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고사성어 난공불락(難攻不落) 뜻과 풀이 難 : 어려울 난 攻 : 공격할 공 不 : 아니 불 落 : 떨어질 락 공격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함락되기도 쉽지 않은 상태 2. 고사성어 난공불락(難攻不落) 유래 고사성어 난공불락(難攻不落)은 후한서 황보숭전에서 유래되었습니다. 황보숭은 후한의 72대 태위로서 정치가이자 장군으로서 부정부패를 일삼던 후한에 보기 드문 충신이었던 것으로 역사는 기록하고 있습니다. 후한서에 의하면 황보숭의 대인군자적인 모습들이 잘 기술되어 있습니다. 간의 조세를 백성들에게 나누어주는 아량을 베풀어 백성들의 그의 은덕을 칭송하는 노래를 불렀다는 일화, 부하들의 식사라 끝난 뒤에야 뒤늦게 식사를 시작했다는 이야기, 그리고 뇌물을 받고 있는 부하들을 파악해서 되려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