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중국 고대 2

[오늘 하루 고사성어] 원수불구근화(遠水不救近火)

1. 고사성어 원수불구근화(遠水不救近火) 뜻과 풀이 遠 : 멀 원 水 : 물 수 不 : 아닐 불 救 : 구할 구 近 : 가까울 근 火 : 불 화 먼 곳에 있는 물은 가까운 곳에서 난 불을 끄지 못한다는 뜻으로서 멀리 있는 해결책은 긴급한 상황일때에는 아무짝에도 쓸모 없다는 의미 2. 고사성어 원수불구근화(遠水不救近火) 유래 고사성어원수불구근화(遠水不救近火)는 한비자(韓非子) 설림편(說林篇)에서 유래되었습니다.공자의 출생지로 널리 알려진 노나라는 한때는 동방의 강국으로 불렸으나 목공(穆公)이 임금이었던 시기에는 제나라의 위협을 받는 약소국이었습니다. 조나라와 위나라, 그리고 한나라는 삼진이라고 불리우면서 이 시기부터 전국시대로 오늘날 알려졌는데 삼진은 초나라와 항상 대립하는 상태였습니다. 그 사이에 제나라..

오늘 하루 고사성어 : 맥수지탄

1. 고사성어 맥수지탄 뜻과 풀이 麥 : 보리 맥 秀 : 빼어날 수 之 : 어조사 지 嘆 : 탄식할 탄 맥수지탄(麥秀之嘆) 보리가 무성하게 자라는 것을 탄식한다는 뜻으로서, 나라가 무너져 예전과는 다른 모습을 슬퍼한다는 의미이거나 나라의 멸망을 애통해한다는 의미 2. 고사성어 맥수지탄 유래 고사성어 맥수지탄은 고대 중국 은나라에서 유래된 말입니다. 은나라의 마지막 왕은 주왕이었습니다. 그는 정치는 저 멀리 내팽개쳐두고 주지육림에 파묻혀 술과 음락만을 추구하며 지내고 있었습니다. 주왕의 신하중에는 미자, 기자, 비간이라는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폭군으로 전락해버린 그를 위해 이 세 사람은 주왕이 그렇게 살아서는 안된다고 간청하였으나 이를 받아들이지 않게 되자, 그중 한 명인 미자는 상황을 비관하여 목숨을 끊..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