : 아닐 불 救 : 구할 구 近 : 가까울 근 火 : 불 화 먼 곳에 있는 물은 가까운 곳에서 난 불을 끄지 못한다는 뜻으로서 멀리 있는 해결책은 긴급한 상황일때에는 아무짝에도 쓸모 없다는 의미 2. 고사성어 원수불구근화(遠水不救近火) 유래 고사성어원수불구근화(遠水不救近火)는 한비자(韓非子) 설림편(說林篇)에서 유래되었습니다.공자의 출생지로 널리 알려진 노나라는 한때는 동방의 강국으로 불렸으나 목공(穆公)이 임금이었던 시기에는 제나라의 위협을 받는 약소국이었습니다. 조나라와 위나라, 그리고 한나라는 삼진이라고 불리우면서 이 시기부터 전국시대로 오늘날 알려졌는데 삼진은 초나라와 항상 대립하는 상태였습니다. 그 사이에 제나라..

오늘 하루 사자성어 : 와신상담

1. 고사성어 와신상담 뜻과 풀이 臥 누울 와 薪 섶나무 신 嘗 맛볼 상 膽 쓸개 담 가시가 많은 거친 나무위에 잠을 청하고, 쓰디 쓴 쓸개를 먹는다는 뜻으로서,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그 어떤 고통도 불사하고 심신을 단련하는 것을 이르는 말. 2. 고사성어 와신상담 유래 중국 춘추시대 오나라에 합려라는 왕이 있었습니다. 오나라는 월나라와의 전쟁에서 패하게 되고 전쟁중에 독화살까지 맞아 위독해진 합려는 그의 아들인 부차를 불러서 유언을 남겼습니다. 월나라의 왕 구천은 아비의 원수이니 절대 잊지말고 반드시 월나라를 정복하라는 말이었습니다. 이 말을 남기고는 합려왕은 온몸에 독이 퍼져 죽음을 맞이하였습니다. 합려 다음으로 오나라의 왕이 된 부차는 아버지의 원수를 갚고자 밤낮으로 군사훈련을 하였고 땔나무 위에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