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삼인성호 2

[오늘 하루 고사성어] 유언비어(流言蜚語)

1. 고사성어 유언비어(流言蜚語) 뜻과 풀이 流 : 흐를 유 言 : 말씀 언 蜚 : 바퀴벌레 비 語 : 말씀 어 흘러가는 바퀴벌레 같은 말이라는 뜻으로서, 근거 없는 뜬소문을 의미 2. 고사성어 유언비어(流言蜚語) 유래 고사성어 유언비어는 한나라의 두영장군을 두고 유래된 말입니다. 경제 때 두영장군은 태후의 조카이자 주변국으로부터의 반란을 진압한 공으로 경제에게 큰 신뢰를 받고 위기후라는 관직까지 얻어 기세등등했고 주변대신들도 그에게 굽신거렸으나, 경제가 죽고 무제가 즉위한 이후로 전분이라는 인물이 두영을 능가하기 시작하였고 사람들은 전분에게 줄을 서느라 분주했습니다. 하지만 장군 관부는 두영의 곁에 남아 의리를 지키려 노력했습니다. 두영과 전분이 대적하게 된 대망의 날은 안타깝게도 관부가 연나라의 공주..

오늘 하루 고사성어 : 삼인성호

1. 고사성어 삼인성호 뜻과 풀이 三 : 석 삼 人 : 사람 인 成 : 이룰 성 虎 : 범 호 사람 세 명이 모이면 없는 호랑이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뜻으로서 거짓말도 여러 사람이 합심하면 곧이들린다는 비유이다. 2. 고사성어 삼인성호 유래 고사성어 삼인성호는 고대 한비자의 내저설편에서 나온 이야기로 유래된 것입니다. 기원전 403~221, 중국 전국시대 위나라에서 일어난 일이지요. 위나라의 혜왕은 조나라와 강화를 맺었고 그에 증표로서 자신의 아들인 태자를 보냈어야 했습니다. 태자는 자주국의 임금의 아들이며 황제의 자리를 이을 귀한 신분이었기 때문에 섣불리 타국에 보낼 수는 없었지요. 그래서 혜왕은 태자를 따를 후견인으로서 누구를 함께 보내야 할지를 고민하고 있었습니다. 혜왕은 깊은 고민 끝에 방총이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