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고사성어 역지사지(易地思之) 뜻과 풀이 易 : 바꿀 역 地 : 땅 지 思 : 생각할 사 之 : 갈지 상대방의 처지나 입장에 대해 생각해 본다는 의미 2. 고사성어 역지사지(易地思之) 유래 고사성어 역지사지(易地思之)는 《맹자(孟子)》의 〈이루편(離婁編)〉 하(下) 29장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역지사지(易地思之)는 맹자가 역지즉개연(易地則皆然)을 언급하며 그 이야기가 시초가 되었는데 이를 대표하는 인물이 우(禹), 후직(后稷), 그리고 안회(顔回)입니다. 우와 후직은 중국 고대역사의 전설적인 인물로서 우는 하(夏) 왕조 시조이고 후직은 중국 주왕조(周王朝)의 전설적 시조이자 농경신(農耕神)으로 오곡의 신이기도 하지요. 그리고 안회는 노나라의 현인입니다. 우와 후직은 백성들을 위해 일하는 벼슬아치였는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