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수석침류 2

[오늘 하루 고사성어] 임기응변(臨機應變)

1. 고사성어 임기응변(臨機應變) 뜻과 풀이 臨:임할 림 機:때(시기) 기 應:응할 응 變:변할 변 상황에 맞게 적절하게 대응하고 일을 처리함 2. 고사성어 임기응변(臨機應變) 유래 고사성어 임기응변(臨機應變)은 《진서(晉書)》의 〈손초전(孫楚傳)〉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손초(孫樵)는 삼국시대 때 위나라와 서진에서 활동했던 인물입니다. 뛰어난 재능을 가졌고 성격이 호탕하고 자신감이 넘치는 태도를 유지했으나 무리에 어울리기보다는 개인주의의 성향을 가졌던 인물입니다. 하지만 사마염의 사위였던 왕제(王濟)와는 항상 가까이 지냈습니다. 하루는 손초가 왕제에게 수석침류(漱石枕流)를 언급하며 자신이 은거할 뜻을 밝혔는데, 이 의미는 돌로 양치질을 하고 흐르는 물을 베개로 삼겠다는 것이었습니다. 이를 들은 왕제는 혹시..

[오늘 하루 고사성어] 견강부회(牽強附會)

1. 고사성어 견강부회(牽強附會) 뜻과 풀이 牽 : 끌 견 强 : 굳셀 강 附 : 붙을 부 會 : 모을 회 가당치도 않는 말을 끌어다가 자신의 말에 힘을 싣기 위해 억지로 합리화시키려 한다는 의미 2. 고사성어 견강부회(牽強附會) 유래 고사성어 견강부회는 중국 송나라의 역사가이자 통지의 편찬자였던 정초(鄭樵, 1104~1162)가 통지(通志)' 총서(總序)에서 견합부회(牽合附會)를 언급함으로서 그 유래가 시작이 되었습니다. 자는 어중(漁仲), 호는 협제선생(夾漈先生)이다. 복건의 포전현(莆田縣) 출신으로서 어려서부터 여러 장소를 방문하면서 지식을 습득하기를 좋아했던 인물이라 합니다. 董仲舒以陰陽之學 倡爲此說 本于春秋 牽合附會(동중서이음양지학 창위차설 본우춘추 견합부회) 동중서가 음양학으로 이설을 창도하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