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고사성어 일모불발(一毛不拔) 뜻과 풀이 一 : 한 일 毛 : 털 모 不 : 아닐 불 拔 : 뽑을 발 작은 털 한 톨이라도 남을 위해 쓰이지 않겠다는 뜻으로서 극단적인 이기주의를 의미 2. 고사성어 일모불발(一毛不拔) 유래 고사성어 일모불발(一毛不拔)은 열자(列子)의 양주(楊朱) 편과 맹자(孟子)의 진심상(盡心上)으로부터 이야기가 전해졌습니다. 양주(楊朱)는 전국시대 학자중 한 사람으로서 자신만 쾌락에 빠지면 그걸로 되었다는 위아설(爲我說)을 주장했던 인물입니다. 위아설(爲我說)이 처음으로 출연했을때에는 극단적 이기주의라며 많은 사람들로부터 비판을 받았으나 자신의 소중함과 개인의 권리를 주장했다는 것으로부터 높은 가치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어느 날 묵자의 제자인 금활리(禽滑厘)와 양주(楊朱)가 대화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