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무제 2

[오늘 하루 고사성어] 실사구시(實事求是)

1. 고사성어 실사구시(實事求是) 뜻과 풀이 實 : 열매 실 事 : 일 사 求 : 구할 구 是 : 옳을 시 또는 이 시 사실에 입각하여 올바름을 구하려 한다는 의미 2. 고사성어 실사구시(實事求是) 유래 고사성어 실사구시(實事求是)는 『후한서(後漢書)』「하간헌왕덕전(河間獻王德傳)」에서 유래되었습니다. 하간헌왕(河間獻王)은 중국 전한 시대(前漢時代)의 학자이자 한나라 경제 아들 중 한 명으로서 BC 155년 하간(河間)의 왕으로 봉해졌습니다. 책 읽기를 좋아했을 뿐만 아니라 민간으로부터 나온 좋은 책들을 수집하는 것을 즐겼으며 학문을 익히는 것을 좋아하는 총명한 인물이었습니다. 하간헌왕의 본명은 유덕(劉德)으로서 한나라 7대 황제인 한무제와는 형제지간입니다. 유덕(劉德)은 한무제와 학문을 논하기를 즐겼으며..

오늘 하루 고사성어 : 구우일모

1. 고사성어 구우일모 뜻과 풀이 九 아홉 구 牛 소 우 一 하나 일 毛 털 모 구우일모(九牛一毛) 아홉 마리 소 가운데서 뽑은 터럭(털) 하나라는 뜻으로, 대단히 하찮고 보잘것이 없음을 의미 2. 고사성어 구우일모 유래 고사성어 구우일모는 중국 한나라에서 유래된 말입니다. 한나라의 큰 화두는 북방의 흉노족이었습니다. 흉노족은 진나라부터 한나라가 건립되기까지 흉노족이라는 이름의 골칫거리는 사그라들 기미가 전혀 보이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한나라에는 용맹하고 싸움을 잘하기로 유명한 이릉이라는 이름의 장수가 있었습니다. 고작 5천여 명밖에 되지 않는 군사들을 이끌고 수만 명의 흉노족의 군사들을 물리칠 정도로 이릉의 능력은 매우 뛰어났습니다. 하지만 이릉의 군사로부터 이릉의 군대가 화살과 식량이 다 떨어져가고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