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맹모삼천지교 2

[오늘 하루 고사성어] 양금택목(良禽擇木)

1. 고사성어 양금택목(良禽擇木) 뜻과 풀이 良 : 좋을 량 禽 : 새 금 擇 : 가릴 택 木 : 나무 목 좋은 새는 좋은 나무인지 가려가며 둥지를 튼다는 뜻으로 현명한 사람은 아무에게나 자신을 맡겨서 종사하지 않고 자신의 재능을 키워줄 수 있는 사람을 선택해서 종사한다는 의미 2. 고사성어 양금택목(良禽擇木) 유래 고사성어 양금택목은 공자(孔子)가 지은 노나라(魯)의 역사서인 춘추(春秋)의 주석서인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哀公) 11년조에서 유래되었습니다. 공자는 인과 예를 중시하는 도를 유세(遊說) 하기 위해 제후국을 돌아다니던 중 위나라의 공문자(孔文子)가 위인이라는 이야기를 듣고는 그와 이야기를 나누고 싶어 했습니다. 그리고 공문자(孔文子)는 천하가 알아주는 유가의 시조가 찾아왔다며 무척 기뻐하..

[오늘 하루 고사성어]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

1. 고사성어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 뜻과 풀이 孟 : 맏 맹 母 : 어미 모 三 : 석 삼 遷 : 옮길 천 之 : 어조사 지 敎 : 가르칠 교 맹자의어머니가 아들 맹자의 교육을 위해 세 번 이사했다는 뜻으로서 인간의 성장에 있어서 환경이 중요하다는 의미 2. 고사성어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 유래 고사성어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는 전한 말의 학자 유향(劉向)의 열녀전(列女傳)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중국 전국 시대 유교사상가이자 제자백가(諸子百家)중 한명으로서 왕도(王道) 정치를 주장하며 많은 사람들에게 좋은 영향을 끼쳤던 맹자는 일찍이 아버지를 여의고 홀어머니의 밑에서 성장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맹자가 어렸을 때 어머니와 함께 처음 살았던 곳은 공동묘지 근처였습니다. 어느 날은 어린 맹자가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