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후생가외 2

[오늘 하루 고사성어] 교학상장(敎學相長)

1. 고사성어 교학상장(敎學相長) 뜻과 풀이 敎 : 가르칠 교 學 : 배울 학 相 : 서로 상 長 : 길 장 가르치고 배우면서 성장한다는 의미 2. 고사성어 교학상장(敎學相長) 유래 고사성어 교학상장(敎學相長)은 공자(孔子)가 편찬및 저술에 참여했던 중국 유교의 다섯가지 경서 라고 불리는 오경(五經)중 예기(禮記)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예기(禮記)는 고대 중국의 예를 논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으며 공자가 제자들에게 했던 말과 보여준 행동들을 그대로 본받아 제자들이 기록했으며 131편의 책을 모아 정리한 뒤에 선제때 유향(劉向)이 214편으로 엮었습니다. 學然後知不足 敎然後知困 (학연후지부족 교연후지곤) 사람은 배우고나서야 부족함을 알게되고 가르쳐 봐야 비로소 그 어려움을 깨닫게 된다 知不足然後能自反也 知困然..

[오늘 하루 고사성어] 후생가외(後生可畏)

1. 고사성어 후생가외(後生可畏) 뜻과 풀이 後 : 뒤 후 生 : 날 생 可 : 옳을 가 畏 : 두려워할 외 젊은 후학(後學)들을 두려워할 만하다는 뜻으로서 후배들이 선배보다 의지와 에너지가 강해서 선배를 능가하는 인물이 나올까 하는 두려운 감정을 의미 2. 고사성어 후생가외(後生可畏) 유래 고사성어 후생가외(後生可畏)는 논어 자한편(子罕篇)에서 그 유래가 시작되었습니다. 공자와 그의 제자들이 했던 말을 훗날의 기술자들이 편집해서 만든 것이 바로 논어입니다. 논어는 공자는 그 연결고리가 꽤 짙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논어를 공자가 지은 것으로 알고 있지만 정작 공자는 단 한 권의 책조차도 쓴 적이 없으며 한 문장 내지는 두어 문장정도 언급한 것을 훗날의 후배들이 그 의미를 분석하고 해석한 것이기 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