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우정 고사성어 3

[오늘 하루 고사성어] 백아절현(伯牙絶絃)

1. 고사성어 백아절현(伯牙絶絃) 뜻과 풀이 伯 : 맏 백 牙 : 어금니 아 絶 : 끊을 절 絃 : 악기줄 현 백아(伯牙)가 거문고를 끊었다는 뜻으로서, 자신에 대해 잘 아는 벗이 죽어 무척 슬프다는 의미 2. 고사성어 백아절현(伯牙絶絃) 유래 고사성어 백아절현(伯牙絶絃)은 『열자(列子)』의 「탕문(湯問)」편 그리고 『여씨춘추(呂氏春秋)』 「본미(本味)」편 이렇게 두 고서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열자(列子)』의 「탕문(湯問)」편에선 춘추시대 진나라에서 고관을 지낸 거문고의 명수로 이름난 백아와 그의 친구 종자기(鍾子期)가 있었습니다. 종자기는 백아의 거문고 연주를 좋아했고 그의 음악을 정확하게 이해해 주는 둘도 없는 친구였지요. 백아와 거문고 그리고 종자기는 언제나 함께 였습니다. 산을 오를 때도 강물이 ..

[오늘 하루 고사성어] 막역지우(莫逆之友)

1. 고사성어 막역지우(莫逆之友) 뜻과 풀이 莫 : 말 막 逆 : 거스릴 역 之 : 어조사 지 友 : 벗 우 서로에게 거스름이 없는 사이라는 뜻으로서 허물없이 가까이 지내는 친구라는 의미 2. 고사성어 막역지우(莫逆之友) 유래 고사성어 막역지우(莫逆之友)는 장자 내편(內篇) 대종사(大宗師)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장자는 전국시대의 사상가이자 장자의 저서입니다. 장자의 문학은 우언우화(寓言寓話)로 엮어졌으며 이를 이용하여 우주의본체와 만물의 근원에 대해 논하였습니다. 위(魏)·진(晉)때에 장자가 널리 읽혔으며 육조시대(六朝時代)때까지 그 사상이 유행했고 오늘날까지 그의 이름이 잊혀지지 않을 정도로 큰 영향력을 미친 인물입니다. 장자에서 이야기를 전하기를 자사(子祀)·자여(子輿)·자려(子犂) ·자래(子來)라는 ..

오늘 하루 고사성어 : 죽마고우

1. 고사성어 죽마고우 뜻과 풀이 竹 대나무 죽 馬 말 마 故 옛 고 友 벗 우 죽마고우(竹馬故友) 죽마(대나무 말)를 타고 함께 놀던 옛 친구라는 뜻으로서, 어릴 때부터 가까운 사이를 유지하며 자란 친구라는 의미 2. 고사성어 죽마고우 유래 고사성어 죽마고우는 317년-420년 사이인 동진시대때 유래된 말입니다. 동진시대에 환온과 은호라는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이 둘은 어렸을 적부터 사이좋은 친구사이였죠. 이 둘이 성장하여 훗날 환온이 권세를 차지하게 되자 황제는 그의 권세를 두려워하여 은호를 불러들였습니다. 조정에서 은호를 몇 번이나 불렀지만 환온과는 달리 조정의 제안을 매번 거절하여 초야에 묻혀있었습니다. 하지만 간곡한 왕의 부탁으로 부름을 차마 물리칠 수 없어 결국 벼슬길에 오르게 되었습니다. 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