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마천 2

[오늘 하루 고사성어] 간뇌도지(肝腦塗地)

1. 고사성어 간뇌도지(肝腦塗地) 뜻과 풀이 肝 : 간 간 腦 : 뇌 뇌 塗 : 진흙 도 地 : 땅 지 간과 뇌수가 땅에 쏟아진다는 뜻으로서 참혹한 죽음이나 나라를 위한 희생을 의미 2. 고사성어 간뇌도지(肝腦塗地) 유래 고사성어 간뇌도지(肝腦塗地)는 사마천의 사기(史記) 유경숙손통열전(劉敬叔孫通列傳)으로부터 유래되었습니다. 한(漢) 고조(高祖) 유방(劉邦)은 항우(項羽)와의 오랜 싸움 끝에 중원을 차지하고는 자신이 왕으로써 서있는 한(漢) 나라의 도읍을 정하기 위해 신하들을 불러모았습니다.신하들이 추천했던 도읍지는 총 두곳이었는데 한 곳은 낙양(洛陽) 또 다른 한 곳은 함양(咸陽)이었죠. 하지만 신하들은 유독 낙양(洛陽)을 더 언급했는데 그 이유는 함양(咸陽)은 진(秦)나라의 도읍이었는데 진나라는 2대..

오늘 하루 고사성어 : 구우일모

1. 고사성어 구우일모 뜻과 풀이 九 아홉 구 牛 소 우 一 하나 일 毛 털 모 구우일모(九牛一毛) 아홉 마리 소 가운데서 뽑은 터럭(털) 하나라는 뜻으로, 대단히 하찮고 보잘것이 없음을 의미 2. 고사성어 구우일모 유래 고사성어 구우일모는 중국 한나라에서 유래된 말입니다. 한나라의 큰 화두는 북방의 흉노족이었습니다. 흉노족은 진나라부터 한나라가 건립되기까지 흉노족이라는 이름의 골칫거리는 사그라들 기미가 전혀 보이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한나라에는 용맹하고 싸움을 잘하기로 유명한 이릉이라는 이름의 장수가 있었습니다. 고작 5천여 명밖에 되지 않는 군사들을 이끌고 수만 명의 흉노족의 군사들을 물리칠 정도로 이릉의 능력은 매우 뛰어났습니다. 하지만 이릉의 군사로부터 이릉의 군대가 화살과 식량이 다 떨어져가고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