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고사성어 순망치한(脣亡齒寒) 뜻과 풀이 脣 : 입술 순 亡 : 잃을 망 齒 : 이 치 寒 : 찰 한 입술이 잃으면 이가 시리다는 뜻으로서 서로 떨어지면 살 수 없는 밀접한 관계 또는 서로 도와야지만 성립되는 관계라는 의미 2. 고사성어 순망치한(脣亡齒寒) 유래 고사성어 순망치한(脣亡齒寒)은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희공 5년조에서 유래된 말입니다. 춘추전국시대 진나라의 24대 군주인 헌공은 괵(虢) 나라와 우(虞) 나라를 침략하여 진나라와 통일하고 싶은 야심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하루는 신하들을 불러 모아 괵(虢) 나라와 우(虞) 나라를 집어삼키려면 어떤 방법을 써야 할지에 대해 의논을 하는 시간을 마련했죠. 이때 대부 순식(荀息)이 말하기를 괵나라와 우나라는 서로 공생해야 살 수 있는 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