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마부작침 2

[오늘 하루 고사성어] 마부작침(磨斧作針)

1. 고사성어 마부작침(磨斧作針) 뜻과 풀이 磨 : 갈 마 斧 : 도끼 부 作 : 지을 작 針 : 바늘 침 도끼를 갈아 바늘로 만든다는 뜻으로서, 어려운 일을 만나더라도 꾸준히 하면 못 할 일은 없다는 의미 2. 고사성어 마부작침(磨斧作針) 유래 고사성어 마부작침(磨斧作針)은 남송(南宋) 때 축목(祝穆)이 지은 지리서 《방여승람(方與勝覽)》과 《당서(唐書)》 문예전(文藝傳)에서 유래한 말입니다. 중국 당나라 낭만주의 시인인 이백(李白)은 5살때 아버지를 따라 촉나라에서 생활을 했었습니다. 어려서부터 뛰어나서 10살 때에는 시를 지어낼 정도로 장래가 촉망된 아이였으나 그의 노력은 재능을 따라주지 않았습니다. 이백(李白)의 아버지는 그가 학문에 정진했으면 하는 바람으로 정의산을 보냈으나 공부에 싫증이 나버린..

오늘 하루 사자성어 : 우공이산

1. 고사성어 우공이산 뜻과 풀이 愚 : 어리석을 우 公 : 공변될 공 移 : 옮길 이 山 : 뫼 산 愚公移山(우공이산) : 어리석은 사람이 산을 옮긴다는 뜻으로서, 우직하게 한 우물을 파는 사람만이 큰 성과를 거둘 수 있다는 뜻 2. 고사성어 우공이산 유래 고사성어 우공이산은 중국의 북산에서 유래된 말입니다. 북산에 우공이라는 90살 된 노인이 살고 있었습니다. 그의 집 앞에는 태행산과 왕옥산이 가로막고 있어 생활하는 데에 있어 불편을 겪어왔습니다. 우공은 그의 가족들에게 다 같이 힘을 모아 두 산을 옮겼으면 좋겠다고 이야기했습니다. 가족들의 반대를 무릎쓰고 그의 결심은 변함이 없었습니다. 어쩔 수 없이 우공과 가족들은 모두 힘을 모아 작업을 시작하였습니다. 지게에 흙을 지고 발해 바다에 버리고 오기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