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손우곤 3

[오늘 하루 고사성어] 앙천대소(仰天大笑)

1. 고사성어 앙천대소(仰天大笑) 뜻과 풀이 仰 : 우러러볼 앙 天 : 하늘 천 大 : 큰 대 笑 : 웃음 소 하늘을 우러러보며 크게 웃는다는 뜻으로서 어처구니없어 크게 웃는 모습을 의미 2. 고사성어 앙천대소(仰天大笑) 유래 고사성어 앙천대소(仰天大笑)는 십팔사략 (十八史略)에서 유래 되었습니다. 십팔사략 (十八史略)은 사마천의 사기부터 이희의 속송편년자치통감 그리고 유시거의 속송중흥편년자치통감까지 중국의 정사 18사를 축약하여 만든 역사책입니다. 보통 교육용으로 쓰였으나 2000년이 넘는 세월을 기록했기 때문에 축약서에 불과하다 할지라도 분량이 상당했다 합니다. 중국사의 기본적 뼈대를 이해하기에는 도움이 되는 책이나 이 책 하나만으로는 중국사 전체를 이해하기에는 어려울 수 있지요. 초나라의 대군이 제..

[오늘 하루 고사성어] 일명경인(一鳴驚人)

1. 고사성어 일명경인(一鳴驚人) 뜻과 풀이 一 : 한 일 鳴 : 새가 울 명 驚 : 놀랠 경 人 : 사람 인 새가 한번 울면 사람이 놀란다는 뜻으로서 평소 과묵한 성격을 가진 사람이 예상치 못하게 놀랄만한 일을 한다는 의미 2. 고사서어 일명경인(一鳴驚人) 유래 고사성어 일명경인은 사기(史記) 골계열전(滑稽列傳)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전국시대 제나라에는 손우곤(淳于髡)이라는 인물이 있었습니다. 제나라의 관료이자 학자였던 그는 생각이 깊고 말재주에 능했던지라 제나라에 위기가 찾아오면 무조건 손우곤을 사신으로서 주변국을 보내곤 했습니다. 반면에 제나라의 임금이었던 위왕(威王)은 정사를 돌보기는 커녕 밤낮으로 주연을 열기에 바빴습니다. 한 나라의 임금으로서 백성들을 굽어살펴야 함에도 불구하고 수수께끼와 주색을..

[오늘 하루 고사성어] 불비불명(不飛不鳴)

1. 고사성어 불비불명(不飛不鳴) 뜻과 풀이 不 : 아닐 불 蜚 : 날 비 不 : 아닐 불 鳴 : 울 명 날지도 않고 울지도 않는다는 뜻으로서, 큰일을 위해 조용히 때를 기다리고 있다는 의미 2. 고사성어 불비불명(不飛不鳴) 유래 고사성어 불비불명은 사마천이 지은 사기의 골계열전으로부터 유래되었습니다. 골계(滑稽)는 말을 너무 잘하여 막힘이 없을 정도라는 의미로서 '우스꽝스러움', '익살' 또는 '유머'를 의미합니다. 당대 왕의 심기를 최대한 거스르려 노력했고 그럼과 동시에 왕이 스스로 저지른 잘못됨을 바로잡게 만들려 노력했으며 웃음을 주기도 한 사마천의 영민함이 돋보이는 책이라고 할 수 있죠. 제나라의 위왕은 밤낮으로 음주가무를 즐기고 정사를 전혀 돌보지 않아서 늘 백성들이 굶주려 있었고 신하들의 사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