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고사성어 목탁(木鐸) 뜻과 풀이 木 : 나무 목 鐸 : 방울 탁 나무로 만들어진 방울이라는 뜻으로서 속이 비어있는 방울모양의 나무를 나무채로 두드려 소리를 내는 불교의식의 용구 2. 고사성어 목탁(木鐸) 유래 목탁(木鐸)은 부처님앞에서 염불·독경·예불을 할때에 사용되거나 식사시간을 알릴 때 그리고 대중들을 모을 때의 신호로 사용되는 불교의식의 용구 중에 하나입니다. 박달나무나 은행나무와 같은 많은 목재로 만들어지지만 목탁(木鐸)을 만들기 위한 가장 좋은 재료는 대추나무라고 합니다. 목탁(木鐸)이 생겨난 유래는 본디 한 스승밑에서 가르침을 받고 성장하고 있었던 제자 중 한명이 스승으로부터 가르침을 어기고 죽은 뒤에 물고기로 태어나게 되었는데 평범한 물고기가 아닌 등에서 나무가 자라나고 있는 상태였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