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풍수지탄 2

[오늘 하루 고사성어] 백유지효(伯兪之孝)

1. 고사성어 백유지효(伯兪之孝) 뜻과 풀이 伯 : 맏 백 兪 : 그러할 유 之 : 갈 지 孝 : 효도 호 백유의 효도를 뜻하며 어버이를 향한 효심을 뜻함 2. 고사성어 백유지효(伯兪之孝) 유래 고사성어 백유지효(伯兪之孝)는 유향(劉向)이 편집했던 설화집인 《설원(說苑)》건본(建本) 편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유향(劉向)은 전한 시대의 학자로서 어려서부터 뛰어난 재능을 가지고 있어 간대부(諫大夫)로 활동했으며 수십 편의 부송을 지었습니다. 현재 설원(說苑)의 기록은 대다수가 사라진 상태이며 이미 북송시대 때 잔본만 남아있었던 상태였습니다. 그리고 그 잔본은 고려에서 소장하고 있었죠. 송나라의 황제는 고려에게 필사본만이라도 달라고 요청했고 고려가 소장했던 설원 고려본을 송나라로 보내주었다고 합니다. 중국 한(..

오늘 하루 고사성어 : 풍수지탄

1. 고사성어 풍수지탄 뜻과 풀이 風 : 바람 풍 樹 : 나무 수 之 : 갈 지 歎 : 탄식할 탄 風樹之歎(풍수지탄) : 나무가 고요하고자 하나 바람이 그치질 아니한다라는 뜻으로, 부모에게 효도를 하고자 맘먹을 때에는 이미 돌아가셔서 그 뜻을 이룰 수가 없다는 의미 2. 고사성어 풍수지탄 유래 고사성어 풍수지탄은 한시외전에 기록된 것에서 유래되었습니다. 한시외전은 한나라 때 한영이 지은 책으로서 내전은 4권, 외전은 6권으로 구성 되었으나 현재로서는 외전만 겨우 전해졌습니다. 한영은 문제 때 박사가 되었고 경제가 왕으로 즉위할 때에는 상산왕유순태부가 되었습니다. 공자가 더 나은 공부를 위해 유랑생활을 할 당시 서럽게 울고 있는 한 사내를 목격하게 되었습니다. 공자는 고통스럽게 울고 있는 그 사내에게 울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