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自强不息 2

[오늘 하루 고사성어] 발분망식(發憤忘食)

1. 고사성어 발분망식(發憤忘食) 뜻과 풀이 發 : 일어날 발 憤 : 분낼 분 忘 : 잊을 망 食 : 밥 식 끼니까지 거르면서 목적을 향해 열심히 노력한다는 의미 2. 고사성어 발분망식(發憤忘食) 유래 고사성어 발분망식(發憤忘食)은 논어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논어는 중국 춘추시대 사상가였던 공자와 그의 제자들의 언행을 기록한 유교경전으로서 사서의 하나라고 합니다. 또한 언행을 기록한 것 중 최초로 발행된 것이라니 그만큼 역사적 가치가 높습니다. 공자의 많은 제자들 중 한명은 자로(子路)라는 인물이었습니다. 그는 처음 공자를 만났을 때에는 업신여기고 포악하게 굴었으나, 공자의 깨달음을 본받고는 다른 제자들의 요청에 의해서 공자의 제자가 되었으며 제자들 중 가장 뛰어난 10인이라는 이름의 '공문십철(孔門十哲)..

[오늘 하루 고사성어] 절차탁마(切磋琢磨)

1. 고사성어 절차탁마(切磋琢磨) 뜻과 풀이 切 : 끊을 절 磋 : 갈 차 琢 : 쪼을 탁 磨 : 갈 마 칼로 다듬고 줄로 쓸며 망치로 쪼고 숫돌로 간다는 뜻으로서, 학문, 도덕, 기예와 같은 것들을 갈고닦는다는 의미 2. 고사성어 절차탁마(切磋琢磨) 유래 저 치수이 강[淇水, 기수] 모퉁이를 보니, 푸른 대나무가 무성하도다! [瞻彼淇澳, 菉竹猗猗.] 아름다운 광채 나는 군자여! 잘라놓은 듯하고 간 듯하며 쪼아놓은 듯하고 간 듯하다. [有斐君子, 如切如磋, 如琢如磨, 瑟兮僩兮.] 엄밀하고 굳세며 빛나고 점잖으니, 아름다운 광채 나는 군자여! 끝내 잊을 수 없다. [赫兮喧兮, 有斐君子, 終不可諠兮.] [네이버 지식백과] 절차탁마 [切磋琢磨]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고사성어 절차탁마(切磋琢磨)는 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