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고사성어 숙맥불변(菽麥不辨) 뜻과 풀이 菽 : 콩 숙 麥 : 보리 맥 不 : 아닐 불 辨 : 가릴 변 콩과 보리를 가리지지 못한다는 뜻으로서 사리분별을 못하는 어리석은 사람을 의미 2. 고사성어 숙맥불변(菽麥不辨) 유래 고사성어 숙맥불변(菽麥不辨)은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성공 18년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는 두 번째 패자였던 문공이 사망한 이후로 수준이하의 능력을 가진 왕들이 보위에 올라 그럭저럭 국사를 이어나갔는데 경공의 아들 여공(厲公)이 서동(胥童)을 총애하여 정사를 모조리 일임시켜 버리고 사치가 무척 심했으며 서동을 제외한 나머지 신하들을 의심하여 한꺼번에 3명의 신하들을 주살시키는 만행을 저지르는 바람에 되려 시해를 당함에 따라 진나라는 더욱 어지러웠습니다. 양공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