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나라 3

[오늘 하루 고사성어] 단순호치(丹脣皓齒)

1. 고사성어 단순호치(丹脣皓齒) 뜻과 풀이 丹 붉을 단 脣 입술 순 皓 새하얀 호 齒 이 치 붉은 입술에 하얀 치아라는 뜻으로서 아름다운 미인을 의미 2. 고사성어 단순호치(丹脣皓齒) 유래 고사성어 단순호치(丹脣皓齒)는 주나라의 유왕(幽王)의 총희 포사의 이야기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때는 바야흐로 하나라 말년에 용 두 마리가 나타나 자신들의 포나라의 왕이라 선언했습니다. 당시 하나라는 위태로웠으며 하왕은 점술을 믿는 사람이었기에 이 두 마리의 용을 어찌하면 좋을지에 대해 점술가와 상담했는데 점술가는 용들에게 요청해서 침을 얻어내어 보관하자는 조언을 해주었죠. 그렇게 왕의 타액을 받은 하왕은 점술가의 조언대로 궤에 넣어 밀봉을 했는데 이것이 오늘날의 '열지 못하는 궤'의 전설이 되어 전해졌습니다. 이 열지..

[오늘 하루 고사성어] 강태공(姜太公)

1. 고사성어 강태공(姜太公) 뜻과 풀이 姜 성씨 강 太 클 태 公 공평할 공 중국 주나라 초기의 정치가의 이름으로, 낚싯대로 세월을 낚는다는 의미로 사용. 2. 고사성어 강태공(姜太公)의 유래 강태공은 중국 주나라의 역사적인 인물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인물입니다. 70세까지는 강태공 자신이 가진 능력을 발휘하지 않고 '적절한 시기'를 기다렸다는 설과 태생적으로 관직에 나가는 것보다는 공부하는 것을 더 좋아했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강태공이 70세가 될 때까지 공부만을 하다 보니 부인은 뒷바라지에 지쳐서 가출을 하게 되었고 그는 집 근처에 있는 위수강변에서 낚시질을 하곤 했습니다. 강태공과 같은 시기에 있던 주나라의 문왕은 사냥터에 나가기 직전에 점치는 것을 좋아했습니다. 그날도 사냥하러 나가기전에 자..

오늘 하루 고사성어 : 미봉책

1. 고사성어 미봉책 뜻과 풀이 彌 기울 미 縫 꿰맬 봉 策 채찍 책(꾀 책) 미봉책(彌縫策) 실로 꿰매는 방책이라는 뜻으로서, 빈 곳이나 잘못된 곳을 임시변통으로 보완하는 것을 의미 2. 고사성어 미봉책 유래 고사성어 미봉책은 중국 주나라와 정나라 사이에서 벌어진 일화로 유래된 말입니다. 주나라에는 환왕이 있었습니다. 당시 주나라의 왕실이 점점 약해짐을 환왕은 느꼈고 제후들 또한 서로 싸움을 일삼다 보니 왕실의 권위를 되찾고자 고심을 하고 있었습니다. 마침 주나라의 제후국인 정나라의 정장공이 환왕의 허락도 받지 않은 채 주변국을 공격하였고 환왕은 정장공의 직위를 빼앗았습니다. 이에 화가 난 정장공은 주나라의 조공을 더이상 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주나라의 환왕은 이 상황이 절호이 기회였습니다. 정장공의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