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강족 2

[오늘 하루 고사성어] 이이제이(以夷制夷)

1. 고사성어 이이제이(以夷制夷) 뜻과 풀이 以 : 써 이 夷 : 오랑캐 이 制 : 제어할 제 夷 : 오랑캐 이 오랑캐를 오랑캐로 무찌른다는 뜻으로서 적을 통제하기 위해 또다른 적을 이용한다는 의미 2. 고사성어 이이제이(以夷制夷) 유래 고사성어 이이제이는 후한서(後漢書) 등훈전(鄧訓傳)에서 유래되었습니다. 한(漢)나라의 호강교위(護羌校尉) 장우(張紆)는 이민족중 하나인 강족(羌族)의 소당강(燒當羌) 미오(迷吾)를 불태워 죽였던 사건이 있었습니다. 장우가 미오를 주살했던 이 사건으로 인해 후한은 강족의 큰 원한을 사게 되었고 특히 미오의 아들인 미당(迷唐)은 다른 부락의 도움을 받아 후한을 공격하겠다는 이야기가 들려왔습니다. 이 소식을 듣게된 후한은 호강교위(護羌校尉)를 장우에서 등훈(鄧訓)으로 교체했습..

오늘 하루 고사성어 : 백문불여일견

1. 고사성어 백문불여일견 뜻과 풀이 百 : 일백 백 聞 : 들을 문 不 : 아닐 불 如 : 같을 여 一 : 하나 일 見 : 볼 견 백문불여일견(百聞不如一見) 백번 들어봐야 한번 보는 것은 못하나는 뜻으로서, 실제로 경험을 해봐야 확실히 알 수 있다는 의미 2. 고사성어 백문불여일견 유래 고사성어인 백문불여일견은 한서(漢書)의 조충국전에서 유래된 말입니다. 한서는 중국 후한 시대 때 기록된 역사서로서 반고가 저술하였습니다. 사기(史記)와 더불어 중국 사학사상(史學史上)의 대표적인 저작이며 총 100권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중국 전한이라는 나라에는 선제라는 이름의 황제가 있었습니다. 선제는 10대 황제로서 자는 차경입니다. 본래 휘는 병이었으나, 피휘의 번거로움을 덜기 위하여 즉위할 때 순으로 바꾸었다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