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문자 2

[오늘 하루 고사성어] 양금택목(良禽擇木)

1. 고사성어 양금택목(良禽擇木) 뜻과 풀이 良 : 좋을 량 禽 : 새 금 擇 : 가릴 택 木 : 나무 목 좋은 새는 좋은 나무인지 가려가며 둥지를 튼다는 뜻으로 현명한 사람은 아무에게나 자신을 맡겨서 종사하지 않고 자신의 재능을 키워줄 수 있는 사람을 선택해서 종사한다는 의미 2. 고사성어 양금택목(良禽擇木) 유래 고사성어 양금택목은 공자(孔子)가 지은 노나라(魯)의 역사서인 춘추(春秋)의 주석서인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哀公) 11년조에서 유래되었습니다. 공자는 인과 예를 중시하는 도를 유세(遊說) 하기 위해 제후국을 돌아다니던 중 위나라의 공문자(孔文子)가 위인이라는 이야기를 듣고는 그와 이야기를 나누고 싶어 했습니다. 그리고 공문자(孔文子)는 천하가 알아주는 유가의 시조가 찾아왔다며 무척 기뻐하..

[오늘 하루 고사성어] 불치하문(不恥下問)

1. 고사성어 불치하문(不恥下問) 뜻과 풀이 不 : 아닐 불 恥 : 부끄러울 치 下 : 아래 하 問 : 물을 문 아랫사람에게 묻는것을 부끄러워 하지 않는다는 뜻 2. 고사성어 불치하문(不恥下問) 유래 고사성어 불치하문(不恥下問)에 대한 유래는 두개가 있습니다. 하나는 논어의 주인공인 공자에게서 있었던 일입니다. 공자가 춘추시대의 위대한 사상가, 정치가, 교육가이자 성인군자임에도 불구하고 공자는 물어보는 것을 게을리 하지 않았습니다. 하루는 노나라 군주의 조상제례에 초대를 받아 공자는 참가했습니다. 노나라의 조상제례에 대하여 공자는 역시 주변사람들에게 이것저것 물어보았습니다. 이 모습을 지켜보았던 한 사람이 공자에게 저 사람은 누구인데 저렇게 예의범절 따위도 모르고 이것저것 묻냐며 조롱했다고 합니다. 조롱..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